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학을 전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열 및 통계물리 개념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추상적 사고 능력,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학을 전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열 및 통계물리 개념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추상적 사고 능력,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학습 양식을 독립변인으로, 열 및 통계물리 개념 학습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독립변인들과 열 및 통계물리 개념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열 및 통계물리 개념은 대학교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서적들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물리교육 또는 물리학과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과 대학원생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설문지Ⅰ과 설문지Ⅱ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지Ⅰ은 열 및 통계물리 개념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문지Ⅱ는 열 및 통계물리 개념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조사 문항으로 추상적 사고 능력,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학습 양식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 및 통계물리 개념 성취도와 추상적 사고 능력,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학습 양식 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Pearson 상관계수가 추상적 사고 능력은 r=.302, 수학적 사고 능력은 r=.310 , 학습 동기는 r=.438 , 학습 양식은 r=.255로 네 가지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추상적 사고 능력과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학습 양식 점수가 상위인 그룹과 하위인 그룹으로 나누어 열 및 통계물리 개념 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추상적 사고능력이 높을수록, 수학적 사고 능력이 높을수록, 학습 동기가 높을수록 열 및 통계물리 개념 성취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열 및 통계물리 개념 문항은 약 50%의 정답률을 보였고, 학생들이 작성한 주관식 문항의 답안을 분석하면 고립계나 이상기체, 자유도 등 이상화된 조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답에 대한 부족한 설명이나 적절하지 않은 식을 사용하는 등의 오류도 범하였다.
넷째, 열 및 통계물리 개념 성취도 평균 점수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추상적 사고 능력 점수, 수학적 사고 능력 점수, 학습 동기 점수, 학습 양식 점수 모두 남학생의 평균 점수가 여학생의 평균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학습 동기 점수와 학습 양식 점수에서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다섯째, 추상적 사고 능력,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학습 양식 요인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추상적 사고 능력,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요인은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지만 학습 양식 요인의 점수는 약한 부적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 양식을 통한 교수-학습으로부터 열 및 통계물리 개념 학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물리전공 대학생, 대학원생들이 열 및 통계물리 개념을 학습하는데 있어 추상적 사고 능력, 수학적 사고 능력, 학습 동기, 학습 양식 요인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열 및 통계물리와 관련된 다른 개념들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물리 개념의 이해도와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공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