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함’(Politeness)이란 무엇인가? (a) 인간 사회와 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린 어떤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고, (b) 케잌맛을 더하기 위해 위에 얹는 토핑과 같이, 표면적인 것이라 생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93559
Leech, Geoffrey (U.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2
English
001.3
학술저널
57-89(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중함’(Politeness)이란 무엇인가? (a) 인간 사회와 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린 어떤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고, (b) 케잌맛을 더하기 위해 위에 얹는 토핑과 같이, 표면적인 것이라 생각...
‘정중함’(Politeness)이란 무엇인가?
(a) 인간 사회와 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린 어떤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고,
(b) 케잌맛을 더하기 위해 위에 얹는 토핑과 같이, 표면적인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e.g. 우리가 어떤 것을 요청할 때 , 듣는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 ‘please’를 덧붙인다.)
(c) 나의 입장은 이 둘의 중간인데, 나는 ‘정중함’을 인간의 의사소통의 특징으로 본다. ‘정중함’은 화용적 행위의 한 측면으로, 어떤 대는 표면적이고 또 어떤 때는 심오할 수 있다. 다른 사회, 다른 언어에서 ‘정중함’은 다른 방식으로 관습화되고, 다르게 표현된다.
정중함의 원칙들은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들을 잘 유치하기 위해 추구하는 목표들이다. 이러한‘사회적 목적’외에 언어 소통을 통해 얻고자 하는‘수행적 목적’이 있다. 수행적 목적은 사회적 목적을 강화시키기도 하고 그것과 충돌하기도 한다. 전자의 예는 칭찬을 하는 경우이고, 후자의 예는 요구를 하거나 비난을 할 때이다.
따라서 이 정중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a) 정중함의 일반적 개념
정중함의 가치 척도들은 인간사회에 보편적이라 할 수 있지만 그에 대한 해석은 각 사회하마 차이가 난다.
(b) 동양의 그룹 지향성 vs. 서양의 개인 지향성
본 정중함의 척도들은 이러한 가치 차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구 사회의 개인 지향성은 정중함의 관점에서 요령 격률(다른 사람에 대한 의무부과를 회피)에 더 큰 무게를 두고, 겸양 격률에는 무게를 덜 둠으로써(자기 주장이 보다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짐) 표현된다.
(c) 격률이 너무 많다?
Brown and Levinson은 POP의 단점은 너무 많은 격률들을 설정한 것이라 했지만, 그렇지 않다고 본다. 왜냐하면, 모든 격률들이‘정중함의 대전략’이라는 ‘상위 원칙’이 실현된 예들이기 때문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