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口訣 硏究의 現況과 課題 = A review of the study on Kugyol(口訣)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8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는 매우 이른 시기부터 한자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법이 발달되었다. 이 중 구결은 한문을 국어식으로 읽는 독법을 보인 것으로 읽는 방법에 따라 順讀口訣과 釋...

      한국에서는 매우 이른 시기부터 한자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법이 발달되었다. 이 중 구결은 한문을 국어식으로 읽는 독법을 보인 것으로 읽는 방법에 따라 順讀口訣과 釋讀口訣로 구분되었다. 순독구결은 한문을 원문대로 읽으면서 그 구두에 해당하는 곳에 吐를 넣어 읽는 것으로 고려조와 조선조를 거쳐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釋讀口訣은 이와 반대로 한문을 한국어의 어순으로 조정하여 읽는 것으로 1975년 발견된 舊譯仁王經을 비롯한 5종의 자료가 발굴되었고, 이들의 문자체계와 음운론적ㆍ문법론적 특징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언어사실들이 상당히 있다.
      그런데 2000년 7월 초순에 새로운 유형의 석독구결인 角筆 點吐釋讀口訣,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대체로 11세기의 국어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현재 4종 12권이 발견되었고 이들 자료 중 일부는 연구자료로 공개되었다. 그 동안 각필구결에 나타난 점토와 부호의 종류와 기능이 밝혀지고, 이들의 한자상의 위치와 그에 따른 點圖의 재구, 그리고 점토구결과 일본의 훈점과의 관계 등이 논의되었다.
      본고는 이와 같이 70년대 이후 이루어진 구결 연구 성과를 字吐釋讀口訣과 點吐釋讀口訣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구결 연구를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더듬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a long time ago in Korea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借字表記法) has been developed. Among those, Kugyol is usually classified into Sundok-kugyol(順讀口訣) and Seokdog-kugyol(釋讀口訣) according to its reading method. Sundok-k...

      From a long time ago in Korea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借字表記法) has been developed. Among those, Kugyol is usually classified into Sundok-kugyol(順讀口訣) and Seokdog-kugyol(釋讀口訣) according to its reading method. Sundok-kugyol is a method of reading Chinese texts in accordance to the original text by putting the grammatical particle(吐) in place of the phrase. It is presumed to be originated around the 12th century, but the Sundok-kugyol itself introduced by the documents of the 13th century and they are still used today. On the contrary Seokdog-kygyol is a method of reading Chinese texts by rearranging them according to the Korean word order. It was first introduced with the discover of the Kuyok-inwang-kyung(舊譯仁王經) in 1975, and now 5 types of materials show its existence. A lot of studies were made concerning the character system and the phonemics or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materials but there are still a lot of mysteries of the language not solved yet.
      On early July 2000, a new type of Seokdog-kugyol was discovered. It is written in Kakpil(角筆) and this is called Jeomto-seokdog-kugyol(點吐釋讀口訣). These materials show us the ancient Korean language of the 11th century, at present we have 12 books showing it. The Jeomto-kugyol(點吐口訣) usually indicates its sound and form by marking dot or line, etc., but its standard is the singlepoint. According some studies of the materials it was possible to make out a report classifying the matrix of single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However there is still a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and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earc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머리말
      • 2. 『구역인왕경』의 발견과 석독구결의 연구
      • 3. 순독구결의 연구와 자료의 발굴
      • 4. 角筆口訣의 발견과 點吐口訣의 연구
      • 요약
      • 1. 머리말
      • 2. 『구역인왕경』의 발견과 석독구결의 연구
      • 3. 순독구결의 연구와 자료의 발굴
      • 4. 角筆口訣의 발견과 點吐口訣의 연구
      • 5. 마무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藤本幸夫, "李朝訓讀攷 其一" 朝鮮學會 143 : 109-218, 1992

      2 으으으, "麗末鮮初에 간행된 새로운 입곁 자료에 대하여" 국어사자료학회 3 : 31-54, 2002c

      3 심재기, "화엄경 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학회 3 : 29-112, 1998

      4 이건식, "향찰과 석독구결의 훈독말음첨기에 대하여" 태학사 133-160, 1995

      5 으으으, "합부금광명경 권3 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3 : 113-194, 1998b

