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단군 관련 연대 기록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성격을 새롭게 살펴보았다. 『三國遺事』 고조선조에 인용된 「魏書」, 「古記」와 『帝王韻紀』등에는 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02979
2015
Korean
檀君(壇君) ; 檀君紀元 ; 『三國遺事』 ; 『帝王韻紀』 ; 『魏書』 ; 『古記』 ; 『本紀』 ; 『箕子』 ; 『大衍曆』 ; Tan’gun(檀君 or 壇君) ; the year of Tan’gun(檀君紀元) ; Samguk 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 三國遺事) ; Chewangun’gi(帝王韻紀) ; Wei Shu(the Book of Wei ; 魏書) ; Koki(the Old Records ; 古記) ; Pon’gi(本紀) ; Kicha(箕子) ; Daiyan calendar(大衍?)
KCI등재
학술저널
7-46(40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단군 관련 연대 기록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성격을 새롭게 살펴보았다. 『三國遺事』 고조선조에 인용된 「魏書」, 「古記」와 『帝王韻紀』등에는 단...
이 글에서는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단군 관련 연대 기록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성격을 새롭게 살펴보았다. 『三國遺事』 고조선조에 인용된 「魏書」, 「古記」와 『帝王韻紀』등에는 단군의 즉위원년 및 통치기간에 대한 구체적인 연대가 기록되어 있다. 먼저 「위서」 에서 ‘2천년 전’에 단군이 조선을 개국했다는 것은, 그 기록의 기준 시점이 부여나 고구려의 건국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음을 살펴보았다. 즉 부여나 고구려의 건국신화에서 그 前史로 2,000년 전 단군의 조선 건국이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시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기』 에 보이는 단군원년이 庚寅年이었다는 기록은, 唐開元15년(727)에 편찬된 一行의 『大衍曆』에 기초한 것임을 밝혀보았다. 단군원년 庚寅年으로부터 통치기간 1,500년을 계산하면, 箕子가 조선에 受封된 己卯年과 간지상 연결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은『고기』가 기자의 시기를 단군의 통치기간 내에 포함시켜 이해했기 때문에 생긴 결과이다. 즉 단군의 퇴위는 기자의 수봉 시점이 아니라 阿斯達山神이 된 시점에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고기』 에서는 단군의 壽가 1,908세라고 하였는데, 구체적인 숫자라는 점에서 계산에 의해서 산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1,908세는 단군이 아사달산신이 된 후, 즉 단군 통치기간 1,500년 이후 『고기』 의 기록 시점까지의 연수를 의미한다고 이해된다. 즉 단군의 통치기간 1,500년과 1,908세를 합한 3,408년은, 단군원년으로부터 고기 기록 시점까지의 연수를 積算한 檀君紀元의 다른 표현인 것이다. 檀君紀元은 『제왕운기』에서도 확인되는데, 新羅의 敬順王이 귀부한 高麗 太祖18년(935)이 단군원년으로부터 3,288년이 되는 해라고 하였다. 다만 『제왕운기』 에서는 劉恕의 通鑑外紀를 따라 단군원년을 戊辰年으로 비정하여, 『大衍曆』 을 따른 『고기』 의 庚寅年과 기준 연대에서 차이가 난다. 이러한 연대 차이를 감안하고 계산하면, 『고기』의 단군기원 3408년은 고려 태조 즉위년인 918년을 기준 시점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단군 관련 『고기』 가 王建이 신왕으로 즉위하고 高麗가 개국한 시점에 정리된 기록임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고기』 의 성격과 고려시대의 단군 전승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evaluate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bout an epoch in relation to Tan’gun(檀君), which has been overlooked for a long time. In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Wei Shu(the Book of Wei; 魏書), Koki(the Old Records; 古...
This paper reevaluate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bout an epoch in relation to Tan’gun(檀君), which has been overlooked for a long time. In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Wei Shu(the Book of Wei; 魏書), Koki(the Old Records; 古記) quoted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and Chewangun’gi(帝王韻紀), there are records of the literal date of the accession and the reign of Tan’gun. First, this paper analyzed Wei Shu’s record that Tan’gun founded Chosun “two thousand years ago”, and concluded the reference point of this record would relate to the foundation Puyŏ or Koguryŏ.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hat the record about the foundation of Tan’gun’s Chosun passed down with the founding myths of Puyŏ or Koguryŏ as an exordium. This paper then clarified that a record in Koki referring the first year of Tan’gun to the year of Gengyin (metal tiger; 庚寅) was originated from Daiyan calendar (大衍暦), a book which was published in the 15th year of Kaiyuan(開元) of Tang dynasty (A.D. 727). If counting 1500 years of his reign from the first year of Tan’gun, the chronicle does not match the historical record, since the year Chinese regime invested Kicha(箕子) with Chosun was the year of Jimao(Earth Rabbit; 己卯). This discordance was a result of Koki’s misjudgment that included Kicha’s time in the reign of Tan’gun. Namely, the time Tan’gun’s abdicated was not when Kicha was installed, but when Tan’gun became the mountain god of Asatal(阿斯達). Koki also noted that Tan’gun’s age was 1908.