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반도 인권의 실현을 위한 평화⋅통일교육의 새로운 과제를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평화·통일교육이 모든 사람들의 인권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이 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반도 인권의 실현을 위한 평화⋅통일교육의 새로운 과제를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평화·통일교육이 모든 사람들의 인권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이 되�...
이 연구는 한반도 인권의 실현을 위한 평화⋅통일교육의 새로운 과제를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평화·통일교육이 모든 사람들의 인권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톱다운(top-down) 방식의 교육에서 벗어나 평화교육과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Beutelsbacher Konsens)’에서 강조했던 것처럼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보장하여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평화⋅통일교육이 한반도의 인권 문제 가운데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는 세 가지 주제들을 선택했다. 첫째, 분단 상황으로 정당화되었던 권위주의 정치권력의 국가폭력과 그로 인한 인권유린의 역사를 교육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주화 과정에서 국가폭력에 대한 진실규명과 화해의 과정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남북한 사람들의 인권 현실을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인권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남북한의 경제적 격차는 체제의 우월성을 상징하는 요소로 인식되지만, 미래 한반도의 평화와 인권을 위협하는 구조적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일성, "홍용표 “개성공단임금 70%, 당 서기실 상납”…김연철 “탈북자들 카더라 통신인듯”"
2 "한국은행 북한통계"
3 김수경, "한국사회의 무관심이 부른 탈북 모자의 죽음" (CO 19-17) : 2019
4 최이슬 ; 임강택, "한국 언론은 북한 인권문제를 어떻게 조명하는가: LDA를 활용한 신문기사 주제어 분석, 2000-2020" 북한연구학회 26 (26): 251-291, 2022
5 가상준 ; 김재신 ; 임재형, "한국 내 북한이탈주민, 조선족,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혐오감과 관용" 분쟁해결연구센터 12 (12): 65-92, 2014
6 추병완,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제"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7 "평화나눔회 홈페이지 조사 통계"
8 정진성, "평화권 논의의 구조와 전망" 한국인권학회·인권법학회 1 (1): 1-35, 2018
9 "통계청 홈페이지"
10 OHCHR, "토론서: 발전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여타 유엔 회원국에 갖는 시사점"
1 민일성, "홍용표 “개성공단임금 70%, 당 서기실 상납”…김연철 “탈북자들 카더라 통신인듯”"
2 "한국은행 북한통계"
3 김수경, "한국사회의 무관심이 부른 탈북 모자의 죽음" (CO 19-17) : 2019
4 최이슬 ; 임강택, "한국 언론은 북한 인권문제를 어떻게 조명하는가: LDA를 활용한 신문기사 주제어 분석, 2000-2020" 북한연구학회 26 (26): 251-291, 2022
5 가상준 ; 김재신 ; 임재형, "한국 내 북한이탈주민, 조선족,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혐오감과 관용" 분쟁해결연구센터 12 (12): 65-92, 2014
6 추병완,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제"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7 "평화나눔회 홈페이지 조사 통계"
8 정진성, "평화권 논의의 구조와 전망" 한국인권학회·인권법학회 1 (1): 1-35, 2018
9 "통계청 홈페이지"
10 OHCHR, "토론서: 발전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여타 유엔 회원국에 갖는 시사점"
11 Senghaas, Dieter, "지상의 평화를 위하여 : 인식과 추측" 아카넷 21-30, 2016
12 OHCHR,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인권상화 관련 인권최고대표사무소의 역할과성과에 관한 유엔 인권최고대표 인권이사회 제출보고서" 2016
13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역사비평사 1995
14 이대훈, "제3세대 인권과 북한" 통일연구원 2019
15 오시진, "제3세대 인권과 북한" 통일연구원 2019
16 정욱식, "제3세대 인권과 북한" 통일연구원 2019
17 Schmidt, Carl, "정치적인 것의 개념" 살림출판사 2012
18 이준일, "이산가족의 ‘가족에 관한 권리’" 헌법재판소 25 : 289-326, 2014
19 OHCHR, "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구금된 여성을 대상으로한 인권침해"
20 황정미,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국제지역연구원 23 (23): 311-346, 2016
21 OHCHR, "분단의 아픔: 인권으로 접근한 한반도 비자발적 가족 분리"
22 이우영, "분단된 마음 잇기: 남북의 접촉지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23 이수정, "북한인에 대한 남녀의 편견 연구" 4 (4): 1999
24 김원식, "북한인권개선을 위한 다면적 접근 원칙과 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2
25 윤철기, "북한이탈주민의 노동권과 마음의 통합 : 인천시 남동구의 비정규직·비공식분야 노동자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7 (7): 103-131, 2014
26 권수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국민의 태도" 한국정치연구소 20 (20): 129-153, 2011
27 추병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고정관념 해소를 위한 교수 전략" 평화문제연구소 23 (23): 29-62, 2011
28 북한이탈주민재단, "북한이탈주민실태조사" 2020
29 이소희, "북한이탈주민 인권피해 트라우마 실태조사" 국립중앙의료원 2017
30 서보혁 ; 정상우 ; 김윤나, "북한이탈주민 인권교육의 당위성 고찰" 교육연구소 23 (23): 49-71, 2017
31 김연철,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역사비평사 2001
32 박형중, "북한의 개혁⋅개방과 체제변화" 해남 2004
33 최완규, "북한은 어디로"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6
34 윤철기, "북한 시장화의 정치학: 김정은 시대, 경제적 변화의 정치적 함의" 극동문제연구소 38 (38): 125-168, 2022
35 마인섭, "북한 문제와 남남 갈등"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36 Hobbes, Thomas, "리바이어던" 풀빛 2009
37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38 OHCHR, "권리의 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적합한 생활수준을 누릴 권리의침해"
39 "고용노동부 통계, 월평균임금"
40 김소정, "“판문점 선언=위장 평화쇼”…정청래 “삐뚤어진 당신, 무인도서 혼자 실길”"