      6 으으으으, "한자문화권의 가점사에서 본 고려구결과 일본어초기훈점자료" 구결학회 73-79, 2001

      7 으으으으, "한자문화권의 가점사에서 본 고려구결과 일본어초기훈점자료" 구결학회 8 : 111-128, 2002

      8 으으으, "한문독법에 쓰여진 한국의 각필부호구결과 일본의 오코토점의 비교:유가사지론의 점토구결과 문자구결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10 : 79-113, 2003

      9 남풍현, "한국의 점토 구결에 대하여" 동경, 훈점어학회 107 : 69-102, 2001c

      10 으으으, "한국의 부호구결과 일본의 오코토점에 대하여:한문고판본과 수용(훈독)" 91-106, 2001a

      1 藤本幸夫, "李朝訓讀攷 其一" 朝鮮學會 143 : 109-218, 1992

      2 으으으, "麗末鮮初에 간행된 새로운 입곁 자료에 대하여" 국어사자료학회 3 : 31-54, 2002c

      3 심재기, "화엄경 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학회 3 : 29-112, 1998

      4 이건식, "향찰과 석독구결의 훈독말음첨기에 대하여" 태학사 133-160, 1995

      5 으으으, "합부금광명경 권3 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3 : 113-194, 1998b

      6 으으으으, "한자문화권의 가점사에서 본 고려구결과 일본어초기훈점자료" 구결학회 73-79, 2001

      7 으으으으, "한자문화권의 가점사에서 본 고려구결과 일본어초기훈점자료" 구결학회 8 : 111-128, 2002

      8 으으으, "한문독법에 쓰여진 한국의 각필부호구결과 일본의 오코토점의 비교:유가사지론의 점토구결과 문자구결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10 : 79-113, 2003

      9 남풍현, "한국의 점토 구결에 대하여" 동경, 훈점어학회 107 : 69-102, 2001c

      10 으으으, "한국의 부호구결과 일본의 오코토점에 대하여:한문고판본과 수용(훈독)" 91-106, 2001a

      11 으으으, "한국의 부호구결과 일본의 오코토점에 대하여" 59-66, 2001b

      12 으으으, "한국에 있어서의 구결연구의 회고와 전망" 동경 훈점어학회 100 : 1997b

      13 자료집, "한국 석독구결의 종합적 고찰 한문 수용에 관한 국제학술회의" 57-90, 2003

      14 윤행순, "한,일의 한문독법에 대한 비교" 구결학회 5 : 33-58, 1999

      15 으으으, "컴퓨터 입출력을 위한 구결자의 코드체계에 대하 시론" 구결학회 1 : 235-266, 1996a

      16 으으으, "초조본 유가사지론 각필 부호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59-69, 2000b

      17 으으으,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권3의 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137-143, 2001a

      18 으으으, "차자표기의 변화" 태학사 211-246, 1997

      19 남풍현, "차자표기법의 발달" 단국대학교 국문과 8합 : 1975

      20 으으으, "차자표기 자료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7권 (7권): 117-145, 1997

      21 으으으, "차자표기 연구의 흐름과 방향" 국립국어연구원 7권 (7권): 31-60, 1997b

      22 으으으, "차자표기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37-366, 1995c

      23 으으으, "차자 표기와 형태론" 국립국어연구원 7권 (7권): 99-116, 1997d

      24 으으으, "차자 표기 자료의 서지" 국립국어연구원 7 (7): 147-194, 1997a

      25 으으으, "직지심체요절의 구결에 대한 고찰:불교학논총:월운스님 고희기념" 동국대학교부설 역경원 1998b

      26 으으으, "중세어의 口訣記寫 자료에 대하여" 서울대 도서관 1 : 51-65, 1976c

      27 으으으,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7

      28 으으으, "주본 화엄경 권제36 점토구결의 해독-자토구결자의 대응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11 : 211-248, 2003b

      29 으으으, "종결어미 '- '에 대하여" 진단학회 81 : 195-214, 1996b

      30 으으으, "존경법 선어말어미 ' - -/- -[시]의 형태음소론적 연구-구결자료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90 : 215-237, 2000c

      31 고려말, "조선초기의 구결 연구" 75-101, 1990b

      32 으으으, "조선 중기부터 구한말까지의 구결자료에 관한 서지학적 연구" 서지학회 18 : 445-508, 1999

      33 "제16회 구결학회 겨울공동연구회 발표 요지문" 1997b

      34 박부자, "정문연본 永嘉證道歌의 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6 : 135-172, 2000

