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비교분석 =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and Sesame (Seasamum indicum L.) leaf extrac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들깻잎은 독특한 향미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빈번히 식용되고 있는 반면 참깻잎은 특별한 향미가 없어 그 기호성이 낮아 거의 식용되지 않는 폐자원이다. 들깻잎의 경우 다양한 기능성이 보...

      들깻잎은 독특한 향미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빈번히 식용되고 있는 반면 참깻잎은 특별한 향미가 없어 그 기호성이 낮아 거의 식용되지 않는 폐자원이다. 들깻잎의 경우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참깻잎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식품으로 이용되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들깻잎과 참깻잎의 항산화 성분함량 및 활성을 비교하여, 참깻잎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식물성 식품에 널리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에서 측정한 결과, 참깻잎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들깻잎의 함량의 약 1.5-1.6배 수준이었으며(p<0.05), 참깻잎의 ABTS radical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또한 들깻잎 활성의 약 1.7-2배 수준이었다(p<0.01). 또한 참깻잎은 들깻잎보다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참깻잎의 항암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성 및 관련 작용기전을 규명하고, 나아가 참깻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참깻잎의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등과 같은 참깻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앞으로 종합적으로 수행된다면, 이제까지 폐자원으로 여겨졌던 참깻잎의 새로운 자원화를 통한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and sesame (Seasamum indicum L.) leaf extracts. The total polyphenol levels of sesame leaf (634.7 ± 1.2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and sesame (Seasamum indicum L.) leaf extracts. The total polyphenol levels of sesame leaf (634.7 ± 1.2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dried leaf)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leaf (408.7 ± 4.6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dried leaf; p<0.001). The total flavonoid levels of sesame leaf (166.7 ± 17.3 mg quercetin equivalent/100 g dried leaf)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leaf (108.2 ± 3.7 mg quercetin equivalent/100 g dried leaf; p<0.05). ABTS radical- an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sesame leaf extracts (78.9% and 18.2%,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leaf extracts (46.0% and 9.0%, respectively; p<0.01). Both perilla and sesame leaf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However,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sesame leaf extracts were more pronounced than those of perilla leaf extracts (p<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same leaf extracts have higher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than perilla leaf extracts. More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the sensory value of sesame leaf and to develop sesame leaf as health/functional food ingredi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세인, "한국인 상용채소 7종의 항산화능 및 항돌연변이능 검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344-1350, 2003

      2 김은주,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280-286, 2009

      3 임선영, "식물성 오메가-3계 지방산 급원인 아마씨 및 들깨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737-1742, 2009

      4 박유화, "비타민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975-979, 2010

      5 황은선,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259-265, 2012

      6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856-867, 2003

      7 정하나, "국내산 나무딸기류 과일의 항산화 및 암세포 항증식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649-1655, 2012

      8 Park HS,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22 (22): 350-356, 1990

      9 Park DS,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i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30 (30): 900-905, 2001

      10 Kim MK, "Protectiv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hepatotoxicity in rats" 45 (45): 1738-1744, 2007

      1 오세인, "한국인 상용채소 7종의 항산화능 및 항돌연변이능 검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344-1350, 2003

      2 김은주,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280-286, 2009

      3 임선영, "식물성 오메가-3계 지방산 급원인 아마씨 및 들깨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737-1742, 2009

      4 박유화, "비타민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975-979, 2010

      5 황은선, "배추와 양배추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259-265, 2012

      6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856-867, 2003

      7 정하나, "국내산 나무딸기류 과일의 항산화 및 암세포 항증식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649-1655, 2012

      8 Park HS,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22 (22): 350-356, 1990

      9 Park DS,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i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30 (30): 900-905, 2001

      10 Kim MK, "Protectiv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hepatotoxicity in rats" 45 (45): 1738-1744, 2007

      11 Kim MJ, "Perilla leaf extract ameliorates obesity and dyslipidemia induced by high-fat diet" 23 (23): 1685-1690, 2009

      12 Chung Shil Kwak, "Perilla Leaf, Perilla frutescens, Induces Apoptosis and G1 Phase Arrest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Through the Combinations of Death Receptor-Mediated, Mitochondrial,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Induced Pathway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2 (12): 508-517, 2009

      13 Hong EY, "Modulation of cellular quinone reductase inducibility by roasting treatment and acid hydrolysis of perilla" 26 (26): 186-192, 1997

      14 Ueda H, "Luteoli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 of perilla frutescens" 25 (25): 1197-1202, 2002

      15 Izumi Y,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rf2-ARE activator from the leaves of green perilla(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f. viridis)" 53 (53): 669-679, 2012

      16 Ahn CY,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black sesame seed" 24 (24): 31-36, 1992

      17 Lee KY, "Inhibitory effects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duced by various mutagens and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2

      18 Ueda H,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leaf extract and luteolin on mouse skin tumor promotion" 26 (26): 560-563, 2003

      19 Duelund L, "Influence of the active compounds of perilla frutescens leaves on lipid membranes" 75 (75): 160-166, 2012

      20 Kim GJ,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 on the lipid contents of serum in streptozotocin-induced Rats" 3 : 193-198, 1999

      21 Kim GJ,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 on the hepatic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rats" 3 : 205-212, 1999

      22 Kim GJ,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 on the detoxification enzyme activity of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rats" 3 : 199-203, 1999

      23 Kim JH,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32 (32): 540-551, 1999

      24 Kim SY,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in sesame oil by HPLC" Seoul Women's University 2000

      25 Bang C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leafy vegetabl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7

      26 Kim MJ., "Antioxidant activity by total polypenolic contents of regularly consumed 60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Kyung Nam University 2010

      27 Meng L,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14 (14): 133-140, 2008

      28 Saita E,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against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 vitro and in human subjects" 61 (61): 113-120, 2012

      29 Lee KY,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22 (22): 175-180, 1993

      30 보건복지부, "2010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 통계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리과학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KCI등재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6 2.01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