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견봉의 형태가 회전근 개 파열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0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견봉의 형태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회전근 개 파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평균 나이 55.6세(범위, 27-85세)인 회전근 개 파열 91명을 환자군으로...

      목적: 견봉의 형태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회전근 개 파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평균 나이 55.6세(범위, 27-85세)인 회전근 개 파열 91명을 환자군으로, 평균 나이 42.9세(범위, 18-72세)인 정상 견관절을 포함한 견관절 질환 환자 10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MRI의 사관상 면에서 견봉의 외측 확장 정도(lateral extension)와 외측 견봉각을 측정하였고, 극상근 출구상에서 견봉의 전방 덮임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회전근 개 파열 환자와 대조군에서 견봉의 외측 확장 정도는 각각 0.70±0.07, 0.64±0.10, 외측 견봉각은 72.6±6.5°, 76.4±6.5°, 견봉의 전방 덮임 정도는 0.55±013, 0.51±0.14로 측정되었으며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견봉의 외측 확장 정도가 더 크고 견봉각이 더 작게 측정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p<0.001). 또한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견봉의 외측 확장 정도와 견봉각 사이의 상관 계수는 각각 0.44, -0.46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p<0.001).
      결론: 견봉의 외측 확장 정도와 외측 견봉각의 측정은 견봉의 형태를 결정하고 회전근 개 파열과의 상관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shape of the acromion was analyzed radiologically to assess the effect on rotator cuff tears. Materials and Methods: The rotator cuff tear group consisted of 91 patients with a mean age 55.6 years (range, 27-85 years) and the normal sh...

      Purpose: The shape of the acromion was analyzed radiologically to assess the effect on rotator cuff tears.
      Materials and Methods: The rotator cuff tear group consisted of 91 patients with a mean age 55.6 years (range, 27-85 years) and the normal shoulder articular diseas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0 subjects with a mean age of 42.9 years (range, 18-72 years). The lateral extension of the acromion and the lateral acromial angle were measured on an oblique coronal MRI, and the anterior covering of the acromionon was measured on a supraspinatus outlet view.
      Results: The lateral extension of the acrominon of the rotator cuff tear group of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of subjects was 0.70±0.07 and 0.64±0.10, respectively. The lateral acromial angle was 72.6±6.5° and 76.4±6.5°, respectively, and the anterior covering of the acromion was measured to be 0.55±0.13 and 0.51±0.14, respectively. In a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of subjects, the lateral extension of the acrominon of the rotator cuff tear group of patients was larger and the lateral acromial angle was smaller; these finding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addi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lateral extension of the acromion to the lateral acromial angle in the rotator cuff tear group of patients and in the control group of subjects was -0.44 and -0.46, respective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eeen (p<0.0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easurement of the lateral extension of the acromion and the lateral acromial angle determines the shape of the acromion, and thus it may represent a useful marker to confirm the interrelationship of a rotator cuff te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no K, "Use of a thirty- degree caudal tilt radiograph in the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1 : 246-252, 1992

      2 Loehr J, "The pathogenesis of degenerative rotator cuff tears" 11 (11): 1987

      3 Bigliani LU, "The morphology of the acromion and its relationship to rotator cuff tears" 10 (10): 1986

      4 Zuckerman JD, "The influence of the cor- acoacromial arch anatomy on rotator cuff tears" 1 : 4-14, 1992

      5 Neer CS, "Supraspinatus outlet" Paper presented at ASES 3rd open meeting 1987

      6 Banas MP,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ral acromion angle and rotator cuff disease" 4 : 454-461, 1995

      7 MacGillivray JD, "Multiplanar analysis of acromion morphology" 26 : 836-840, 1998

      8 Tetreault P, "Glenoid version and rotator cuff tears" 22 : 202-207, 2004

      9 Wang JC, "Comparison of MRI and radiographs in the evaluation of acromial morphology" 23 : 1269-1271, 2000

      10 Nyffeler RW, "Association of a large lateral extension of the acromion with rotator cuff tears" 88 : 800-805, 2006

      1 Ono K, "Use of a thirty- degree caudal tilt radiograph in the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1 : 246-252, 1992

      2 Loehr J, "The pathogenesis of degenerative rotator cuff tears" 11 (11): 1987

      3 Bigliani LU, "The morphology of the acromion and its relationship to rotator cuff tears" 10 (10): 1986

      4 Zuckerman JD, "The influence of the cor- acoacromial arch anatomy on rotator cuff tears" 1 : 4-14, 1992

      5 Neer CS, "Supraspinatus outlet" Paper presented at ASES 3rd open meeting 1987

      6 Banas MP,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ral acromion angle and rotator cuff disease" 4 : 454-461, 1995

      7 MacGillivray JD, "Multiplanar analysis of acromion morphology" 26 : 836-840, 1998

      8 Tetreault P, "Glenoid version and rotator cuff tears" 22 : 202-207, 2004

      9 Wang JC, "Comparison of MRI and radiographs in the evaluation of acromial morphology" 23 : 1269-1271, 2000

      10 Nyffeler RW, "Association of a large lateral extension of the acromion with rotator cuff tears" 88 : 800-805, 2006

      11 Neer CS, "Anterior acromioplasty for the chronic impingement syndrome in the shoulder. A preliminary report" 54 : 41-50, 1972

      12 Toivonen DA, "Acromial structure and tears of the rotator cuff" 4 : 376-383, 1995

      13 Getz JD, "Acromial morphology: relation to sex, age, symmetry, and subacromial enthesophytes" 199 : 737-742, 1996

      14 Tuite MJ, "Acromial angle on radiographs of the shoulder: Correlation with the impingement syndrome and rotator cuff tears" 165 : 609-613,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8 0.2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