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70년대 정치신학으로서 칼빈신학의 창조적 수용 1. 60년대 현실에서 한국교회의 보수와 진보 세력의 대립 2. 민주화 운동의 근거로서의 칼빈 신학 사상 3. 70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1737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I. 머리말 II. 70년대 정치신학으로서 칼빈신학의 창조적 수용 1. 60년대 현실에서 한국교회의 보수와 진보 세력의 대립 2. 민주화 운동의 근거로서의 칼빈 신학 사상 3. 70년...
I. 머리말
II. 70년대 정치신학으로서 칼빈신학의 창조적 수용
1. 60년대 현실에서 한국교회의 보수와 진보 세력의 대립
2. 민주화 운동의 근거로서의 칼빈 신학 사상
3. 70년대 한국 상황에서 칼빈 신학 사상 논쟁
1) 토착화 신학 논쟁과 칼빈 신학 사상
2) 세속화 신학 논쟁과 칼빈 신학 사상
III. 민주화 실천 운동과 칼빈 신학 사상의 실천적 대안
1. 역사 주체로서의 민중의 발견과 민중신학
1) 민중교회운동과 민중신학
2) 칼빈의 신학적 응답
2. 성차별주의 극복을 위한 성서 해석과 여성신학
1) 성서해석과 여성신학
2) 칼빈의 신학적 응답
3. 분단 구조 극복과 평화 실현으로서의 통일신학
1) 통일운동과 교회의 사회선교
2) 칼빈의 신학적 응답
IV. 맺음말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 한국 사회의 민주화 운동과정에서 한국 장로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앞서 살펴보았듯이 단순한 인도주의적 정의감의 발로나 대안적 권력 추구의 동기가 아니었다. 칼빈은 ...
1970년대 한국 사회의 민주화 운동과정에서 한국 장로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앞서 살펴보았듯이 단순한 인도주의적 정의감의 발로나 대안적 권력 추구의 동기가 아니었다. 칼빈은 교회를 이 땅에 있는 하나님 나라의 모형으로 이해하고 그리스도의 왕권적 통치가 이 공동체를 통해 확장해가기를 추구하였다. 따라서 1970년대 한국 장로교회의 민주화 운동은 개별정당이나 여타의 시민단체가 추구한 바와 달리 세상 속에서 하나님 주권과 영광을 드러내는 선교자유의 확보운동이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주체적인 신앙고백 운동이었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