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명승 중에서 선 형태으로 지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지정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명승 구역의 재검토 및 신규 지정에있어서 고려해야 할 설정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명승 중에서 선 형태으로 지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지정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명승 구역의 재검토 및 신규 지정에있어서 고려해야 할 설정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
본 연구는 명승 중에서 선 형태으로 지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지정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명승 구역의 재검토 및 신규 지정에있어서 고려해야 할 설정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보존관리자료를 바탕으로 113개소의 국내 명승 중 23개소의 선형 명승을 도출하였으며, 선형 자원특성은 계곡형, 통로형, 하천형, 능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선형 명승은 형태적으로 연속성과 방향성을 지녀 대상지에서 나타나는 이용행태또한 유사한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FGI를 통해 추출한 선형 명승의 6가지 설정 요소를 기준으로 23개소의 대상지의 지정 현황을 살펴본 결과 자원중심 요소가 1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번․필지 요소와 기준이 모호한 곳이 각각 8곳, 관리동선 요소가 5곳, 능선 요소가 4곳, 유역과주변 경관 요소가 3곳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형지정 명승의 시계열상 특징은 2010년 이전에는 지정구역이 지번․필지가 지정을 위한 우선 요소로 고려되었으나, 2010년이후에는 해당 자원을 중심으로 지정구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대면적 특성을 갖는 명승 문화재 구역 내 사유재산권에관한 내용과 더불어 명승의 본질에 입각한 보존이 고려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명승 구역의 지정 및 타당성 재검토에 있어 선형 명승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자원 중심 요소로 파악되었다.
선형명승은 해당 자원의 경계를 참조하여 지정구역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계에서 일정 폭원 내의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가대부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변 경관을 보호하는 성격의 넓은 폭(500m 이내)의 현상변경구역에 대한 우선적인 등급기준 마련은선형 명승의 향후 보존관리의 실효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licit criteria regarding reassessment and designation of linear scenic sites hencefor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documents from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Committee of Korea, 23 out of 113 scenic sit...
This study aims to elicit criteria regarding reassessment and designation of linear scenic sites hencefor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documents from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Committee of Korea, 23 out of 113 scenic sites in Korea were drawn, and their linear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including valleys, paths, rivers, and ridges.
The linear scenic sites provide certain features in terms of sequence and direction, which results in the similar utilization among the sites which share the linear similarity.
Second, the 23 sites mentioned above were intensely examined on the basis of six criteria for linear scenic sites through FGI, focus group interview. The criteria consist of six elements involving core resource(12), lot number(8), unclear(8), management path(5), ridge(4), basin(3).
Thir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prioritized core resource since 2010, when designating a scenic site, whereas it tended to consider lot number as priority prior to 2010. It is thought that the authority gave consideration to issues related to private ownership of property in the scenic sites and the purpose of designation.
Fourth, scenic sites are generally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the boundary of core resource, and in most cases, there are buffer zones alongside the core resource.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훈, "임진강·한탄강 주변 명승자원의 명승지정 필요성 및 활용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지혜, "우리나라 명승 지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연구 : 한, 중, 일, 북한과의 비교"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대열, "우리나라 명승 지정 확대방안 연구 : 한국과 일본 명승자원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5 Lee, J. K.,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Designating Beautiful National Sites" 16 (16): 1-10, 2016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Survey of Scenic Site Landscape Resources and Establishment of DB"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Reclassification by Specified Species of Cultural Heritage of Traditional Garden pond"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tate-designated Scenic site by Typ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Dongcheon-Gugok Valley Survey of Traditional Scenic Sit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8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Scenic Site Resources in Byeoseo Garde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1 이창훈, "임진강·한탄강 주변 명승자원의 명승지정 필요성 및 활용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지혜, "우리나라 명승 지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연구 : 한, 중, 일, 북한과의 비교"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대열, "우리나라 명승 지정 확대방안 연구 : 한국과 일본 명승자원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5 Lee, J. K.,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Designating Beautiful National Sites" 16 (16): 1-10, 2016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Survey of Scenic Site Landscape Resources and Establishment of DB"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Reclassification by Specified Species of Cultural Heritage of Traditional Garden pond"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State-designated Scenic site by Typ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Dongcheon-Gugok Valley Survey of Traditional Scenic Sit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8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Scenic Site Resources in Byeoseo Garde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1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Scenic Sit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7
1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ated Sites of Scenic Sit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7
1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Basic Resources of Natural Heritage in Seomjingang River Bas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7
1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Basic Resources of Natural Heritage in Military Border A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7
15 Shin, S. J.,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Designating Beautiful National Sites" Sang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3
16 Lee, W. H., "A History and Characteristic of Domestic Policy for Natural Environmental" 26 (26): 88-89, 2016
중국 무이구곡 바위글씨(石刻)의 분포와 내용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소나무 성 결정 요인의 특성을 고려한 조경공간 식재계획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2005-01-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5 | 0.58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