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레토릭 사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84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레토릭 사전의 내용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수사학의 체계.
      한, 영, 독, 불, 서, 중, 일 등 7개 언어권의 수사학 용어체계를 상호 비교하며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제어의 선별을 통해 수사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본개념들을 정리하고 서양 고전수사학 용어에 해당하는 우리말을 가능한 한 통일시켜 대응시킨다. 선별기준은 수사학에서 다루어지는 모든 개념이 아니라 수사학관련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중심으로 한다.
      1.1.수사학의 일반개념 용어.
      여기서는 수사학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들, 수사학의 학습(natura - ars - exercitatio)과 관련된 개념들, 수사학의 삼대효과목표(docere - delectare - movere)에 대한 정의들을 정리한다.
      1.2.수사학의 영역별 개념 용어.
      여기서는 수사학의 전통적 5분법에 따른 개념을 정리한다. 즉, 설득적인 논거를 찾아내는 착상(inventio), 착상된 것의 순서를 잡는 배열(dispositio), 배열된 것에 언어의 옷을 입히는 표현(elocutio), 표현된 것을 갈무리하는 암기(memoria), 암기된 것을 목소리와 몸짓과 표정에 맞추는 발표(actio)의 영역을 구분하여 기본개념들을 정리한다.
      ● 착상의 영역: 착상의 영역에서는 말감(quaestio), 연설의 종류(genus orationis), 처지론(status), 말터론(topos) 등에 나오는 기본 개념들을 정리한다.
      ● 배열의 영역: 배열의 영역에서는 들머리(exordium), 얼거리(narratio), 벼리(probatio), 마무리(peroratio)등의 용어들과 각 부분영역의 기본원칙들을 정리한다. 이를테면 들머리에서의 호감사기, 관심 끌기, 이해 돕기의 원칙을 정리한다.
      ● 표현의 영역: 달리 문체론이라고도 하는 표현의 영역에서는 문체원칙(virtutes elocutionis), 문체범주(figurae elocutionis), 문체종류(genera elocutionis)에 나오는 기본개념들을 정리한다. 이를테면 문체원칙에서는 정확성(Latinitas), 명확성(perspicuitas), 장식성(ornatus), 적절성(aptum)을, 문체범주에서는 각종 형용법 또는 무늬들을, 문체종류에서는 이른바 3체론(단순체, 보통체, 숭고체)과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할 것이다.
      ● 암기의 영역: 암기의 영역에서는 장소(locus)와 이미지(imagines)에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할 것이다.
      ● 발표의 영역: 발표의 영역에서는 목소리(vox)와 몸짓(gestus) 그리고 표정(vultus)과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할 것이다.

      2. 수사학의 역사.
      수사학의 역사 항목들에서는 고대 그리스 수사학, 로마 수사학, 중세수사학, 르네상스 수사학, 현대 수사학을 시대별로 개괄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현대 수사학의 골격은 고대 수사학 그대로이므로, 고대 수사학을 중점적으로 다뤄, 현대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방향으로 개괄할 것이다. 따라서 서양과 동양의 고대,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사학 용어의 개념형성 및 그 발전과정을 항목설명에 포함시켜 수사학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돕는다.

      3. 수사학과 관련학문.
      수사학의 체계와 연관되는 인접학문들의 관심사를 정리할 것이다. 이를테면 형사소송법과 처지론, 언론학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설득과정, 사회 조직의 힘으로 작용한 페미니즘 수사학, 정치연설의 구조와 기능, 문학비평에 나타나는 문체범주, 텍스트 작성의 체계로 활용되는 수사학, 설교지침으로서의 신학수사학 등을 정리하여 수사학의 활용가치를 높일 것이다. 아울러 언론학, 문학, 언어학, 심리학, 교육학, 철학, 법학 등 수사학의 여러 관련 학문들(공시성)에서 학제간의 공통된 관심사를 반영하는 핵심개념들 - 가령 발화(utterance), 발화효과행위(perlocution), 숭고(sublime), 의사소통(communication), 캠페인, 논증(argumentation), 설득, 변론, 추론(inference), 개연성(eikos), 상황논리(kairos), 논쟁(controversia), 하이퍼텍스트, 설교법(homiletics), 추정(conjecture), 범의(intention of crime) 등을 포함시킨다.

      4. 동양의 수사학적 전통.
      서구 고전 수사학의 수용과는 별도로 인도를 포함한 동양의 수사학적 전통에 대한 고찰과 현재의 쟁점들을 주요 국가별로 정리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한다. 즉, 인도의 고전 수사학, 중국의 전통 수사학, 한국의 한문 수사학, 일본의 근대 수사학 등이 관련 항목들로서 기술될 것이다.
      번역하기

      레토릭 사전의 내용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수사학의 체계. 한, 영, 독, 불, 서, 중, 일 등 7개 언어권의 수사학 용어체계를 상호 비교하며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제어의 선별...

