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내시경 지혈술을 시행받은 소화성궤양 환자에서 재출혈 예방에 대한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의 경구 및 정맥투여의 효과 비교 =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High-dose Oral and Intravenous Proton Pump Inhibitor on the Prevention of Rebleeding after Endoscopic Treatment of Bleeding Peptic Ulc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The use of proton pump inhibitor (PPI) prevents rebleeding by elevating the intragastric pH in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after hemostasis has been achieved. We assessed if high-dose oral pantoprazole is as effective as high-dose intravenous pantoprazole for their ability to prevent rebleeding after having achieved initial hemostasis in patients with active bleeding or nonbleeding visible vessels. Methods: Thirty eight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who had achieved initial hemostasis were enrolled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the high-dose oral pantoprazole group (n=19), 40 mg of pantoprazole was given orally twice daily for 5 days. In the high-dose intravenous pantoprazole group (n=19), an 80 mg intravenous bolus of pantoprazole was given; this was followed by 8 mg/hour of continuous infusion daily for 3 days. Thereafter, 40 mg of pantoprazole was given orally once daily for 8 weeks. Results: The two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Rebleeding occurred in 2 patients (10.5%) in the intravenous group and in 1 patient in the oral group (5.3%) by day 30 after enrollment (p=1.0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rapeutic endoscopic sessions (1 vs. 1.13 0.52), the surgery (0% vs. 0%), the bleeding related mortality (0% vs. 0%), and the mean number of units of transfused blood. Conclusions: The high-dose oral pantoprazole is as effective as a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reducing rebleeding episodes in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after successful endoscopic therap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6-11)
      번역하기

      Background/Aims: The use of proton pump inhibitor (PPI) prevents rebleeding by elevating the intragastric pH in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after hemostasis has been achieved. We assessed if high-dose oral pantoprazole is as effective as high...

      Background/Aims: The use of proton pump inhibitor (PPI) prevents rebleeding by elevating the intragastric pH in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after hemostasis has been achieved. We assessed if high-dose oral pantoprazole is as effective as high-dose intravenous pantoprazole for their ability to prevent rebleeding after having achieved initial hemostasis in patients with active bleeding or nonbleeding visible vessels. Methods: Thirty eight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who had achieved initial hemostasis were enrolled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the high-dose oral pantoprazole group (n=19), 40 mg of pantoprazole was given orally twice daily for 5 days. In the high-dose intravenous pantoprazole group (n=19), an 80 mg intravenous bolus of pantoprazole was given; this was followed by 8 mg/hour of continuous infusion daily for 3 days. Thereafter, 40 mg of pantoprazole was given orally once daily for 8 weeks. Results: The two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Rebleeding occurred in 2 patients (10.5%) in the intravenous group and in 1 patient in the oral group (5.3%) by day 30 after enrollment (p=1.0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rapeutic endoscopic sessions (1 vs. 1.13 0.52), the surgery (0% vs. 0%), the bleeding related mortality (0% vs. 0%), and the mean number of units of transfused blood. Conclusions: The high-dose oral pantoprazole is as effective as a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reducing rebleeding episodes in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s after successful endoscopic therap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6-11)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는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하고 출혈부위의 피덩이를 안정화시켜 궤양성 출혈환자에 있어 재출혈의 빈도를 낮춘다.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정맥투여는 위 내 pH를 중성에 가깝게 유지하지만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경구투여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에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로 궤양 출혈환자에게 내시경 치료 후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경구투여가 정맥투여와 동일한 지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비교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상부위장관 출혈로 경희의료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하였던 환자 중 고위험군의 궤양 출혈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시경 치료로 에피네프린 주사법과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법(argon plasma coagulation, APC) 병합요법을 시행한 후, 무작위로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n=19)은 판토프라졸 40 mg을 하루 2회, 5일간 투여하였으며, 고용량 판토프라졸 정맥투여군(n=19)은 초기 80 mg을 정맥주사하고 그 이후 유지요법으로 3일간 시간당 8 mg의 속도로 정맥주입하였다. 두 군 간에 7일째와 30일째의 재출혈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 사이에는 연령, 성, 궤양의 위치, 궤양의 출혈징후, 크기, 내원 당시 쇼크 상태, 헤모글로빈, 동반질환, 헬리코박터 감염 유무, 과거의 궤양 또는 출혈성 궤양의 기왕력,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복용 기왕력, 흡연력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일과 30일째의 재출혈률은 정맥투여군에서 각각 10.5%였고 경구투여군은 각각 0%, 5.3%였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7일째 재출혈률, p=0.486; 30일째 재출혈률, p=1.000).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 사이에 수술률, 사망률, 치료내시경 횟수, 수혈량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고위험군의 궤양 출혈환자에서 내시경 지혈술 후에 고용량 PPI 경구투여는 정맥투여와 대등하게 재출혈률을 감소시켰고,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도 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목적: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는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하고 출혈부위의 피덩이를 안정화시켜 궤양성 출혈환자에 있어 재출혈의 빈도를 낮춘다.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

