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교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교리교육에 대한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 교회의 교수자(신부님, 수녀님, 교리교사)와 학습자(성인 예비신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474부 가운데 417부가 회수되었고, 설문지 회수율은 88%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인구 통계 변수를 처리하고,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χ2(chi-square), t-test, one-way ANOVA, 사후비교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를 통해 교리교육 현황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리교육에 대한 방법과 기간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강의식 교육을 6개월 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2.6%). 둘째, 교리교육 방해 요인과 방법에 대한 불만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참석해야 하는 교리 시간과 재미없는 교리 시간, 간단한 강의 매체 사용, 단순한 교육 방법과 형식적인 내용 등으로 분석되었다.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첫째, 교리교육 활성화를 위해 강의식 교육과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겸한 교리교육 방법을 선호하고, 적합한 교육 기간과 시간에 대해서는 6개월 동안(45.7%), 1시간 미만(68.9%)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리교육을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실시하게 되면, 교수자들은 원격교육에 필요한 구성 요소 전반에 대한 지원, 즉 인적 구성 요소를 비롯해 경제적, 행정적, 운영 방법, 교수 자료 설계 ․ 개발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학습자들은 사전 교육 실시, 활발한 상호작용, 그리고 자율학습에 대한 부담감 감소 등 학습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원격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희망하는 분야는 응답자 모두가 성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0.6%). 넷째, 교리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에서 교수자는 무엇보다도 인간관계 성숙을 위한 인성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진솔하게 통교할 수 있는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에 대해 많은 관심을 드러낸 반면, 학습자는 매일 이메일 서비스를 통한 짧은 교리, 재미있는 내용,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령별. 직업별. 지역별 등 다양한 환경 안에 있는 교리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교리교육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