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IPA를 이용한 해수욕장 Barrier Free 환경조성 요소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25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시설을 장애물 없는 (barrier free, BF)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 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장애인만을 주 분석대상으로 BF 환경 조성요소들을 도출한바 ...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시설을 장애물 없는 (barrier free, BF)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 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장애인만을 주 분석대상으로 BF 환경 조성요소들을 도출한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선 요소와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고려한 BF 환경조성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수욕 장을 이용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BF 환경 조성요소들에 대한 만족도를 변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적용하여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 선요소인 “위생시설”의 개선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며, 장애인을 대상으로는 “매개시설”의 개선이, 비장애인을 대상으로는 “편의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대상 해수욕장 시설 이용 시 장애가 되는 요소들이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 인의 BF 생활환경 조성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통개선요소와 각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제시함으로서 BF 관련 정책수립과 예산책정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number of cities are committed to enhancing the barrier-free (BF) environments. However, no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BF environment design concept by accounting for the universal BF components, which should be improved for providing bo...

      A number of cities are committed to enhancing the barrier-free (BF) environments. However, no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BF environment design concept by accounting for the universal BF components, which should be improved for providing both disabled people and non-disabled people with better BF environments. With this challenge in mind, this study determines the improvement priorities of BF components for beaches in the city of Busan by investigating the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which was administered to disabled and non-disabled visitors. The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IPA) results show that "sanitation facilities" are the universal BF components having the highest improvement priority. The analysis results also indicate that "access facilities" have the second highest improvement priority for disabled people while "amenity facilities" have the second highest improvement priority for non-disabled people.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suggested improvement priorities of BF components can be used for policy makers to develop more flexible plans when designing the BF bea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호,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수상택시 이용자 서비스지표 분석" 대한토목학회 29 (29): 587-595, 2009

      2 강병근, "장애인 및 노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광장의 실태평가" 대한건축학회 25 (25): 53-60, 2009

      3 국토해양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제도 시행지침"

      4 고치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 22-26, 2008

      5 국토해양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arrier Free)인증심사기준"

      6 강병근, "일본 베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도시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95-102, 2007

      7 이호성, "무장애 주택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6 (16): 65-74, 2010

      8 조민정,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5 (15): 21-29, 2009

      9 강병근, "궁ㆍ능ㆍ유적기관의 장애인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6 (16): 7-16, 2010

      10 박창선, "공공업무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1 (11): 41-50, 2005

      1 김태호,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수상택시 이용자 서비스지표 분석" 대한토목학회 29 (29): 587-595, 2009

      2 강병근, "장애인 및 노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광장의 실태평가" 대한건축학회 25 (25): 53-60, 2009

      3 국토해양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제도 시행지침"

      4 고치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 22-26, 2008

      5 국토해양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arrier Free)인증심사기준"

      6 강병근, "일본 베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도시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95-102, 2007

      7 이호성, "무장애 주택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6 (16): 65-74, 2010

      8 조민정,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5 (15): 21-29, 2009

      9 강병근, "궁ㆍ능ㆍ유적기관의 장애인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6 (16): 7-16, 2010

      10 박창선, "공공업무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1 (11): 41-50, 2005

      11 김태호, "M-IPA를 이용한 장애인과 일반인 지하철 이동시설 만족도 비교 연구" 대한토목학회 29 (29): 703-709, 2009

      12 김태호, "M-IPA를 이용한 버스 이용자 서비스 지표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봉~미아로축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9): 15-30, 2008

      13 Martilla,J,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1997

      14 Nunally,J, "C Ph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78

      15 강준모, "Barrier Free 인증 모의평가를 통한 보행자도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인덕원역, 석수역 주변 왕복 6차선 도로를 중심으로 -" 대한토목학회 29 (29): 101-11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