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톨릭 교리교육 현황 및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요구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7824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282.0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about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and the improvement of distance Catechsis of Catholic

      • 형태사항

        vi, 88 p. : 삽도,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75-79

      • 소장기관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o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find out the way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he subjects of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is the present status about Catechesis?
      Subject 2. What is needed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subjects there was a questionnaire survey to instructors (Priests, Nuns, Catechists) and learners (Adult Catechumenate) of Korean Catholic Churches. 417 questionnaires out of 474 were retrieved, which means 88% of questionnaire retrieval rate. Demographical variants were used as data analysis method, and to find out frequency of response at each questio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sociology of population, using χ2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and posterior comparative analysis for each question.
      The result after analysis on the difference about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hrough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bout method and term for the current Catechesis Classroom Education was performed for about 6 months for the almost all responses (92.6%). Second, discontent with method and disturbing factor of Catechesis was the regular attendance every week for Catechesis and boredom, and plain education method using simple media and formal content.
      Needs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Distance Catechesis had the next results. First, Catechesis with Classroom Education and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for its flourish was preferred, and a proper time for Catechesis was one hour (68.9%) and the period was less than for 6 months (45.7%). Second, when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is performed for Catechesis, instructors wanted supports for general structural factors, like human factor, economical and administrative run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ata design and development, and learners wanted preliminary education, active relationship and relief from individualized learning. Third, the highest desire for On-going Education through Distance Education was the bible study (30.6%). Fourth, on the request for improvement of Catechesis, instructors had an interest in the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lationship and of better humanity and communication each other, meanwhile, learners wanted substantial education methods with interesting stories and real experience and have a everyday short dogma through e-mail service.
      Based on the result, new Catechesis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 are needed to be suitable for each Catechesis case in various environments like age, job and lo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o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find out the way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he subjects of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is the p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o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find out the way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he subjects of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is the present status about Catechesis?
      Subject 2. What is needed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subjects there was a questionnaire survey to instructors (Priests, Nuns, Catechists) and learners (Adult Catechumenate) of Korean Catholic Churches. 417 questionnaires out of 474 were retrieved, which means 88% of questionnaire retrieval rate. Demographical variants were used as data analysis method, and to find out frequency of response at each questio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sociology of population, using χ2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and posterior comparative analysis for each question.
      The result after analysis on the difference about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hrough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bout method and term for the current Catechesis Classroom Education was performed for about 6 months for the almost all responses (92.6%). Second, discontent with method and disturbing factor of Catechesis was the regular attendance every week for Catechesis and boredom, and plain education method using simple media and formal content.
      Needs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Distance Catechesis had the next results. First, Catechesis with Classroom Education and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for its flourish was preferred, and a proper time for Catechesis was one hour (68.9%) and the period was less than for 6 months (45.7%). Second, when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is performed for Catechesis, instructors wanted supports for general structural factors, like human factor, economical and administrative run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ata design and development, and learners wanted preliminary education, active relationship and relief from individualized learning. Third, the highest desire for On-going Education through Distance Education was the bible study (30.6%). Fourth, on the request for improvement of Catechesis, instructors had an interest in the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lationship and of better humanity and communication each other, meanwhile, learners wanted substantial education methods with interesting stories and real experience and have a everyday short dogma through e-mail service.
      Based on the result, new Catechesis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 are needed to be suitable for each Catechesis case in various environments like age, job and lo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교리교육에 대한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 교회의 교수자(신부님, 수녀님, 교리교사)와 학습자(성인 예비신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474부 가운데 417부가 회수되었고, 설문지 회수율은 88%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인구 통계 변수를 처리하고,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χ2(chi-square), t-test, one-way ANOVA, 사후비교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를 통해 교리교육 현황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리교육에 대한 방법과 기간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강의식 교육을 6개월 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2.6%). 둘째, 교리교육 방해 요인과 방법에 대한 불만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참석해야 하는 교리 시간과 재미없는 교리 시간, 간단한 강의 매체 사용, 단순한 교육 방법과 형식적인 내용 등으로 분석되었다.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첫째, 교리교육 활성화를 위해 강의식 교육과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겸한 교리교육 방법을 선호하고, 적합한 교육 기간과 시간에 대해서는 6개월 동안(45.7%), 1시간 미만(68.9%)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리교육을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실시하게 되면, 교수자들은 원격교육에 필요한 구성 요소 전반에 대한 지원, 즉 인적 구성 요소를 비롯해 경제적, 행정적, 운영 방법, 교수 자료 설계 ․ 개발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학습자들은 사전 교육 실시, 활발한 상호작용, 그리고 자율학습에 대한 부담감 감소 등 학습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원격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희망하는 분야는 응답자 모두가 성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0.6%). 넷째, 교리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에서 교수자는 무엇보다도 인간관계 성숙을 위한 인성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진솔하게 통교할 수 있는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에 대해 많은 관심을 드러낸 반면, 학습자는 매일 이메일 서비스를 통한 짧은 교리, 재미있는 내용,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령별. 직업별. 지역별 등 다양한 환경 안에 있는 교리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교리교육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교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교리교육에 대한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 교회의 교수자(신부님, 수녀님, 교리교사)와 학습자(성인 예비신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474부 가운데 417부가 회수되었고, 설문지 회수율은 88%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인구 통계 변수를 처리하고,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χ2(chi-square), t-test, one-way ANOVA, 사후비교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를 통해 교리교육 현황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리교육에 대한 방법과 기간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강의식 교육을 6개월 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2.6%). 둘째, 교리교육 방해 요인과 방법에 대한 불만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참석해야 하는 교리 시간과 재미없는 교리 시간, 간단한 강의 매체 사용, 단순한 교육 방법과 형식적인 내용 등으로 분석되었다.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첫째, 교리교육 활성화를 위해 강의식 교육과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겸한 교리교육 방법을 선호하고, 적합한 교육 기간과 시간에 대해서는 6개월 동안(45.7%), 1시간 미만(68.9%)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리교육을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실시하게 되면, 교수자들은 원격교육에 필요한 구성 요소 전반에 대한 지원, 즉 인적 구성 요소를 비롯해 경제적, 행정적, 운영 방법, 교수 자료 설계 ․ 개발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학습자들은 사전 교육 실시, 활발한 상호작용, 그리고 자율학습에 대한 부담감 감소 등 학습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원격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희망하는 분야는 응답자 모두가 성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0.6%). 넷째, 교리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에서 교수자는 무엇보다도 인간관계 성숙을 위한 인성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진솔하게 통교할 수 있는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에 대해 많은 관심을 드러낸 반면, 학습자는 매일 이메일 서비스를 통한 짧은 교리, 재미있는 내용,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령별. 직업별. 지역별 등 다양한 환경 안에 있는 교리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교리교육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