      35 으으으, "점토석독구결에서 구결자 ' '에 대응되는 구결점에 대하여:유가사지론 권5,8을 대상으로" 한국어학회 19 : 227-247, 2003a

      36 으으으, "점토석독구결 자료의 판독 및 해독 결과 기록 방안:유가사지론 권5,8을 대상으로" 111-122, 2003c

      37 으으으, "점토석독구결 자료에 기입된 구결자와 대응 구결점에 대하여:유가사지론 권5, 8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9집 : 205-225, 2002b

      38 으으으, "전기중세국어의 의문법" 국어학회 25 : 221-266, 1995b

      39 으으으, "전기 중세국어의 부정법 연구" 2003

      40 "일본의 오코토점과 한국의 초조대장경에 보이는 부호구결의 비교 구결학회 제23회 공동연구회 구두발표논문" 2000

      41 이용, "이 용 석독구결 선어말어미 '- -'에 대하여" 박이정 1 (1): 1999

      42 "의 혼성구결에 대하여" 1-20, 1979

      43 "의 특수구결에 대하여" 경기대학교 1982

      44 유가사지론, "의 점토에서 구결자 ' '에 대응되는 단점의 존재를 인정하게 하는 몇 가지 근거 논의 자료" 구결학회 월례강독회 2002d2002

      45 김영만, "의 석독표기 소고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58-69, 1986

      46 고려본, "의 석독구결에 대하여" 115-181, 1993

      47 고려본, "의 구결자에 대하여" 325-380, 1993a

      48 백두현, "의 구결자 와 -그 독법과 문법기능" 125-153, 1993

      49 남풍현, "의 구결연구" 1-68, 1976

      50 정경주, "의 구결연구" 中庸大學章句講譜 203-226, 1982

      51 구역인왕경, "의 구결에 대하여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49-57, 1985b

      52 최은규, "의 구결에 대하여 국어사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660-689, 1993

      53 "의 구결에 대하여" 64-88, 1989b

      54 필사본, "의 구결에 대하여" 393-427, 1989a

      55 "의 구결에 대하여" 125-149, 1987b

      56 이동림, "의 구결 해독을 위하여" 동국대학교 137-186, 1982

      57 김두찬, "의 구결 연구" 1987a

      58 으으으, "음독 입곁의 몇 가지 자형" 영난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3 : 139-174, 2001c

      59 으으으, "유가사지론의 "由 "와 "如 -"의 독법에 대하여" 구결학회 6 : 41-60, 2000

      60 으으으, "유가사지론 점토의 해독 방법 연구" 37-48, 2001e

      61 으으으, "유가사지론 점토의 해독 방법 연구" 구결학회 7 : 57-77, 2001b

      62 으으으,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의 '지시선'에 대하여" 구결학회 11 : 159-177, 2003b

      63 으으으, "유가사지론 점토구결에서 11위치의 단점에 대응되는 자토" 2003a

      64 으으으, "유가사지론 쌍점토의 해독 방법 연구" 구결학회 215-229, 2001c

      65 으으으, "유가사지론 석독구결의 연구" 태학사 1999b

      66 으으으, "유가사지론 권제5,8 각필구결에 나타난 如( , )" 101-108, 2003

      67 으으으, "유가사지론 권20 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학회 3 : 25-336, 1998a

      68 으으으, "유가사지론 각필 부호구결의 해독을 위하여: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이광호선생 회갑기념논총" 229-250, 2001b

      69 으으으, "여말선초의 구결자료" 문학과 지성사 56-76, 1993b

      70 남명천화상송증도가, "에 보이는 구결" 관동대학교 53-67, 1978

      71 선어말어미 '- -, "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출판부 335-361, 2002

      72 순독구결 자료, "에 대하여 구결연구" 구결학회 127-234, 1996a

      73 구결학회, "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1997

      74 으으으, "신라시대 구결의 재구를 위하여" 구결학회 8 : 77-93, 2002

      75 으으으, "수덕사 소장 법화경 권7의 각필 석독구결에 대하여" 61-70, 2003

      76 유탁일, "선초문헌에 쓰여진 불가구결" 1977

      77 이병기, "선어말어미 '-리-'의 기원" 구결학회 4 : 1-22, 1998

      78 으으으, "선어말어미 '-內-','-飛( )-'와'-臥( )-' 고대국어 선어말어미 '-다-'와 그 변화" 구결학회 63-89, 1999

      79 구역인왕경, "석독구결의 연대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85a19-40

      80 으으으, "석독구결의 생략표기와 난해토의 해독:국어사연구" 태학사 1055-1090, 1997

      81 으으으, "석독구결의 기원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00 : 233-242, 1988

