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라도의 문화원형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of Storytelling Mara Island`s Cultural Archety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5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Marado``s storytelling planning, roadmaps, designs, creation and marketing in order to build a master plan regarding Marado``s cultural archetypes.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was to expand the domain of legitimacy regarding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of Marado. This was to be done by developing a traditional and cultural content unique to Marado by identifying the cultural elements of Marado. Marado is a symbolic region which indicates the southernmost part of South Korea. This symbolism explains why so many tourists hope to visit Marado, as well as Jeju. Thus there are many passenger ships that continue back and forth to this island.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storytelling Marado``s cultural archetypes, the island fails to make the best use out of its beautiful traditional culture. Thus the study focused on the island``s failure in commercializing itself and investigated several plans that could make a successful business out of Marado. By using the cultural archetypes of Marado such as Aegaeeopgaedang(Halmangdang), Rock General, women divers, and Marado lighthouse, the study hopes to make the best use out of this beautiful southernmost island.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Marado``s storytelling planning, roadmaps, designs, creation and marketing in order to build a master plan regarding Marado``s cultural archetypes.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was to expand the domain of legitimacy reg...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Marado``s storytelling planning, roadmaps, designs, creation and marketing in order to build a master plan regarding Marado``s cultural archetypes.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was to expand the domain of legitimacy regarding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of Marado. This was to be done by developing a traditional and cultural content unique to Marado by identifying the cultural elements of Marado. Marado is a symbolic region which indicates the southernmost part of South Korea. This symbolism explains why so many tourists hope to visit Marado, as well as Jeju. Thus there are many passenger ships that continue back and forth to this island.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storytelling Marado``s cultural archetypes, the island fails to make the best use out of its beautiful traditional culture. Thus the study focused on the island``s failure in commercializing itself and investigated several plans that could make a successful business out of Marado. By using the cultural archetypes of Marado such as Aegaeeopgaedang(Halmangdang), Rock General, women divers, and Marado lighthouse, the study hopes to make the best use out of this beautiful southernmost isla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진도 축제식 상장례 민속의 연희성과 스토리텔링" 민속원 5-6, 2013

      2 김미경, "진도 축제식 상장례 민속의 연희성과 스토리텔링" 고려대대학원 2009

      3 문순덕, "제주여성 속담으로 바라 본 통과의례" 제주대학교 출판부 198-249, 2004

      4 진성기, "제주도무속논고-남국의 무속" 민속원 113-119, 2003

      5 진성기, "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 민속원 542-543, 2002

      6 문소연, "이어도로 가는 길목 - 최남단 마라도" 도서출판각 20-30, 1999

      7 고창훈, "우리 땅의 의미를 찾는 제주기행" 백산서당 68-70, 1994

      8 김미경, "어청도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한국도서(섬)학회 20 (20): 1-18, 2008

      9 정광중, "마라도의 지리적 환경과 지역환경 조성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1-20, 2013

      10 "대한민국 최남단 마라도"

      1 김미경, "진도 축제식 상장례 민속의 연희성과 스토리텔링" 민속원 5-6, 2013

      2 김미경, "진도 축제식 상장례 민속의 연희성과 스토리텔링" 고려대대학원 2009

      3 문순덕, "제주여성 속담으로 바라 본 통과의례" 제주대학교 출판부 198-249, 2004

      4 진성기, "제주도무속논고-남국의 무속" 민속원 113-119, 2003

      5 진성기, "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 민속원 542-543, 2002

      6 문소연, "이어도로 가는 길목 - 최남단 마라도" 도서출판각 20-30, 1999

      7 고창훈, "우리 땅의 의미를 찾는 제주기행" 백산서당 68-70, 1994

      8 김미경, "어청도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한국도서(섬)학회 20 (20): 1-18, 2008

      9 정광중, "마라도의 지리적 환경과 지역환경 조성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1-20, 2013

      10 "대한민국 최남단 마라도"

      11 김미경, "고군산군도(古群山群島)의 전통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 선유도·무녀도·장자도·대장도의 섬무속 축제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1 (21): 35-5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