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 = A Local Governments’ Preferences in Selecting Modern Eight Scenic Landsca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3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llowings are the landscape preference aspects from the 816 landscapes(景, Kyung), which comprise the 78 modern Palkyungs, presented by the 78 local governments in Korea.
      First,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selected as Kyung(景), which are topographical landscapes, mostly consist of mountain elements such as mountains, terrace(臺), rocks and stones and water elements classified as rivers, oceans, and lakes. Natural elements also include old-growth and giant trees such as pines, ginkgos, Japanese cornels and fringe trees, tree-lined streets and forests, and plant elements such as azaleas, rhododendrons, lotuses, reeds, and silver grasses which provide seasonal landscapes.
      Second, more than half of Kyung, selected as human environment elements, ar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such as graveyards, mountain fortresses, town fortresses, traditional villages, pavilion in villas, and temples. And it is followed by leisure tourism facilitie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exhibition halls, theme parks, beaches, and food streets, green-based structures such as trails, plazas, parks, and botanical gardens, and industrial heritages such as ranches, abandoned coal mines, stations, ports and bridges. Third, modern Palkyungs include objects not related to the views such as local representative facilities, regional products, and festivals. Fourth, although most of the modern Palkyungs consist of eight, some include 20, 38, or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objects of public relations. Fifth, a certain local government makes two modern Palkyungs with different subjects by introducing traditional Palkyung and modern Palkyung altogether. In this case, it presents several modern Palkyungs like by selecting Palkyungs in a limited area. Furthermore, one Palkyung includes numerous place names at a time in some cases.
      Sixth, Sosangjeonhyeong(瀟湘典型)-style modern Palkyung uses ‘NakAn(落雁)' as the name of Kyung. Sosangyusahyeong(瀟湘類 似型)-style modern Palkyung expresses ‘Hyojong(曉鐘)' and landscape of glow of the setting sun, sunset, night view, dawn, sunrise and depicts cloud, sunset, moon, and snow. There are many Myeongsocheheomhyeong(名所體驗型)-style Palkyungs exhibiting the behavior of tourism and Myeongseunghyeong(名勝型)-style Palkyungs raising the awareness only by the names of the places. Seventh, modern Palkyung's naming styles are diverse, such as using only four letters instead of specifying Kyungmul(景物) or Kyungsaek(景色) in combin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or adding modifiers specializing in places.
      번역하기

      The followings are the landscape preference aspects from the 816 landscapes(景, Kyung), which comprise the 78 modern Palkyungs, presented by the 78 local governments in Korea. First,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selected as Kyung(景), which are ...