      82 고영근, "석독구결의 국어사적 가치" 구결학회 3 : 1-28, 1998

      83 으으으, "석독구결의 '- + -' 구문에 대하여" 1-24, 2001

      84 장경준, "석독구결에서 '故'자에 현토된 구결자의 문법적 기능에 대하여:국어 문법의 연구』(남기심 편) Ⅴ" 537-558, 2001a

      85 으으으, "석독구결에 나타난 부정사의 기능에 대하여" 11 : 249-274, 2003

      86 으으으, "석독구결 자료의 감탄법 종결어미" 구결학회 4 : 57-84, 1998

      87 정영숙,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부정사에 대하여" 67-76, 2001

      88 으으으, "석독구결 '故'자의 현토 경향에 대한 고찰(1)-자토석독구결 자료 5종을 대상으로" 구결학회 7 : 113-134, 2001b

      89 황국정, "석독 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학회 6 : 281-342, 2000

      90 장윤희, "석독 구결 자료의 명령문 고찰" 구결학회 2 : 97-130, 1997

      91 김무림, "석독 구결 음차자의 독법에 대하여:제18회 공동연구호" 구결학회 33-49, 1998

      92 으으으, "석독 구결 '皆 ', '悉 '와 고려 향찰 '頓部叱', '盡良'의 비교 고찰" 구결학회 2 : 1-26, 1997

      93 으으으, "새로 발견된 각필 부호구결과 그 의의" 국립국어연구원 10권 (10권): 135-152, 2000a

      94 박희숙, "불전의 구결에 대하여" 1976

      95 으으으, "부호자의 문자론적 의의" 국어학회 38 : 89-116, 2001c

      96 으으으, "부호의 자형과 제작 원리:문법과 텍스트" 서울대출판부 61-78, 2002b

      97 으으으, "법화경:이본의 입곁(구결) 연구" 언어과학연구 21 : 89-110, 2002b

      98 으으으, "동명사 어미의 역사적 변화" 태학사 215-252, 1995a

      99 "담양 용천사 구결본 3종의 서지적 고찰 1995년 여름 구결연구회 공동연구회 구두발표" 1995

      100 으으으, "다시 토 ' '와 ' '에 대하여" 구결학회 5 : 59-74, 1999

      101 으으으, "능엄경의 음독 입곁 연구" 2001a

      102 으으으, "능엄경:새 자료에 대하여:남권희(다)본과 파전(坡田)" 한국어문학회 71 : 31-68, 2000b

      103 으으으, "능엄경:권8의 입곁 연구:고려본과 조선 초기본을 대상으로" 한국말글학회 16 : 129-148, 1999a

      104 으으으, "남권희본 능엄경 입곁 자형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66 : 62-100, 1999b

      105 으으으, "남권희(라)본 능엄경 입곁에 대하여" 한국말글학회 17 : 111-133, 2000c

      106 으으으, "남권희(나)본 능엄경의 입곁 연구" 구결학회 6 : 87-134, 2000a

      107 한상화, "기림사본 능엄경구결의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08 으으으, "금광명경 권3 석독구결에 나타난 의 용법에 대하여" 신구문화사 1996b

      109 홍윤표, "근대국어 省劃吐에 대한 연구 를 중심으로" 357-379, 1986

      110 "균여의 방언본 저술에 대하여" 41-54, 1987

      111 박진호, "규장각 소장 구결자료:능엄경 2종에 대하여" 구결학회 1집 : 73-94, 1996

      112 고려 석독구결 자료, "권3의 소개" 1994年 11월 구결학회 월례강독회 1994b

      113 고려본, "권35의 서지학적 고찰 1994년 여름 구결학회 공동연구회 구두 발표" 1994a

      114 화엄경, "권20에 대하여 구결연구" 33-56, 2001

      115 묘법연화경, "권1에 대하여" 20022002년8월

      116 화엄경, "권14의 고려시대 석독구결" 1994

      117 천소영, "국어학연구백년사" 1992

      118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594-604, 1990a

      119 구역인왕경, "국어사와 차자표기" 161-214, 1995

      120 으으으, "국어사를 위한 구결연구" 태학사 1999a

      121 으으으, "국어부정법의 발달" 문법연구회 3 : 55-82, 1976

      122 으으으, "국어 처격조사의 발달" 탑출판사 69-94, 1977a

      123 남성우, "구역인왕경: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연구" 3 : 195-252, 1998

