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복지연구에서의 매개효과 검증: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검증을 중심으로 = mediation effects in Social work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21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사회복지학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매개효과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인과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의 효과를 의미한다.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인과적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시켜 줌으로써, 왜 그리고 어떻게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의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설명해준다. 특히, 예방 및 개입프로그램이 궁극적인 문제의 해결을 가져오는데 있어, 일차적인 프로그램의 목표라 할 수 있는 매개변인의 변화가 문제의 해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바로 매개효과의 검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매개효과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비해, 매개효과의 개념과 검증방법에 대한 소개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매개효과의 검증방법인 Baron & Kenny(1986)의 방법을 중심으로 매개효과의 검증의 절차와 고려사항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매개효과의 검증도구로는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접근용이성과 활용도를 고려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방법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분석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해석상의 주의사항을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분석과 결부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사회복지학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매개효과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인과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의 효과를 의미한다.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인...

      최근 들어, 사회복지학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매개효과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인과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의 효과를 의미한다.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인과적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시켜 줌으로써, 왜 그리고 어떻게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의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설명해준다. 특히, 예방 및 개입프로그램이 궁극적인 문제의 해결을 가져오는데 있어, 일차적인 프로그램의 목표라 할 수 있는 매개변인의 변화가 문제의 해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바로 매개효과의 검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매개효과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비해, 매개효과의 개념과 검증방법에 대한 소개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매개효과의 검증방법인 Baron & Kenny(1986)의 방법을 중심으로 매개효과의 검증의 절차와 고려사항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매개효과의 검증도구로는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접근용이성과 활용도를 고려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방법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분석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해석상의 주의사항을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분석과 결부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nontechnical explanation of how to examine mediator effect and demonstrate how to analyze it. Mediator is defined as a variable tha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a predictor and an outcome, and it i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a predictor influences an outcome variable. Within the context of evaluat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detecting mediators as well as outcomes provide information on which mechanisms are critical for influencing the effect of programs. This information can enable us to improve the effective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remove the ineffective components from it. And it can contribute to build and test theory grounded by prevention program. In this article, the most common method developed by Baron & Kenny(1986) for testing mediation effect was introduced and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method for detecting mediator effects is mainly explained because it is an accessible technique included in most statistical packages. An example and step-by-step guide for performing mediation effect analysis are also provid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and some considerations on mediation effect are provi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nontechnical explanation of how to examine mediator effect and demonstrate how to analyze it. Mediator is defined as a variable tha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a predictor and an outcome, and it is the mec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nontechnical explanation of how to examine mediator effect and demonstrate how to analyze it. Mediator is defined as a variable tha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a predictor and an outcome, and it i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a predictor influences an outcome variable. Within the context of evaluat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detecting mediators as well as outcomes provide information on which mechanisms are critical for influencing the effect of programs. This information can enable us to improve the effective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remove the ineffective components from it. And it can contribute to build and test theory grounded by prevention program. In this article, the most common method developed by Baron & Kenny(1986) for testing mediation effect was introduced and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method for detecting mediator effects is mainly explained because it is an accessible technique included in most statistical packages. An example and step-by-step guide for performing mediation effect analysis are also provid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and some considerations on mediation effect are provi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