      The followings are the landscape preference aspects from the 816 landscapes(景, Kyung), which comprise the 78 modern Palkyungs, presented by the 78 local governments in Korea.
      First,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selected as Kyung(景), which are topographical landscapes, mostly consist of mountain elements such as mountains, terrace(臺), rocks and stones and water elements classified as rivers, oceans, and lakes. Natural elements also include old-growth and giant trees such as pines, ginkgos, Japanese cornels and fringe trees, tree-lined streets and forests, and plant elements such as azaleas, rhododendrons, lotuses, reeds, and silver grasses which provide seasonal landscapes.
      Second, more than half of Kyung, selected as human environment elements, ar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such as graveyards, mountain fortresses, town fortresses, traditional villages, pavilion in villas, and temples. And it is followed by leisure tourism facilitie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exhibition halls, theme parks, beaches, and food streets, green-based structures such as trails, plazas, parks, and botanical gardens, and industrial heritages such as ranches, abandoned coal mines, stations, ports and bridges. Third, modern Palkyungs include objects not related to the views such as local representative facilities, regional products, and festivals. Fourth, although most of the modern Palkyungs consist of eight, some include 20, 38, or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objects of public relations. Fifth, a certain local government makes two modern Palkyungs with different subjects by introducing traditional Palkyung and modern Palkyung altogether. In this case, it presents several modern Palkyungs like by selecting Palkyungs in a limited area. Furthermore, one Palkyung includes numerous place names at a time in some cases.
      Sixth, Sosangjeonhyeong(瀟湘典型)-style modern Palkyung uses ‘NakAn(落雁)' as the name of Kyung. Sosangyusahyeong(瀟湘類 似型)-style modern Palkyung expresses ‘Hyojong(曉鐘)' and landscape of glow of the setting sun, sunset, night view, dawn, sunrise and depicts cloud, sunset, moon, and snow. There are many Myeongsocheheomhyeong(名所體驗型)-style Palkyungs exhibiting the behavior of tourism and Myeongseunghyeong(名勝型)-style Palkyungs raising the awareness only by the names of the places. Seventh, modern Palkyung's naming styles are diverse, such as using only four letters instead of specifying Kyungmul(景物) or Kyungsaek(景色) in combin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or adding modifiers specializing in pla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홈페이지에 제시한 현대팔경 78개와 팔경을 구성하는 816개 경(景)을 통해 본 경관 선호 양상은 다음과같다.
      첫째, 경으로 선정된 자연환경 요소는 지형경관인 산, 대(臺), 암, 바위와 같은 산경요소와 하천, 해양, 호소(湖沼)경관으로 구분되는수경요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소나무, 은행나무, 산수유, 이팝나무 등 노거수, 가로수 길과 숲, 그리고 계절 경관을 제공하는 철쭉, 진달래, 연꽃, 갈대, 억새와 같은 식물요소가 포함된다. 둘째, 인문환경 요소로 선정된 경의 과반수가 묘역, 산성과 읍성, 전통마을, 별서누정, 사찰 등 역사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재래시장, 전시관, 테마파크, 해수욕장, 음식 거리 등 여가관광시설과 산책로, 광장, 공원, 식물원 등 녹색기반시설, 마지막으로 목장, 폐탄광, 철도역, 항구, 다리 등의 산업유산이 경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현대팔경에는지역 대표시설, 특산물, 축제처럼 조망과 관련 없는 대상이 포함되었다. 넷째, 현대팔경의 과반수가 8개 경으로 구성되었지만, 홍보대상을 늘리기 위하여 20개, 38개, 100개로 구성된 것도 있다. 다섯째, 전래팔경과 현대팔경을 함께 소개하고, 주제를 달리한 두개의 현대팔경을 만든 경우,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여 현대팔경을 선정하는 등 여러 개의 현대팔경을 제시한 지자체가 있다. 또한한 개의 경에 다수의 장소명을 넣은 경우도 많다. 여섯째, 경의 명칭에 ‘낙안(落雁)’을 사용한 소상전형과 ‘효종(曉鐘)’, ‘낙조’, ‘일몰’, ‘야경’, ‘여명’, ‘일출’을 명칭에 넣고 경관과 구름, 노을, 달, 눈을 표현한 소상유사형 현대팔경, 관광 행태를 드러내는 명소체험형 현대팔경으로구성된다. 대부분은 장소의 명칭만으로 인지도를 높인 명승형 현대팔경이다. 일곱째, 현대팔경의 명명 방식은 경물과 경색을 명시한한자를 조합한 소상팔경식 명명 대신 글자 숫자만 네 개로 맞춘 경우, 장소를 특화하는 수식어를 넣은 경우 등으로 다양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홈페이지에 제시한 현대팔경 78개와 팔경을 구성하는 816개 경(景)을 통해 본 경관 선호 양상은 다음과같다. 첫째, 경으로 선정된 자연환경 요소는 지형경관인 산, 대(...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홈페이지에 제시한 현대팔경 78개와 팔경을 구성하는 816개 경(景)을 통해 본 경관 선호 양상은 다음과같다.
      첫째, 경으로 선정된 자연환경 요소는 지형경관인 산, 대(臺), 암, 바위와 같은 산경요소와 하천, 해양, 호소(湖沼)경관으로 구분되는수경요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소나무, 은행나무, 산수유, 이팝나무 등 노거수, 가로수 길과 숲, 그리고 계절 경관을 제공하는 철쭉, 진달래, 연꽃, 갈대, 억새와 같은 식물요소가 포함된다. 둘째, 인문환경 요소로 선정된 경의 과반수가 묘역, 산성과 읍성, 전통마을, 별서누정, 사찰 등 역사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재래시장, 전시관, 테마파크, 해수욕장, 음식 거리 등 여가관광시설과 산책로, 광장, 공원, 식물원 등 녹색기반시설, 마지막으로 목장, 폐탄광, 철도역, 항구, 다리 등의 산업유산이 경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현대팔경에는지역 대표시설, 특산물, 축제처럼 조망과 관련 없는 대상이 포함되었다. 넷째, 현대팔경의 과반수가 8개 경으로 구성되었지만, 홍보대상을 늘리기 위하여 20개, 38개, 100개로 구성된 것도 있다. 다섯째, 전래팔경과 현대팔경을 함께 소개하고, 주제를 달리한 두개의 현대팔경을 만든 경우,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여 현대팔경을 선정하는 등 여러 개의 현대팔경을 제시한 지자체가 있다. 또한한 개의 경에 다수의 장소명을 넣은 경우도 많다. 여섯째, 경의 명칭에 ‘낙안(落雁)’을 사용한 소상전형과 ‘효종(曉鐘)’, ‘낙조’, ‘일몰’, ‘야경’, ‘여명’, ‘일출’을 명칭에 넣고 경관과 구름, 노을, 달, 눈을 표현한 소상유사형 현대팔경, 관광 행태를 드러내는 명소체험형 현대팔경으로구성된다. 대부분은 장소의 명칭만으로 인지도를 높인 명승형 현대팔경이다. 일곱째, 현대팔경의 명명 방식은 경물과 경색을 명시한한자를 조합한 소상팔경식 명명 대신 글자 숫자만 네 개로 맞춘 경우, 장소를 특화하는 수식어를 넣은 경우 등으로 다양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하, "현대팔경의 선정특성에 따른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179-189, 2006

