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급별 상대대우법의 사용 실태 및 화법문화 -서술형 대우법 형태를 중심으로 = The Honorific Word Use Realty and Culture by School Level -On the Focus on the Predicative For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학생들의 대우법 사용 실태는 친구들이나 형 등에게는 아주 낮춤말이나 두루낮춤말을 주로 사용하는데, 두루 낮춤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친구나 형들에게 높임말을 쓰는 학생들이 소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초등학교 3학년생들은 매우 적지만 초등학교 6학년 때는 조금 늘어나고, 중학생, 고등학생들로 올라갈수록 많아진다. 그러다 대학생 때는 초등학교 6학년, 중·고등학생들에 비하면적게 나타난다. 삼촌이나 할아버지 등에게는 높임말을 주로 사용한다. 그 중에서두루 높임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격식체인 아주 높임말은 삼촌 등보다는 할아버지 등에게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할아버지를 삼촌보다 더 높여야 된다는 화법문화 속에서 이루어진 표현이라고 본다.
      남학생과 여학생은 아주낮춤이나 아주높임보다 두루낮춤이나 두루높임 표현을 많이 쓰나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격식체인 아주낮춤, 아주높임 형태를 좀더 많이 쓴다. 이는 성별로 존재한 성격, 대인관계 태도 등의 언어문화 차이에서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학생들의 대우법 사용 실태는 친구들이나 형 등에게는 아주 낮춤말이나 두루낮춤말을 주로 사용하는데, 두루 낮춤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친구나 형들에게 높임말을 쓰는 학생들이 ...

      학생들의 대우법 사용 실태는 친구들이나 형 등에게는 아주 낮춤말이나 두루낮춤말을 주로 사용하는데, 두루 낮춤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친구나 형들에게 높임말을 쓰는 학생들이 소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초등학교 3학년생들은 매우 적지만 초등학교 6학년 때는 조금 늘어나고, 중학생, 고등학생들로 올라갈수록 많아진다. 그러다 대학생 때는 초등학교 6학년, 중·고등학생들에 비하면적게 나타난다. 삼촌이나 할아버지 등에게는 높임말을 주로 사용한다. 그 중에서두루 높임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격식체인 아주 높임말은 삼촌 등보다는 할아버지 등에게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할아버지를 삼촌보다 더 높여야 된다는 화법문화 속에서 이루어진 표현이라고 본다.
      남학생과 여학생은 아주낮춤이나 아주높임보다 두루낮춤이나 두루높임 표현을 많이 쓰나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격식체인 아주낮춤, 아주높임 형태를 좀더 많이 쓴다. 이는 성별로 존재한 성격, 대인관계 태도 등의 언어문화 차이에서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study of students' use the honorific word. When they dialogue with friends, they usually use extremely low form or informal lower form. And when they dialogue with elder brothers or elder sisters, they ususally use extremely low form or informal lowering form or informal raising form beside some student who use informal raising form. But when they dialogue with aunt or uncle or grandfather or grandmother they use informal raising form or formal raising form except the minimum students who use low form. They use more informal form than formal form. Maybe I think that it was the reason why it is a dialogu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s that female students use more informal form than formal form. I think that this is the difference on the basis of sexual speeking culture difference.
      번역하기

      This is the study of students' use the honorific word. When they dialogue with friends, they usually use extremely low form or informal lower form. And when they dialogue with elder brothers or elder sisters, they ususally use extremely low form or in...

      This is the study of students' use the honorific word. When they dialogue with friends, they usually use extremely low form or informal lower form. And when they dialogue with elder brothers or elder sisters, they ususally use extremely low form or informal lowering form or informal raising form beside some student who use informal raising form. But when they dialogue with aunt or uncle or grandfather or grandmother they use informal raising form or formal raising form except the minimum students who use low form. They use more informal form than formal form. Maybe I think that it was the reason why it is a dialogu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s that female students use more informal form than formal form. I think that this is the difference on the basis of sexual speeking culture dif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병순, "한국문화론" 박이정 22-34, 2018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류성기, "춘향전에 나타난 높임법 연구: -열녀춘향수절가 완판 84장본을대상으로-" 한글학회진주지회 (3) : 73-99, 2017

      4 류성기, "초등학교 3학년 상대대우법 연구" 17 : 1-26, 2018

      5 류성기, "초·중·한국어 교사를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 박이정 218-227, 2016

      6 "중학교 3학년 설문조사 자료"

      7 류성기, "중학교 3학년 상대대우법 사용 실태 및 교육 방법 연구" 우리말글교육학회 18 : 1-30, 2019

      8 이유기,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연구" 역락 26-72, 2001

      9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239-249, 1990

      10 이숭녕, "중세국어문법" 을유문화사 309-316, 1961

      1 황병순, "한국문화론" 박이정 22-34, 2018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류성기, "춘향전에 나타난 높임법 연구: -열녀춘향수절가 완판 84장본을대상으로-" 한글학회진주지회 (3) : 73-99, 2017

      4 류성기, "초등학교 3학년 상대대우법 연구" 17 : 1-26, 2018

      5 류성기, "초·중·한국어 교사를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 박이정 218-227, 2016

      6 "중학교 3학년 설문조사 자료"

      7 류성기, "중학교 3학년 상대대우법 사용 실태 및 교육 방법 연구" 우리말글교육학회 18 : 1-30, 2019

      8 이유기,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연구" 역락 26-72, 2001

      9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239-249, 1990

      10 이숭녕, "중세국어문법" 을유문화사 309-316, 1961

      11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172-173, 2008

      12 허웅, "옛말본" 과학사 117-119, 1976

      13 박종철, "언어와 문화, 그리고 삶" 월인 149-165, 2001

      14 허웅, "국어경어법연구" 집문당 188-192, 1984

      15 김종훈, "국어경어법 연구" 집문당 9-18, 1984

      16 전재관, "국어경어법 연구" 집문당 217-242, 1984

      17 이기문, "개정판 국어사 개설" 168-170,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47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