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us 표면세포는 구형으로 유기하여 여러 세포로 분열하였고, 분열형태는 혹과같은 형태이었다. 이렇게 분열된 세포는 기관형성의 전단계인 dome 형태로 분화하여 shoot로 재생하였다. 분화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38204
1994
Korean
476.1
학술저널
23-29(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Cellus 표면세포는 구형으로 유기하여 여러 세포로 분열하였고, 분열형태는 혹과같은 형태이었다. 이렇게 분열된 세포는 기관형성의 전단계인 dome 형태로 분화하여 shoot로 재생하였다. 분화한...
Cellus 표면세포는 구형으로 유기하여 여러 세포로 분열하였고, 분열형태는 혹과같은 형태이었다. 이렇게 분열된 세포는 기관형성의 전단계인 dome 형태로 분화하여 shoot로 재생하였다. 분화한 dome의 주위에는 또다른 shoot의 분화가 관찰되었다. 분열하는 callus세포표면에는 섬유상의 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rphological changes of wild viola(V.patrinii DC.) callus were observed using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ion microscope. Initially on the surface of the callus globular structures were observed. These globular structures were then divided...
Morphological changes of wild viola(V.patrinii DC.) callus were observed using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ion microscope. Initially on the surface of the callus globular structures were observed. These globular structures were then divided into cell-like structures, and thereafter the cell-like structures formed dome-like formations and finally shoots developed around the dome-like structures. Although several workers reported the presence of fibrillar substance on the surface of the dividing callus, any fibrillar substance was not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dividing callus from wild viola petiole segments.
Dendrobium loddigesii Rolfe의 幼苗 生育에 미치는 培地 組成의 影響
Aspergillus oryzae NRRL 3485로 부터 β-fructofuranosidase 생성의 최적배양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