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대장 내시경 전처치로서 Polyethylene Glycol 용액 분할 복용과 대장운동 촉진제 병합 요법 사이의 효과 비교 분석 =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Divided Dose of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with Stimulant Laxative Plus Low Dose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for Colon Clean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0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acy and patient's tolerance between those given a divided dose of a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PEG) and those given a stimulant laxative plus a reduced dose of PEG. Methods: 190 consecutive patients for colon cleasing were randomized into 3 groups. In group A, 2 L of PEG was administered on the evening prior to the colonoscopy followed by 2 L of the same solution on the morning of colonoscopy. In group B, 2 L of PEG was administered in the morning only. In group C, 2 bisacodyl tablets (10 mg) were administered on the evening prior to colonoscopy and 2 L of PEG was administered in the morning. The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tolerance to the bowel preparation before the colonoscopy. The endoscopists scored the adequacy of the bowel preparation using the Ottawa scale along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the procedure. Results: While 4 patients (6.7%) could not completely take the recommended dose in group A, all patients in groups B and C could take the recommended dose (p=0.012). The patients in Group B had a better tolerance and fewer side effects than those in Group A (p=0.01). A higher adequacy of bowel preparation was observed in group A than in group B (p=0.000) and there appeared to be a higher adequacy of bowel preparation in Group C than in Group B (p=0.06). Conclusions: The 2 L PEG solution only does not appear to be as effective as a bowel cleansing agent for colonoscopy compared with the divided 4 L PEG solution.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side effects and efficacy was observed between the divided 4 L PEG solution and the combination of bisacodyl 10 mg with 2 L of a PEG solu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1-5)
      번역하기

      Background/Aims: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acy and patient's tolerance between those given a divided dose of a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PEG) and those given a stimulant laxative plus a reduced dose of PEG. Methods: 190 consecutive patients for...

      Background/Aims: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acy and patient's tolerance between those given a divided dose of a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PEG) and those given a stimulant laxative plus a reduced dose of PEG. Methods: 190 consecutive patients for colon cleasing were randomized into 3 groups. In group A, 2 L of PEG was administered on the evening prior to the colonoscopy followed by 2 L of the same solution on the morning of colonoscopy. In group B, 2 L of PEG was administered in the morning only. In group C, 2 bisacodyl tablets (10 mg) were administered on the evening prior to colonoscopy and 2 L of PEG was administered in the morning. The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tolerance to the bowel preparation before the colonoscopy. The endoscopists scored the adequacy of the bowel preparation using the Ottawa scale along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the procedure. Results: While 4 patients (6.7%) could not completely take the recommended dose in group A, all patients in groups B and C could take the recommended dose (p=0.012). The patients in Group B had a better tolerance and fewer side effects than those in Group A (p=0.01). A higher adequacy of bowel preparation was observed in group A than in group B (p=0.000) and there appeared to be a higher adequacy of bowel preparation in Group C than in Group B (p=0.06). Conclusions: The 2 L PEG solution only does not appear to be as effective as a bowel cleansing agent for colonoscopy compared with the divided 4 L PEG solution.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side effects and efficacy was observed between the divided 4 L PEG solution and the combination of bisacodyl 10 mg with 2 L of a PEG solu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1-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대장 내시경 검사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대장 정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동시에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4 L polyethylene glycol (PEG) 용액을 분할 복용하는 방법과 저용량의 PEG 용액 복용, 그리고 대장 운동 촉진제인 비사코딜과 저용량의 PEG를 병용하는 전처치법 사이에 대장 정결 효과와 환자의 순응도 및 부작용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소화기 내시경실로 방문하여 대장 내시경을 시행 받은 외래 환자 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 받을 예정인 환자를 무작위로 3군으로 분류하여 A군은 검사 전날 저녁과 당일 오전에 PEG 2 L씩을 복용토록 하였으며, B군은 검사 당일 PEG 2 L를 복용토록 하였다. C군은 검사 전날 저녁식후 2시간에 비사코딜 10 mg을 복용토록 하고 검사 당일 PEG 2 L를 복용토록 하였다. 피검자의 불편 정도와 재검사 용의를 검사 시행 직전 설문 조사하였고, 4명의 내시경의가 Ottawa 척도를 이용하여 대장 정결도와 검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A군에서 4예(6.7%)에서 다 복용하지 못하였으며, B군과 C군에서는 다 복용하지 못한 환자들이 없었다(p=0.012).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2 L를 단독 복용한 B군이 4 L 분할 복용한 A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으나(p=0.01), 재검사 용의를 묻는 설문에서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0.448).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대장 정결도가 우수하였고(p=0.000), C군 또한 B군에 비해 p-value가 0.06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정결도가 더 우수해 보였다. 결론: PEG 4 L 분할 복용이나 대장운동촉진제와 저용량의 PEG의 병용은 두 방법 사이에 순응도와 대장 정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2 L PEG 복용에 비하여 대장 정결도에서 우수한 대장 전처치 방법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목적: 대장 내시경 검사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대장 정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동시에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4 L polyethylene glycol (PEG) 용액을 ...

