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기업환경 변화추이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Local Business Enabling Environment and Its Method :A Case Study of Busan Metropolit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8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Local business enabling environment of Busan metropolitan area has been evaluated in four different areas including production factors, local economic condition, policy factors and local living environment. Research outcomes of the time-series analysis indicate that overall business environment of Busan metropolitan area has improved gradually for last ten years. Looking in more details, fields of local policy factors and local living environment show much improvement, whereas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 gave negative impact on local business environment. Condition of local finance and human resources indicate small improvement.Summarizing our research findings, we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to improve its local business enabling environment. First, they need to attract large firms to build a growing market for small-and medium-sized firms. In addition, improvement of local business service industry can help local economy more efficient and profitable.
      번역하기

      Local business enabling environment of Busan metropolitan area has been evaluated in four different areas including production factors, local economic condition, policy factors and local living environment. Research outcomes of the time-series analysi...

      Local business enabling environment of Busan metropolitan area has been evaluated in four different areas including production factors, local economic condition, policy factors and local living environment. Research outcomes of the time-series analysis indicate that overall business environment of Busan metropolitan area has improved gradually for last ten years. Looking in more details, fields of local policy factors and local living environment show much improvement, whereas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 gave negative impact on local business environment. Condition of local finance and human resources indicate small improvement.Summarizing our research findings, we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to improve its local business enabling environment. First, they need to attract large firms to build a growing market for small-and medium-sized firms. In addition, improvement of local business service industry can help local economy more efficient and profita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부산상공회의소, "최근 10년 부산경제 변화와 관제"

      2 대한상공의소, "지역기업애로요인조사"

      3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중소제조업 원자재 수급 및 애로실태 조사 결과"

      4 부산발전연구원, "세계도시 부산을 향한 자매도시와의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5 삼성경제연구소, "세계 30개 주요 도시와 부산의 도시경쟁력 비교"

      6 통계청, "사업체기초통계조사결과"

      7 부산시, "부산통계연보"

      8 김병곤, "부산지역 중소기업 금융지원활성화 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04

      9 부산상공회의소, "부산지역 제조업 인력수급 실태조사"

      10 김병곤, "부산지역 외국인투자기업 유치환경 개선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03

      1 부산상공회의소, "최근 10년 부산경제 변화와 관제"

      2 대한상공의소, "지역기업애로요인조사"

      3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중소제조업 원자재 수급 및 애로실태 조사 결과"

      4 부산발전연구원, "세계도시 부산을 향한 자매도시와의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5 삼성경제연구소, "세계 30개 주요 도시와 부산의 도시경쟁력 비교"

      6 통계청, "사업체기초통계조사결과"

      7 부산시, "부산통계연보"

      8 김병곤, "부산지역 중소기업 금융지원활성화 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04

      9 부산상공회의소, "부산지역 제조업 인력수급 실태조사"

      10 김병곤, "부산지역 외국인투자기업 유치환경 개선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03

      11 김종욱, "부산지역 수출 제조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06

      12 권성근, "부산지역 기업유치 인센티브 강화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06

      13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경제백서"

      14 부산전략산업기획단, "동남권 지식서비스산업 실태조사"

      15 한국기업연구원, "기업환경지수 보고서" 2004

      16 코레이, "기업환경종합평가지수(KorEI index) 보고서" 2004

      17 이재우, "기업하기좋은 도시 부산의 과제와 방향" 동북아지역혁신연구원 2006

      18 허재완, "기업하기 좋은 지역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1-18, 2008

      19 강성권,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위한 One-Stop Solution 행정지원지원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02

      20 부산상공회의소, "기업인 100인 설문조사 결과"

      21 부산상공회의소, "관련 기업애로 현황조사"

      22 과학기술부ㆍKISTEP, "각년호 과학기술 연구개발 활동조사 보고서"

      23 한국산업단지공단, "각년도 국가산업단지현황"

      24 Chisholm,Michael, "Regions in Recession and Resurgence" Unwin Hyman 1990

      25 Blakely,Edwards J., "Plann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Publications 2002

      26 OECD, "OECD의 세계도시 경쟁력비교"

      27 Blair,John P., "Local Economic Development: Analysis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1995

      28 한국은행, "2007년 5월 부산지역 기업경기조사 결과"

      29 산업자원부, "2006년 외국인투자기업 경영ㆍ생활환경 애로조사 보고서" 2006

      30 부산상공회의소, "2006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분석"

      31 부산시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2004년 부산지역 중소기업 애로사항 조사"

      32 한국경제연구원, "16개 시도의 기업투자환경 분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15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