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정치 참여의 개념과 양상을 분석하여 정치 참여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4-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33657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5-131(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정치 참여의 개념과 양상을 분석하여 정치 참여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4-1...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정치 참여의 개념과 양상을 분석하여 정치 참여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4-1, 6-1 사회 검정 교과서에 담긴 정치 참여의 내용 구성과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4-1 교과서에의 주민 참여는 지역 문제와 연계하여 다루어지고 있었고, 인습적 정치 참여의 비중이 높았다. 주로제시되는 참여 유형은 시민단체 활동, 캠페인, 공청회, 주민회의, 서명운동, 청원 등이었다. 또한 4-1교과서에 참여와 관련된 활동 자료가 충분히 제시되지 않고, 학생들의 참여 사례나 학생이 주체적으로 참여를 계획, 실천하는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6-1 교과서에서의 시민 참여는 민주주의 발전과 연계하여 정치 참여를 다루고 있었고, 이 또한 인습적 정치 참여의 비중이 높았다. 주로 제시되는 참여 유형은 시민 단체 활동, 캠페인, 선거 참여, 서명운동, 집회, 미디어를 통한 참여 등 다양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교과서에 참여와 관련된 탐구 활동이 수록되어 있으나 3-4학년군과 유사한 내용과 활동이 반복되었으며, 아동⋅청소년의 참여 사례보다는 성인의 참여 사례를 읽기 자료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급에서부터 정치 참여를 체계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고, 다양한 학생 참여 사례를 제시하는 등 교과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비환, "포스트모던 시대의 정치와 문화" 박영사 2005
2 설규주, "초등학교 사회6-1 2023학년도 검정본" ㈜비상교육 2022
3 박영석, "초등학교 사회4-1" 동아출판㈜ 2021
4 박용조, "초등학교 사회4-1" ㈜천재교과서 2021
5 김정인, "초등학교 사회4-1" ㈜천재교육 2021
6 김현섭, "초등학교 사회 6-12023학년도 검정본" ㈜비상교과서 2022
7 박인현, "초등학교 사회 6-12023학년도 검정본" ㈜지학사 2022
8 전종한,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검정본" ㈜미래엔 2022
9 모경환,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김영사 2022
10 박용조,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천재교과서 2022
1 김비환, "포스트모던 시대의 정치와 문화" 박영사 2005
2 설규주, "초등학교 사회6-1 2023학년도 검정본" ㈜비상교육 2022
3 박영석, "초등학교 사회4-1" 동아출판㈜ 2021
4 박용조, "초등학교 사회4-1" ㈜천재교과서 2021
5 김정인, "초등학교 사회4-1" ㈜천재교육 2021
6 김현섭, "초등학교 사회 6-12023학년도 검정본" ㈜비상교과서 2022
7 박인현, "초등학교 사회 6-12023학년도 검정본" ㈜지학사 2022
8 전종한,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검정본" ㈜미래엔 2022
9 모경환,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김영사 2022
10 박용조,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천재교과서 2022
11 한춘희,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아이스크림미디어 2022
12 박영석,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동아출판㈜ 2022
13 김왕근,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교학사 2022
14 김정인,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천재교육 2022
15 허종렬, "초등학교 사회 6-1 2023학년도 검정본" ㈜금성출판사 2022
16 한춘희, "초등학교 사회 4-1" ㈜아이스크림미디어 2021
17 모경환, "초등학교 사회 4-1" ㈜김영사 2021
18 김현섭, "초등학교 사회 4-1" 비상교육 2021
19 김왕근, "초등학교 사회 4-1" ㈜교학사 2021
20 허종렬, "초등학교 사회 4-1" ㈜금성출판사 2021
21 전종한, "초등학교 사회 4-1" ㈜미래엔 2021
22 설규주, "초등학교 사회 4-1" 비상교육 2021
23 박인현, "초등학교 사회 4-1" ㈜지학사 2021
24 김영인, "참여 민주주의 관점에서 제6차 · 7차 고등학교 사회(일반사회 영역)교과서 비교 분석 -정치 · 법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 (41): 75-101, 2002
25 정준용, "중⋅고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정치참여에 대한 내용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6 김주형, "정치학의 이해" 박영사 2019
27 김현주, "선거권 연령 하향에 따른 사회 교과서의 참여교육 내용 분석" 숙명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2021
28 이혜영, "사회교과서 내 사회참여 관련 탐구활동 내용 분석 : 2007개정 중학교 3학년, 2009개정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9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7])"
30 정원규, "민주주의 두 얼굴 : 참여 민주주의와 숙의 민주주의"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0) : 281-328, 2005
31 유혜영, "민주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참여적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ICCS 2016을 활용한 학교의 맥락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32 한학범,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의 학생참여 방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시민과 사회정의』,『시민과 사회참여』,『학생자치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8 (28): 127-154, 2022
33 성영종, "고등학교 「사회」 및 「법과 정치」교과서의 정치참여 내용에 대한 연계성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4 유명철, "고등학교 정치교과서의 비인습적 정치참여에 대한 내용 지도" 대한정치학회 15 (15): 1-22, 2007
35 유명철, "고등학교 「정치」교과서의 인습적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른 참여 방법 지도"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4 (54): 419-446, 2006
36 박노찬, "고등학교 「법과 정치」 교과서의 정치참여 내용에 대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7 김민지 ; 박선미, "『법과 정치』교과서에 나타난 공간 스케일에 따른 사회 참여 내용 분석" 한국사회과수업학회 4 (4): 19-35, 2016
38 박영석, "Sequence Analysis on Citizen’s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Textbooks"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67-90, 2019
39 Millbrath, L. W., "Political Participation" Rand McNally College Pub Co 1977
40 Verba, S., "Participation in America :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Harper 1972
41 Linssen, R., "International Studies in Sociology and Social Anthropology" Koninklijke Brill NV 2005
42 박가나,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Participation in the Politics Section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by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Participatory Democracy."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65-99, 2012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을 위한 17개 시⋅도 교육청의 조례 분석
IB국제정치 교과서의 인권 단원 내용 분석-사회과 인권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인권 실현을 위한 평화⋅통일교육의 새로운 과제-평화교육의 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