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스포츠인권에 대한 엘리트지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lite Coaches' Perception on Sports Human Ri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3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ite sports leaders' perceptions of sports human righ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leaders who are currently coaching elite sports play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the leader's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sports human rights, 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ports human rights. N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sentiment,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between athletes and leaders, perception of thei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erception of their human rights protection. Fin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behavior,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erception of his efforts to promote sports human rights and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sports environment to promote sports human righ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institution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human rights awareness of sports leaders, and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ports field in a human rights-friendly mann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ite sports leaders' perceptions of sports human righ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leaders who are currently coaching elite sports play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ite sports leaders' perceptions of sports human righ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leaders who are currently coaching elite sports play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the leader's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sports human rights, 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ports human rights. N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sentiment,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between athletes and leaders, perception of thei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erception of their human rights protection. Fin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der's perception of sports human rights behavior,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erception of his efforts to promote sports human rights and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sports environment to promote sports human righ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institution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human rights awareness of sports leaders, and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ports field in a human rights-friendly mann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스포츠인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엘리트 스포츠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스포츠인권 인지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스포츠인권 개념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스프츠인권 필요성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스포츠인권 정서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에 대한 선수와 지도자의 인식 차이, 자신의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인식, 자신의 인권보호 상황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끝으로 스포츠인권 행동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 증진을 위한 자신의 노력에 대한 인식, 스포츠인권 증진을 위한 스포츠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포츠지도자의 인권의식 확립을 위한 제도 및 정책 제언에 활용되고자 하며, 인권친화적인 스포츠 환경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스포츠인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엘리트 스포츠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스포츠인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엘리트 스포츠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스포츠인권 인지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스포츠인권 개념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스프츠인권 필요성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스포츠인권 정서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에 대한 선수와 지도자의 인식 차이, 자신의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인식, 자신의 인권보호 상황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끝으로 스포츠인권 행동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포츠인권 증진을 위한 자신의 노력에 대한 인식, 스포츠인권 증진을 위한 스포츠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포츠지도자의 인권의식 확립을 위한 제도 및 정책 제언에 활용되고자 하며, 인권친화적인 스포츠 환경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연석, "??논어??에서 공동체의 가치와 ‘신뢰[信]’개념" 철학사상연구소 (15) : 7-192, 2002

      2 양천수, "현대 안전사회의 헌법학적 문제 - 법이론의 관점을 겸하여 -" 헌법재판연구원 7 (7): 3-37, 2020

      3 오병훈, "한국 인권정책의 가외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개발학회 16 (16): 113-143, 2016

      4 임효성 ; 임다연,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입장에서 본 스포츠인권" 한국체육정책학회 20 (20): 81-95, 2022

      5 김태일 ; 백남섭, "태권도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지도자신뢰와 지도자-선수 교환관계(LMX)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 (14): 219-230, 2016

      6 이정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제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수현, "청소년의 인권의식과 문화지능과의 관계 탐색"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1 (11): 71-97, 2018

      8 김자영, "청소년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법교육학회 6 (6): 57-83, 2011

      9 김자영, "청소년 인권의식의 유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0 송용관 ; 최영준 ; 황승현,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의 질투심과 무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2 (22): 34-44, 2020

      1 엄연석, "??논어??에서 공동체의 가치와 ‘신뢰[信]’개념" 철학사상연구소 (15) : 7-192, 2002

      2 양천수, "현대 안전사회의 헌법학적 문제 - 법이론의 관점을 겸하여 -" 헌법재판연구원 7 (7): 3-37, 2020

      3 오병훈, "한국 인권정책의 가외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개발학회 16 (16): 113-143, 2016

      4 임효성 ; 임다연,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입장에서 본 스포츠인권" 한국체육정책학회 20 (20): 81-95, 2022

      5 김태일 ; 백남섭, "태권도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지도자신뢰와 지도자-선수 교환관계(LMX)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 (14): 219-230, 2016

      6 이정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제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수현, "청소년의 인권의식과 문화지능과의 관계 탐색"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1 (11): 71-97, 2018

      8 김자영, "청소년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법교육학회 6 (6): 57-83, 2011

      9 김자영, "청소년 인권의식의 유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0 송용관 ; 최영준 ; 황승현, "지도자의 상호소통방식이 선수의 질투심과 무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2 (22): 34-44, 2020

      11 구정화, "일상의 인권경험이 초등학생의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25, 2016

      12 정상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의 청소년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147-169, 2013

      13 박인현, "인성교육진흥법상 핵심 가치·덕목과 법교육"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8 (8): 25-52, 2015

      14 조효제, "인권의 문법" 후마니타스 2007

      15 김녕, "인권교육의 시각에서 인성교육, 깨달음과 바뀜, 그리고 희망 바라보기" 인간학연구소 (28) : 65-96, 2015

      16 류미령, "인권교육을 통한 아동권리 증진방안"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0 (10): 135-162, 2017

      17 전형준, "의사소통의 규칙과 보편적 인권의 정당화 ― 국제법의 헌법화의 재논의와 타인을 존중하는 의사소통규칙 ―" 공익인권법센터 (28) : 309-340, 2022

      18 김관현 ; 박준석 ; 김주연 ; 이원희, "유도 엘리트 선수와 지도자 간의 상호갈등에 대한 이해" 대한무도학회 12 (12): 173-186, 2010

      19 임다연 ; 임효성, "엘리트스포츠 영역의 법정의무교육 현황 및 개선방향: 스포츠지도자의 학습피로를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소 40 (40): 167-174, 2022

      20 나달숙, "아동・청소년의 인권보장과 인권교육의 방향" 젠더법학연구소 14 (14): 53-92, 2022

      21 강지영, "아동 · 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아동 · 청소년 인권실태 2019 심화분석보고서 : 청소년의 폭력피해 및 인권존중 경험 유형 및 특성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4, 2019

      22 "스포츠윤리센터"

      23 이의빈 ; 노주은 ; 임수호 ; 이서우, "부모의 의사결정 존중 양육태도는 어떠한 경로로 자녀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 가정 내 인권존중 경험과 자아존중감에 주목하여" 한국청소년학회 29 (29): 377-406, 2022

      24 서창록, "그래도 나아간다는 믿음" 북스톤 2022

      25 "국가인권위원회법"

      26 박지현, "교사의 학생인권 존중 정도 및 학생의 자존감이 또래괴롭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생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69-194, 2014

      27 이승은, "골프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543-551, 2016

      28 Schriesheim, C. A., "Leader-Member Exchange(LMX)research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ory, measurement, and data-analytic practices" 10 : 63-113, 1999

      29 Mathes, E. W., "Jealousy : Loss of relationship rewards, loss of self-esteem,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48 : 1552-1561, 1985

      30 구정화, "2009년 개정 10학년 사회의 ‘인권’ 내용 관련 쟁점과 과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3 (3): 22-37, 2010

      31 국가인권위원회,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국가인권위원회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