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 Estimating the Economic Effect of Film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1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7년 이후 한국의 영화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산업인 문화산업의 한 범주에 속해있다. 문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영화산업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영화산업은 크게 영화상영, 영화제작, 영화배급으로 나뉜다. 특히 영화제작부문은 수많은 재화와 서비스가 연쇄적으로 필요하다. 이것은 영화제작을 포함하고 있는 영화산업이 다른 산업들과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외생화 기법을 이용하여 수요유도형 모형을 분석할 것이며, 2009∼2014년까지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결과를 구할 것이다.
      번역하기

      1997년 이후 한국의 영화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산업인 문화산업의 한 범주에 속해있다. 문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영화산업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영화산업은 크게 ...

      1997년 이후 한국의 영화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산업인 문화산업의 한 범주에 속해있다. 문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영화산업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영화산업은 크게 영화상영, 영화제작, 영화배급으로 나뉜다. 특히 영화제작부문은 수많은 재화와 서비스가 연쇄적으로 필요하다. 이것은 영화제작을 포함하고 있는 영화산업이 다른 산업들과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외생화 기법을 이용하여 수요유도형 모형을 분석할 것이며, 2009∼2014년까지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결과를 구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초록
      • I. 서론
      • Ⅱ. 영화산업에 대한 현황
      • Ⅲ. 선행연구
      • Ⅳ. 연구방법론
      • 논문초록
      • I. 서론
      • Ⅱ. 영화산업에 대한 현황
      • Ⅲ. 선행연구
      • Ⅳ. 연구방법론
      • 4.1 수요유도형 모형
      • 4.2 산업 간 연쇄효과
      • Ⅴ. 영화산업의 재분류 및 자료
      • Ⅵ. 분석결과 6.1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6.2 전·후방 연쇄효과 6.3 종합적 결과
      • Ⅴ. 분석의 주요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8 (8): 134-143, 2008

      2 송낙원, "한국영화 산업 클러스터 정책 연구" 한국영화학회 (37) : 201-226, 2008

      3 김휴종, "한국 영화산업의 구조 및 수요변화에 대한 연구" 5 (5): 85-107, 2002

      4 이근재, "한국 영화산업에서 수직 결합이 영화 상영에 미치는 영향: 상영배제, 상영기간 차별 및 다양성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 57 (57): 63-92, 2009

      5 임응순, "한국 미디어 산업의 분석 : 산업 연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2) : 125-149, 2009

      6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7

      7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문화방송 9 (9): 134-158, 2008

      8 김두성, "부산지역 영화산업 성장에 따른 고용파급효과 분석과 정책과제" 한국경제통상학회 25 (25): 71-100, 2007

      9 곽승준, "발전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 한국환경경제학회 11 (11): 581-608, 2002

      10 이건우, "국내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큰 폭으로 신장" (248) : 2005

      1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8 (8): 134-143, 2008

      2 송낙원, "한국영화 산업 클러스터 정책 연구" 한국영화학회 (37) : 201-226, 2008

      3 김휴종, "한국 영화산업의 구조 및 수요변화에 대한 연구" 5 (5): 85-107, 2002

      4 이근재, "한국 영화산업에서 수직 결합이 영화 상영에 미치는 영향: 상영배제, 상영기간 차별 및 다양성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 57 (57): 63-92, 2009

      5 임응순, "한국 미디어 산업의 분석 : 산업 연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2) : 125-149, 2009

      6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7

      7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문화방송 9 (9): 134-158, 2008

      8 김두성, "부산지역 영화산업 성장에 따른 고용파급효과 분석과 정책과제" 한국경제통상학회 25 (25): 71-100, 2007

      9 곽승준, "발전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 한국환경경제학회 11 (11): 581-608, 2002

      10 이건우, "국내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큰 폭으로 신장" (248) : 2005

      11 徐正敎, "文化産業投資의 經濟的 波及效果分析" 한국경제학회 51 (51): 3-87, 2003

      12 Ghosh,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25 (25): 58-64, 1958

      13 한국은행, "2007년도 산업 연관표"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경연구 -> 산업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12 0.8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