41 Bajaj, Monisha, "‘Pedagogies of Resistance’ and Critical Peace Education Praxis" 12 (12): 2015
42 Stangarone, Troy, "Why Tech Cooperation will Reshape South Korea-U.S. Relations"
43 Paton, Elizabeth, "Who Made Your World Cup Jersey?"
44 UN인권사무소,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Korean"
45 Dalton, Toby., "Thinking Nuclear: South Korean Attitudes on Nuclear Weapons"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2022
46 Butler, Paul, "The Problem of State Violence" 1 : 2022
47 Bevington, Terence, "The Palgrave Handbook of Citizenship and Education" Palgrave Macmilan 2019
48 윤철기, "The Current Issues of Inter-Korean Social Integration and the New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19 (19): 417-, 2016
49 Snauwaert, Dale, "Social Justice a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Critical Peace Education" 8 (8): 2011
50 Van Ness, Daniel, "Restoring Justice: An Introduction to Restorative Justice" Matthew Bender And Company 2010
51 Bloomfield, David, "Reconciliation After Violent Conflict: A Handbook" International IDEA 2003
52 Hellmuth, Thomas, "Politische Bildung" Böhlau Verlag 2010
53 Ruggiero, Vincenzo, "Political Violence: A Typology" 5 : 2017
54 Dumouchel, Paul, "Political Violence and Democracy" 23 (23): 2012
55 Harris, Ian, "Peace education theory" 1 (1): 2004
56 Bajaj, Monisha, "Peace education inconflict and post-conflict societies: Comparative perspectives" Palgrave MacMillan 2009
57 Bajaj, Monisha, "Pea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Bloomsbury 2016
58 Navarro-Castro, Loreta, "Peace Education : a Pathway to a Culture of Peace" the Center for Peace Education, Miriam College 2010
59 Keethanponcalan, Soosaipillai, "North-South Relations and Human Rights" 2 (2): 2015
60 윤철기, "New Task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Peace and Human Rights in the New Normal Era" Korea Human Rights and Law-Related Education Association 15 (15): 65-94, 2022
61 Wang, Zheng, "Memory Politics, Identity, and Conflic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62 Habermas, Jürgen, "Legitimationsprobleme im Spätkapitalismus" Suhrkamp 1973
63 Reardon, Betty, "Human Rights Education for the Twenty First Centu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7
64 Bajaj, Monisha, "Human Rights Education" 33 (33): 2011
65 Mickel, Wolfgang, "Handbuch zur politischen Bildung" Wochenschau-Verlag 1999
66 Harris, Ian, "Handbook on Peace Education" Psychology Press 2009
67 Salomon, Gavriel, "Handbook on Building Cultures of Peace" Springer 2009
68 Galtung, Joan, "Handbook of Peace Education"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Association 1974
69 Institute for Economics and Peace, "Global Peace Index 2022"
70 Guetta, Silvia, "From Peace Education to Culture of Peace : Context and Issues" 16 (16): 2013
71 Weber, Max. Gerth, "From Max Weber Essays in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46
72 Johnson, David, "Essential Components of Peace Education" 44 (44): 2005
73 Bajaj, Monisha, "Encyclopedia of Peace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 2008
74 Reimers, Fernando, "Education for Human Rights in Times of Peace and Conflict" 54 (54): 2010
75 Brantmeier, Edward, "Educating About Social Issues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A Critical Annotated Bibliography. Volume 2" Information Age Publishers 2013
76 UN인권사무소,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Peoples to Peace"
77 Brantmeier, Edward, "Critical Pedagogy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11
78 Gounari, Panayota, "Critical Peace Education: Difficult Dialogues" Springer 2013
79 Crawford, Donna,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U.S. Department of Justice and U.S. Department of Education"
80 Bajaj, Monisha, "Conceptualising critical peace education for conflict settings" 2 : 2019
81 Rieff, David, "A New Age of Liberal Imperialism?" 16 (16): 1999
82 윤철기,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ystem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cusing on Changes of Systems' Characteristics since Economic Crisis in 1990s" 극동문제연구소 33 (33): 123-166, 2017
83 Vasak, Kare, "A 30-year Struggle"
84 관계부처 합동, "2022년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2022
85 김범수, "2022 한국인의 통일의식: 기로에 선 평화, 다시 묻는 통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22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을 위한 17개 시⋅도 교육청의 조례 분석
IB국제정치 교과서의 인권 단원 내용 분석-사회과 인권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나타난 정치 참여의 개념과 양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