      2 송민정, "현대 팔경에 대한 경관분석: 경상남도 12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79-99, 2011

      3 노재현, "팔경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여주팔경의 전승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14-27, 2011

      4 노재현, "부여 팔경으로 본 백제 사비시대 장소와 경물의 회고(懷古) 관성(慣性)"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4-28, 2010

      5 김종하, "대구·경북 팔경의 형식과 경관자원의 구조에 관한 연구 - 문화관광자원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 분석 -" 대한건축학회 25 (25): 291-298, 2009

      6 정우진, "고군산 선유팔경(仙遊八景)의 설정과정과 집경(集景)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37 (37): 32-50, 2019

      7 권지영, "강릉지역 팔경의 내용 및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4 (34): 16-26, 2016

      8 임의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山川)」 항목에 수록된 수경(水景) 요소의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 34 (34): 1-15, 2016

      9 Son, K. S., "The Korean Nature.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Collection of General Korean History Books" 2000

      10 Go, Y. H., "Poems and Paintings of Koryo and Choson Dynasties on the Eight Views of Xiao-Xiang Rivers" 9 : 217-243, 2003

      1 김종하, "현대팔경의 선정특성에 따른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179-189, 2006

      2 송민정, "현대 팔경에 대한 경관분석: 경상남도 12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79-99, 2011

      3 노재현, "팔경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여주팔경의 전승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14-27, 2011

      4 노재현, "부여 팔경으로 본 백제 사비시대 장소와 경물의 회고(懷古) 관성(慣性)"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4-28, 2010

      5 김종하, "대구·경북 팔경의 형식과 경관자원의 구조에 관한 연구 - 문화관광자원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 분석 -" 대한건축학회 25 (25): 291-298, 2009

      6 정우진, "고군산 선유팔경(仙遊八景)의 설정과정과 집경(集景)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37 (37): 32-50, 2019

      7 권지영, "강릉지역 팔경의 내용 및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4 (34): 16-26, 2016

      8 임의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山川)」 항목에 수록된 수경(水景) 요소의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 34 (34): 1-15, 2016

      9 Son, K. S., "The Korean Nature.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Collection of General Korean History Books" 2000

      10 Go, Y. H., "Poems and Paintings of Koryo and Choson Dynasties on the Eight Views of Xiao-Xiang Rivers" 9 : 217-243, 2003

      11 Choi, K. 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from a viewpoint of"kyong" 5 (5): 133-139, 1989

      12 Choi, J. H., "A study on Annhook's view of the scene on the 「Kwundongbyulkok」" 18 (18): 49-62, 2000

      13 Kang, Y. J., "A Study on the Type and the Spatial Location of Pal-Kyong(eight scenery)in Korea" 9 (9): 27-36, 1991

      14 An, J. L., "A Study on the Sosangpalkyung(瀟湘八景) poetry"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1997

      15 Shin, S. S., "A Study on the Reinterpretation of ChonJu Palkyong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Identity" 26 (26): 25-35,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