      124 으으으, "구역인왕경 석독구결의 경어법" 구결학회 5 : 127-146, 1999

      125 으으으, "구역인왕경 구결의 종결어미" 구결학회 5 : 165-188, 1999

      126 으으으, "구역인왕경 구결의 음운사적 의의" 구결학회 5 : 109-126, 1999

      127 박성종, "구역인왕경 구결의 어휘" 구결학회 5 : 201-220, 1999

      128 으으으, "구역인왕경 구결의 시상과 서법 선어말어미" 구결학회 5 : 147-164, 1999

      129 으으으, "구역인왕경 구결의 구문론적 양상" 구결학회 5 : 189-200, 1999

      130 으으으, "구결점의 위치 변이에 대한 기초 연구" 국어사자료학회 (3호) : 5-30, 2002c

      131 으으으, "구결자료의 '-ㄱ-' 약화 탈락을 찾아서"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30 : 1-30, 2002a

      132 으으으, "구결자 ' '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학회 10 : 115-142, 2003

      133 으으으, "구결의 종류와 그 발달:한문고판본과 수용(훈독)" 11-20, 2001b

      134 으으으, "구결의 종류와 그 발달" 55-58, 2001a

      135 심재기, "구결의 생성 및 변천에 대하여" 일지사 1 : 2-22, 1975a

      136 화엄경, "구결의 상태동사 어간" 1995b

      137 구역인왕경, "구결의 '之叱'에 대하여" 2 56-1 66, 1977b

      138 구역인왕경, "구결에 대하여" 1975b19-35

      139 으으으, "구결어미 ' '에 대하여" 구결학회 1 : 11-44, 1996

      140 으으으, "구결어 '如( , , )의 해독법 연구" 40 : 117-139, 2002

      141 김문웅, "구결법의 변천" 태학사 429-454, 1995

      142 으으으, "구결과 한문훈독에 대하여" 진단학회 41 : 143-162, 1976b

      143 으으으, "고려중기 구결자료의 경어법연구:국어어휘의 기반과 역사" 태학사 843-878, 1998

      144 으으으, "고려시대의 점토구결에 대하여" 한국서지학회 24 : 5-45, 2000a

      145 으으으, "고려시대의 기록문화 연구"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146 으으으, "고려시대의 {-이} 부사와 부사형:국어어휘의 기반과 역사" 태학사 737-784, 1998a

      147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특징:한문고판본과 그 수용(훈독)" 237-249, 2001

      148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조사에 대한 연구" 1996b

      149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자와 자의 원자에 대하여:어문학논총:청범 진태하교수 계칠송수기념" 태학사 1997a

      150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선어말어미 '- (오)-'에 대한 통사적 고찰-'-오-' 介在 구문과 非介在 구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83 : 235-272, 1997b

      151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선어말어미 '- (오)-'의 분포와 기능" 경북어문학회 30 : 93-136, 1996

      152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동명사어미 '- /ㄴ'에 대한 고찰" 28 : 1-48, 1996c

      153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경어법 선어말어미 '- -'와 '- -'의 분포와 기능에 관한 연구" 경북어문학회 29호 : 45-114, 1995b

      154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 /ㄹ'에 대한 고찰" 구결학회 1집 : 3-10, 1996a

      155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 '에 대하여" 문학과 언어 연구회 17 : 1-14, 1996b

      156 으으으, "고려시대 석독구결문의 미정관형구성에 대하여" 경북어문학회 30 : 137-150, 1996a

      157 이장희, "고려시대 석독구결문의 '- -'에 대하여" 문학과 언어 연구회 16 : 103-120, 1995

      158 조은주,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부정법 연구" 구결학회 7 : 135-166, 2001

      159 으으으, "고려시대 구결의 문자체계와 통시적 변천:아시아 제민족의 문자" 태학사 287-384, 1997c

      160 어문교육 70, "고려시대 구결에 나타난 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71) : 1991

      161 으으으, "고려시대 각필점토 석독구결의 종류와 그 해독-진본화엄경 권20의 점토석독구결을 중심으로" 조선학회 183 : 1-22, 2002

      162 태학사, "고려본 화엄경의 구결자 ' '에 관한 고찰 국어사와 차자표기" 253-284, 1995a

      163 으으으, "고려본 자비도량참법 권제1-5와 그 구결 소개" 한국서지학회 11 : 1993b

      164 으으으, "고려본 법화경의 점토 순독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2000b

