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친환경행동의 근원에 관한 연구 : 친환경 음악페스티벌의 사례를 토대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9809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환경정책학과 , 2012.8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05 p.: 삽화, 표;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수록

      • 소장기관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가 당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각에서의 노력이 실행되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는 크게 과학적 접근과 정책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는데, 성공적인 환경정책을 제시하기에 앞서서 친환경행동 근원에 대한 고찰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친환경행동의 근원에 관한 기존 논문들을 바탕으로 환경행동을 유발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친환경행동으로 유도하는 제도적 방안들에 대해서 제안한다.
      지금까지의 친환경행동 근원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이 시·공간적 제약이 크지 않은 조건에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면 본 논문은 ‘음악페스티벌’이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 관객들의 친환경행동을 관찰하고 그 근원을 파악한다. 또한 기존 연구들이 친환경행동의 요인으로 제시하였던 인구사회학적 요소, 개인의 환경가치관 등에서 나아가 각 음악페스티벌이 추구하는 제도에 대한 관객의 사전숙지여부, 현장에서의 순응도, 페스티벌의 친환경성 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추가적으로 삽입하고 각각의 변수들과 친환경행동과의 상관관계를 통계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는 연령과 소득이 높을수록 친환경행동에 근접하다는 기존 연구들의 경향성을 지지하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효한 수치라고는 볼 수 없었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소와 개인의 환경가치관 보다는 제도에 대해서 사전에 숙지하고 현장에서 순응하는 사람일수록 친환경행동에 적극적이라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나아가 페스티벌이 자체적으로 강한 친환경성을 표방하고 의식적, 제도적 차원에서 친환경행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할수록 관객들의 친환경행동역시 높아진다는 결과 또한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행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 음악페스티벌의 환경캠페인이 관객들로 하여금 친환경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번역하기

      인류가 당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각에서의 노력이 실행되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는 크게 과학적 접근과 정책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는데, 성공적인 환경정책을 ...

      인류가 당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각에서의 노력이 실행되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는 크게 과학적 접근과 정책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는데, 성공적인 환경정책을 제시하기에 앞서서 친환경행동 근원에 대한 고찰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친환경행동의 근원에 관한 기존 논문들을 바탕으로 환경행동을 유발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친환경행동으로 유도하는 제도적 방안들에 대해서 제안한다.
      지금까지의 친환경행동 근원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이 시·공간적 제약이 크지 않은 조건에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면 본 논문은 ‘음악페스티벌’이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 관객들의 친환경행동을 관찰하고 그 근원을 파악한다. 또한 기존 연구들이 친환경행동의 요인으로 제시하였던 인구사회학적 요소, 개인의 환경가치관 등에서 나아가 각 음악페스티벌이 추구하는 제도에 대한 관객의 사전숙지여부, 현장에서의 순응도, 페스티벌의 친환경성 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추가적으로 삽입하고 각각의 변수들과 친환경행동과의 상관관계를 통계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는 연령과 소득이 높을수록 친환경행동에 근접하다는 기존 연구들의 경향성을 지지하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효한 수치라고는 볼 수 없었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소와 개인의 환경가치관 보다는 제도에 대해서 사전에 숙지하고 현장에서 순응하는 사람일수록 친환경행동에 적극적이라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나아가 페스티벌이 자체적으로 강한 친환경성을 표방하고 의식적, 제도적 차원에서 친환경행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할수록 관객들의 친환경행동역시 높아진다는 결과 또한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행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 음악페스티벌의 환경캠페인이 관객들로 하여금 친환경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great exertions in various way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humanity now face. Its methodology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a scientific approach and a politic approach.
      In order to propose a successful environmental policy, the cause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refore, based on other related studies on the main cause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is paper delves into factors that significantly trigger pro-environmental behaviors and, furthermore, proposes institutional strategies that induce such pro-environmental behaviors.
      Previous studies on the cause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conducted surveys that are not restricted by place and time. In contrast, this study is conducted in a restricted environment, 'music festival',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through observing audience's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to factor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n individual's perspectives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includes new variables: audience's prior awareness of the system pursued by the music festival, audience's adaptation level at the scene, and eco-friendliness of the music festival. This study statistically prov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Although this study supports previous studies' tendency that increase in age and income induces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s tendency is not statistically valid. According to this study, audience's prior awareness of the system pursued by the music festival and audience's adaptability have stronger influence on inducing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a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individual's perspectives of the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proven that music festival's strong advocacy of eco-friendliness and consciousness, policy of active inducement are also important factors that lead to higher audience's involvement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oposes institutional strategies that effectively induces pro-environmental behaviors and emphasizes the constructive role of the music festival environment campaign in encouraging audience's pro-environmental behaviors.
      번역하기

      There have been great exertions in various way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humanity now face. Its methodology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a scientific approach and a politic approach. In order to propose a successful environmental poli...

      There have been great exertions in various way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at humanity now face. Its methodology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a scientific approach and a politic approach.
      In order to propose a successful environmental policy, the cause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refore, based on other related studies on the main cause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is paper delves into factors that significantly trigger pro-environmental behaviors and, furthermore, proposes institutional strategies that induce such pro-environmental behaviors.
      Previous studies on the cause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conducted surveys that are not restricted by place and time. In contrast, this study is conducted in a restricted environment, 'music festival',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through observing audience's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to factor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n individual's perspectives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includes new variables: audience's prior awareness of the system pursued by the music festival, audience's adaptation level at the scene, and eco-friendliness of the music festival. This study statistically prov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Although this study supports previous studies' tendency that increase in age and income induces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s tendency is not statistically valid. According to this study, audience's prior awareness of the system pursued by the music festival and audience's adaptability have stronger influence on inducing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a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individual's perspectives of the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proven that music festival's strong advocacy of eco-friendliness and consciousness, policy of active inducement are also important factors that lead to higher audience's involvement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oposes institutional strategies that effectively induces pro-environmental behaviors and emphasizes the constructive role of the music festival environment campaign in encouraging audience's pro-environmental behavio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