      레토릭 사전의 내용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수사학의 체계.
      한, 영, 독, 불, 서, 중, 일 등 7개 언어권의 수사학 용어체계를 상호 비교하며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제어의 선별을 통해 수사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본개념들을 정리하고 서양 고전수사학 용어에 해당하는 우리말을 가능한 한 통일시켜 대응시킨다. 선별기준은 수사학에서 다루어지는 모든 개념이 아니라 수사학관련 연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중심으로 한다.
      1.1.수사학의 일반개념 용어.
      여기서는 수사학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들, 수사학의 학습(natura - ars - exercitatio)과 관련된 개념들, 수사학의 삼대효과목표(docere - delectare - movere)에 대한 정의들을 정리한다.
      1.2.수사학의 영역별 개념 용어.
      여기서는 수사학의 전통적 5분법에 따른 개념을 정리한다. 즉, 설득적인 논거를 찾아내는 착상(inventio), 착상된 것의 순서를 잡는 배열(dispositio), 배열된 것에 언어의 옷을 입히는 표현(elocutio), 표현된 것을 갈무리하는 암기(memoria), 암기된 것을 목소리와 몸짓과 표정에 맞추는 발표(actio)의 영역을 구분하여 기본개념들을 정리한다.
      ● 착상의 영역: 착상의 영역에서는 말감(quaestio), 연설의 종류(genus orationis), 처지론(status), 말터론(topos) 등에 나오는 기본 개념들을 정리한다.
      ● 배열의 영역: 배열의 영역에서는 들머리(exordium), 얼거리(narratio), 벼리(probatio), 마무리(peroratio)등의 용어들과 각 부분영역의 기본원칙들을 정리한다. 이를테면 들머리에서의 호감사기, 관심 끌기, 이해 돕기의 원칙을 정리한다.
      ● 표현의 영역: 달리 문체론이라고도 하는 표현의 영역에서는 문체원칙(virtutes elocutionis), 문체범주(figurae elocutionis), 문체종류(genera elocutionis)에 나오는 기본개념들을 정리한다. 이를테면 문체원칙에서는 정확성(Latinitas), 명확성(perspicuitas), 장식성(ornatus), 적절성(aptum)을, 문체범주에서는 각종 형용법 또는 무늬들을, 문체종류에서는 이른바 3체론(단순체, 보통체, 숭고체)과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할 것이다.
      ● 암기의 영역: 암기의 영역에서는 장소(locus)와 이미지(imagines)에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할 것이다.
      ● 발표의 영역: 발표의 영역에서는 목소리(vox)와 몸짓(gestus) 그리고 표정(vultus)과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할 것이다.

      2. 수사학의 역사.
      수사학의 역사 항목들에서는 고대 그리스 수사학, 로마 수사학, 중세수사학, 르네상스 수사학, 현대 수사학을 시대별로 개괄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현대 수사학의 골격은 고대 수사학 그대로이므로, 고대 수사학을 중점적으로 다뤄, 현대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방향으로 개괄할 것이다. 따라서 서양과 동양의 고대,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사학 용어의 개념형성 및 그 발전과정을 항목설명에 포함시켜 수사학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돕는다.

      3. 수사학과 관련학문.
      수사학의 체계와 연관되는 인접학문들의 관심사를 정리할 것이다. 이를테면 형사소송법과 처지론, 언론학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설득과정, 사회 조직의 힘으로 작용한 페미니즘 수사학, 정치연설의 구조와 기능, 문학비평에 나타나는 문체범주, 텍스트 작성의 체계로 활용되는 수사학, 설교지침으로서의 신학수사학 등을 정리하여 수사학의 활용가치를 높일 것이다. 아울러 언론학, 문학, 언어학, 심리학, 교육학, 철학, 법학 등 수사학의 여러 관련 학문들(공시성)에서 학제간의 공통된 관심사를 반영하는 핵심개념들 - 가령 발화(utterance), 발화효과행위(perlocution), 숭고(sublime), 의사소통(communication), 캠페인, 논증(argumentation), 설득, 변론, 추론(inference), 개연성(eikos), 상황논리(kairos), 논쟁(controversia), 하이퍼텍스트, 설교법(homiletics), 추정(conjecture), 범의(intention of crime) 등을 포함시킨다.

      4. 동양의 수사학적 전통.
      서구 고전 수사학의 수용과는 별도로 인도를 포함한 동양의 수사학적 전통에 대한 고찰과 현재의 쟁점들을 주요 국가별로 정리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한다. 즉, 인도의 고전 수사학, 중국의 전통 수사학, 한국의 한문 수사학, 일본의 근대 수사학 등이 관련 항목들로서 기술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