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umber of his age is not approximate nor symbolic but literal, it is likely the record of Tan’gun’s age was based on a certain calculation. The age of 1,908 indicates a number of years from the time he became a local mountain god to the point of Koki’s record, counted from after his reign of 1500 years. Thus, the year of 3408, the sum of Tan’gun’s reign of 1500 years and his age of 1908, is arguably integration of years from the first year of Tan‘gun to the reference date of Koki’s record, written as the year of Tan’gun(檀君紀元). The year of Tan’gun could be found in Chewangun’gi as well. The document recorded that the 18<SUP>th</SUP> year of T’aecho(太祖) in Goryeo(高麗) dynasty(935) was the 3288<SUP>th</SUP> year , counting from the first year of Tan’gun. Yet Chewangun’gi estimated the first year of Tan’gun as the year of Wuchen(Earth Dragon;戊辰) in accordance with Liu Shu’s(劉恕) Tongjianwaiji(通鑑外紀), a method which makes the year different from Koki’s epoch based on Daiyan calendar. Considering this difference in the reference year, the year of 3408 is a result of calculation using the coronation year of T’aecho, the year of 918, as a reference date. It implies that Koki’s records about Tan’gun were compiled at the time Goryeo was founded. This fact will be an important evidence to interpret the process how records of Tan’gun passed down in the Goryeo er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홍기문, "조선신화연구" 지양사 1989
2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3 김성환, "단군 연구사의 정리와 방향" 고조선단군학회 18 : 133-184, 2008
4 조법종, "단군 연구사 검토 및 역사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52) : 111-172, 2012
5 리상호, "단군 설화의 년대 문제" 5 : 1962
6 김성환, "고조선 건국신화의 계승과 고조선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47) : 11-56, 2015
7 "魏書"
8 李丙燾, "高麗時代의 硏究-特히 地理圖讖思想의 發展을 中心으로-" 乙酉文化社 1948
9 "高麗史"
10 李基白, "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一潮閣 1985
1 홍기문, "조선신화연구" 지양사 1989
2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3 김성환, "단군 연구사의 정리와 방향" 고조선단군학회 18 : 133-184, 2008
4 조법종, "단군 연구사 검토 및 역사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52) : 111-172, 2012
5 리상호, "단군 설화의 년대 문제" 5 : 1962
6 김성환, "고조선 건국신화의 계승과 고조선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47) : 11-56, 2015
7 "魏書"
8 李丙燾, "高麗時代의 硏究-特히 地理圖讖思想의 發展을 中心으로-" 乙酉文化社 1948
9 "高麗史"
10 李基白, "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一潮閣 1985
11 李弘稙, "韓國古代史의 硏究" 新丘文化社 1971
12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13 金貞培, "韓國上古史의 諸問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14 方善柱, "韓中古代紀年의 諸問題" 2 : 1987
15 "隋書"
16 權近, "陽村集"
17 崔柄憲,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11 : 1975
18 羅泌, "路史"
19 劉恕, "資治通鑑外紀"
20 金履祥, "資治通鑑前編"
21 李純之, "諸家曆象集"
22 "舊唐書"
23 安居香山, "緯書の成立とその展開" 國書刊行會 1979
24 李萬運李德懋, "紀年兒覽"
25 徐居正, "筆苑雜記"
26 "端宗實錄"
27 邵雍, "皇極經世書"
28 汪曰楨, "疑年表"
29 李穡, "牧隱集"
30 能田忠亮藪內淸, "漢書律曆志の硏究" 全國書房 1947
31 "漢書"
32 吳其昌, "殷周之際年曆推證" 2 (2): 1929
33 董醇, "歷代甲子紀元表"
34 北京師範大學國學硏究所, "武王克商之年硏究"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7
35 李基白, "檀君神話論集" 새문사 1988
36 田中俊明, "檀君神話の歷史性をめぐって-史料批判の再檢討-" 4 (4): 1982
37 崔南善, "檀君古記箋釋" 1956
38 윤이흠, "檀君-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39 柳希齡, "標題音註東國史略"
40 최광식, "桓雄天王과 檀君王儉에 대한 역사민속학적 고찰" 고려사학회 (60) : 107-134, 2015
41 新城新藏, "東洋天文學史硏究" 弘文堂書房 1928
42 "東國通鑑"
43 安鼎福, "東史綱目"
44 原田一良, "本紀 檀君卽位年の復元" 184 : 2002
45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近澤書店 1937
46 岡田芳朗外, "曆の大事典" 朝倉書店 2014
47 "晉書"
48 杜預, "春秋釋例"
49 杜預注孔穎達疏, "春秋左氏傳正義"
50 細井浩志, "日本史を学ぶための<古代の曆>入門" 吉川弘文館 2014
51 "新唐書"
52 董作賓嚴一萍, "年代世系表" 藝文印書舘 1957
53 奧野彦六, "干支紀年考" 酒井書店 1976
54 李承休, "帝王韻紀"
55 徐宗元, "帝王世紀輯存" 中華書局 1964
56 山田統, "山田統著作集 1" 明治書院 1981
57 章如愚, "山堂考索"
58 金庠基, "宋代에 있어서의 高麗本의 流通에 대하여" 8 (8): 1965
59 徐浩修等, "國朝曆象考"
60 徐居正, "四佳文集"
61 "史記"
62 李基東, "古朝鮮問題의 一考察-帝王韻紀所在古朝鮮紀年에 대한 存疑-" 12 13 : 1977
63 楊家駱, "古今本竹書紀年八種" 世界書局 1967
64 徐永大, "傳統時代의 檀君認識" (창간) : 1999
65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66 "世宗實錄"
67 崔瀣趙云仡, "三韓詩龜鑑"
68 "三國遺事"
69 高橋亨, "三國遺事の註及檀君傳說の發展" 7 : 1954
70 "三國志"
71 李康來, "三國史記典據論" 민족사 1996
72 "三國史記"
73 김상현, "『古記』의 사학사적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74) : 285-324, 2014
74 張富祥, "≪竹書紀年≫ 與夏商周年代硏究" 中華書局 2013
75 박대재, "≪三國遺事≫ 古朝鮮條인용 ≪魏書≫ 論" 112 : 200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