      165 남권희, "고려본 대방광불화엄경 권제14와 그 구결 자료" 1993a

      166 남경란, "고려본 능업경 입곁과 ' '형 종결법 연구" 1997

      167 "고려 중기 구결자료의 형태음소론적 연구" 317-326, 1994

      168 으으으, "고려 중기 구결자료의 주체경어법 선어말어미'- (겨)-'" 신구문화사 517-556, 1996

      169 으으으, "고려 시대 석독구결에 나타난 선어말어미의 계열관계와 통합관계" 구결학회 2 : 27-96, 1997a

      170 으으으, "고려 시대 구결 한자음의 연구" 구결학회 5 : 75-108, 1999

      171 으으으, "고려 구결자료 대방광불화엄경 권제14의 서지적 분석 구결연구" 구결학회 1 : 377-403, 1996

      172 이승재, "각필 부호구결 자료에 대한 조사 연구:성암본 유가사지론 권제5와 권제8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9 : 115-145, 2002

      173 유가사지론, "각필 구결에 대한 관견" 구결학회 월례 강독회 원고 2002a2002

      174 으으으, "각필 符點口訣의 의의와 연구 방법" 구결학회, 국어사자료학회 55-69, 2003

      175 으으으으, "韓國의 訓讀에 대하여" 문학과 지성사 642-649, 1993

      176 小林芳規, "韓國의 角筆點과 日本의 古訓點의 關係" 구결학회 15-52, 2001

      177 으으으으, "韓國의 角筆點과 日本의 古訓點의 關係" 구결학회 8 : 21-76, 2002a

      178 으으으, "華嚴經十四:구결 기능체계" 구결학회 6 : 343-449, 2000

      179 으으으, "舊譯仁王經 口訣 解讀 試攷" 구결학회 2 : 161-242, 1997

      180 김주원, "緇門經訓(석륜암본의) 기입토에 나타난 16세기 경상도 방언 구결연구" 구결학회 2 : 265-290, 1997

      181 으으으으, "新羅經典에 記入된 角筆 文字와 符號 :京都,大谷大學藏 判比量論에서의 발견­" 구결학회 10 : 5-30, 2003b

      182 황선엽, "文庫本:大方廣圓覺略疏注經" 구결학회 1 : 95-126, 1996

      183 김동소, "大方廣佛華嚴經(권35):입곁의 독음 연구-'- ', '- ', '- '를 중심으로" 79 : 115-131, 2003

      184 으으으, "大方廣佛華嚴經 (권35):석독구결에 나타난 독음 고찰-'- ' '- '을 중심으로" 26 : 259-283, 2002a

      185 으으으, "周本 華嚴經 권제22의 각필 부호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7 : 1-32, 2001a

      186 으으으, "佛說四十二章經:입곁의 이본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75 : 143-169, 2001b

      187 으으으, "佐藤本 華嚴文義要訣의 국어학적 연구" 구결학회 10 : 47-78, 2003

      188 石塚晴通, "アジア諸民族に於ける漢文の訓讀" 구결학회 1996

      189 "{-ㄹ}동명사의 통사적 기능에 대하여 문법연구 문법연구회" 1979

      190 이전경, "15세기 구결표기법의 연구" 2001

      191 김영욱, "14세기 문법형태 '-거/어-'의 교체에 대하여:기림사본 능엄경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233 : 69-104, 1996

      192 으으으, "14세기 문법형태 ' / [의/ㅅ]'의 교체에 대하여" 구결학회 2 : 243-264, 1997

      193 으으으, "14세기 국어의 시상과 서법" 구결학회 6 : 61-86, 2000

      194 으으으, "11세기 문법형태를 찾아서문법과 텍스트" 서울대출판부 157-172, 2002

      195 서민욱, "'者'자의 부호구결에 대하여" 구결학회 7 : 167-197, 2001

      196 으으으, "'-오-'의 변화국어사연구" 태학사 601-644, 1997a

      197 이현희, "'-아져'와 '-良訣'" 태학사 411-428, 1995

      198 정재영, "' '형 부사와 ' '형 부사" 태학사 285-316, 1995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Of Kugyol -> The Society for Kugyol Studies KCI등재
      2014-1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ugyol Studies -> Kugyol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ugyol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1 1.7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