      목적: 대장 내시경 검사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대장 정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동시에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4 L polyethylene glycol (PEG) 용액을 분할 복용하는 방법과 저용량의 PEG 용액 복용, 그리고 대장 운동 촉진제인 비사코딜과 저용량의 PEG를 병용하는 전처치법 사이에 대장 정결 효과와 환자의 순응도 및 부작용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소화기 내시경실로 방문하여 대장 내시경을 시행 받은 외래 환자 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 받을 예정인 환자를 무작위로 3군으로 분류하여 A군은 검사 전날 저녁과 당일 오전에 PEG 2 L씩을 복용토록 하였으며, B군은 검사 당일 PEG 2 L를 복용토록 하였다. C군은 검사 전날 저녁식후 2시간에 비사코딜 10 mg을 복용토록 하고 검사 당일 PEG 2 L를 복용토록 하였다. 피검자의 불편 정도와 재검사 용의를 검사 시행 직전 설문 조사하였고, 4명의 내시경의가 Ottawa 척도를 이용하여 대장 정결도와 검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A군에서 4예(6.7%)에서 다 복용하지 못하였으며, B군과 C군에서는 다 복용하지 못한 환자들이 없었다(p=0.012).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2 L를 단독 복용한 B군이 4 L 분할 복용한 A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으나(p=0.01), 재검사 용의를 묻는 설문에서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0.448).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대장 정결도가 우수하였고(p=0.000), C군 또한 B군에 비해 p-value가 0.06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정결도가 더 우수해 보였다. 결론: PEG 4 L 분할 복용이나 대장운동촉진제와 저용량의 PEG의 병용은 두 방법 사이에 순응도와 대장 정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2 L PEG 복용에 비하여 대장 정결도에서 우수한 대장 전처치 방법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the assessment of bowel preparation quality" 59 : 482-486, 2004

      2 "Two liters of polyethylene glycol-electrolyte lavage solution versus sodium phosphate as bowel cleansing regimen for colonoscopy" 34 : 560-563, 2002

      3 "Prospective,randomized,controlled comparison of the use of polyethylene glycol electrolyte lavage solution in four-liter versus two-liter volumes and pretreatment with either magnesium citrate or bisacodyl for colonoscopy preparation" 47 : 167-171, 1998

      4 "Predictors of inadequate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96 : 1797-1802, 2001

      5 "Polyethylene Glycol vs. sodium phosphate" 27 : 16-23, 2003

      6 "Comparison of single versus split-dose of polyethylene glycol-electrolyte solution for colonoscopy preparation" 30 : 194-198, 2005

      7 "Bisacodyl reduces the volume of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required for bowel preparation" 37 : 229-234, 1994

      8 "A randomized single-blind trial of whole versus split-dose polyethylene glycol- electrolyte solution for colonoscopy preparation" 58 : 36-40, 2003

      9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comparing a new polyethylene glycol based lavage solution with the standard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in the preparation of patients undergoing colonoscopy (clinical trial of new PEG solution in bowel preparation)" 20 : 171-176, 2000

      10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of 2 000 cc preparation with balanced lavage solution" for colo (for colo): 000 369-378, koreanjgastrointestendosc1991

      1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the assessment of bowel preparation quality" 59 : 482-486, 2004

      2 "Two liters of polyethylene glycol-electrolyte lavage solution versus sodium phosphate as bowel cleansing regimen for colonoscopy" 34 : 560-563, 2002

      3 "Prospective,randomized,controlled comparison of the use of polyethylene glycol electrolyte lavage solution in four-liter versus two-liter volumes and pretreatment with either magnesium citrate or bisacodyl for colonoscopy preparation" 47 : 167-171, 1998

      4 "Predictors of inadequate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96 : 1797-1802, 2001

      5 "Polyethylene Glycol vs. sodium phosphate" 27 : 16-23, 2003

      6 "Comparison of single versus split-dose of polyethylene glycol-electrolyte solution for colonoscopy preparation" 30 : 194-198, 2005

      7 "Bisacodyl reduces the volume of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required for bowel preparation" 37 : 229-234, 1994

      8 "A randomized single-blind trial of whole versus split-dose polyethylene glycol- electrolyte solution for colonoscopy preparation" 58 : 36-40, 2003

      9 "A randomized prospective trial comparing a new polyethylene glycol based lavage solution with the standard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in the preparation of patients undergoing colonoscopy (clinical trial of new PEG solution in bowel preparation)" 20 : 171-176, 2000

      10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of 2 000 cc preparation with balanced lavage solution" for colo (for colo): 000 369-378, koreanjgastrointestendosc1991

      11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low-dose oral sodium phosphate plus stimulant laxatives with large volume polyethylene glycol solution for colon cleansing" 99 : 2217-2222, 2004

      12 "A prospective endoscopic blind trial comparing precolonoscopy bowel cleansing methods" 19 : 347-353, 1999

      13 "A case of severe hyperphosphatemia and hypocalcemic tetany after sodium phosphate administration in a patient with normal renal funtion" 22 : 736-73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