      목적: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는 위산 분비를 강력히 억제하고 출혈부위의 피덩이를 안정화시켜 궤양성 출혈환자에 있어 재출혈의 빈도를 낮춘다.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정맥투여는 위 내 pH를 중성에 가깝게 유지하지만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경구투여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에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로 궤양 출혈환자에게 내시경 치료 후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경구투여가 정맥투여와 동일한 지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비교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상부위장관 출혈로 경희의료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하였던 환자 중 고위험군의 궤양 출혈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시경 치료로 에피네프린 주사법과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법(argon plasma coagulation, APC) 병합요법을 시행한 후, 무작위로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n=19)은 판토프라졸 40 mg을 하루 2회, 5일간 투여하였으며, 고용량 판토프라졸 정맥투여군(n=19)은 초기 80 mg을 정맥주사하고 그 이후 유지요법으로 3일간 시간당 8 mg의 속도로 정맥주입하였다. 두 군 간에 7일째와 30일째의 재출혈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고용량 판토프라졸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 사이에는 연령, 성, 궤양의 위치, 궤양의 출혈징후, 크기, 내원 당시 쇼크 상태, 헤모글로빈, 동반질환, 헬리코박터 감염 유무, 과거의 궤양 또는 출혈성 궤양의 기왕력,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복용 기왕력, 흡연력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일과 30일째의 재출혈률은 정맥투여군에서 각각 10.5%였고 경구투여군은 각각 0%, 5.3%였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7일째 재출혈률, p=0.486; 30일째 재출혈률, p=1.000). 경구투여군과 정맥투여군 사이에 수술률, 사망률, 치료내시경 횟수, 수혈량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고위험군의 궤양 출혈환자에서 내시경 지혈술 후에 고용량 PPI 경구투여는 정맥투여와 대등하게 재출혈률을 감소시켰고,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도 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reatment with histamine H2 antagonists in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Implications of randomized trials" 313 : 660-666, 1985

      2 "The effect of endoscopic therapy in patients receiving omeprazole for bleeding ulcers with nonbleeding visible vessels or adherent clots" 139 : 237-243, 2003

      3 "The cost-effectiveness of high-dose oral proton pump inhibition after endoscopy in the acute treatment of peptic ulcer bleeding" 20 : 195-202, 2004

      4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epinephrine injection plus heat probe coagulation versus epinephrine injection plus argon plasma coagulation for bleeding peptic ulcers" 57 : 455-461, 2003

      5 "Proton pump inhibitors versus H2-antagonists" 15 : 917-926, 2001

      6 "Prediction of resource utilization and case cost for acute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 at a Canadian community hospital" 94 : 1841-1846, 1999

      7 "Omeprazole as adjunvant therapy to endoscopic combination injection sclerotherapy for treating bleeding peptic ulcer" 111 : 280-284, 2001

      8 "Nonvariceal Upper GI Bleeding Consensus Conference Group" 139 : 843-857, 2003

      9 "Meta-analysis of proton pump inhibitors in treatment of bleeding peptic ulcers" 35 : 1528-1534, 2001

      10 "Interethnic differences in omeprazole metabolism in the two S-mephenytoin hydroxylation phenotypes studied in Caucasians and Orientals" 16 : 214-215, 1994

      1 "Treatment with histamine H2 antagonists in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Implications of randomized trials" 313 : 660-666, 1985

      2 "The effect of endoscopic therapy in patients receiving omeprazole for bleeding ulcers with nonbleeding visible vessels or adherent clots" 139 : 237-243, 2003

      3 "The cost-effectiveness of high-dose oral proton pump inhibition after endoscopy in the acute treatment of peptic ulcer bleeding" 20 : 195-202, 2004

      4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epinephrine injection plus heat probe coagulation versus epinephrine injection plus argon plasma coagulation for bleeding peptic ulcers" 57 : 455-461, 2003

      5 "Proton pump inhibitors versus H2-antagonists" 15 : 917-926, 2001

      6 "Prediction of resource utilization and case cost for acute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 at a Canadian community hospital" 94 : 1841-1846, 1999

      7 "Omeprazole as adjunvant therapy to endoscopic combination injection sclerotherapy for treating bleeding peptic ulcer" 111 : 280-284, 2001

      8 "Nonvariceal Upper GI Bleeding Consensus Conference Group" 139 : 843-857, 2003

      9 "Meta-analysis of proton pump inhibitors in treatment of bleeding peptic ulcers" 35 : 1528-1534, 2001

      10 "Interethnic differences in omeprazole metabolism in the two S-mephenytoin hydroxylation phenotypes studied in Caucasians and Orientals" 16 : 214-215, 1994

      11 "Endoscopy in gastrointestinal bleeding" 2 : 394-397, 1974

      12 "Efficacy of primed infusions with high dose ranitidine and omeprazole to maintain high intragastric pH in patients with peptic ulcer bleeding" 40 : 36-41, 1997

      13 "Effect of repeated injection and continuous infusion of omeprazole and ranitidine on intragastric pH over 72 hours" 94 : 351-357, 1999

      14 "Effect of oral omeprazole in reducing re-bleeding in bleeding peptic ulcers" 17 : 211-216, 2003

      15 "Effect of intravenous omeprazole on recurrent bleeding after endoscopic treatment of bleeding peptic ulcers" 343 : 310-316, 2000

      16 "Effect of acid and pepsin on blood 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A possible contributor prolonged gastroduodenal mucosal hemorrhage" 74 : 38-43, 1978

      17 "Comparison of oral omeprazole and endoscopic ethanol injection therapy for prevention of recurrent bleeding from peptic ulcers with nonbleeding visible vessels or fresh adherent clots" 97 : 1736-1740, 2002

      18 "Combination therapy using adrenaline and heater probe to reduce rebleeding in patients with peptic ulcer haemorrhage" 82 : 223-226, 1995

      19 "Clot lysis by gastric juice:an in vitro study" 30 : 1704-1707, 1989

      20 "Bleeding peptic ulcer" 331 : 717-727, 1994

      21 "A comparison of omeprazole and placebo for bleeding peptic ulcer" 336 : 1054-1058,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