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후기 사대부 민사평의 일상과 교유 = Daily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of Min Sapyung, a Nobleman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n Sapyung was a member of Yeoheung Min family, a prestigious jaesangjijong (a family that produced generations of high-ranking official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and was born to Min Jeok and the granddaughter of Kim Banggyeong. He was bereaved of his mother when young, raised by the grandfather Min Jongyu, and married the daughter of Kim Ryun when he was 20. Min Jongyu and Kim Ryun both strongly opposed to enthroning of King Shimyang; they came from prestigious families that shared a similar political view.
      The daughter of Min Sapyung lived with her parents throughout her life, and her daughter also grew up in the grandparents’ house. Solseohon (matrilocal residence) was widespread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reby families forged a strong bond with relatives on mothers' side, as is shown in the case of Min Sapyung’s family as well. When he died, he was buried at a cemetery for his wife’s family, and this indicates that jokbun (family graveyard) was not centered around the paternal line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non-paternal oriented characteristics of that period are also observed in that the terms that indicated Min Sapyung’s families on mother's or wife's side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that indicated his families on father’s side.
      After passing a state examination in the second year of King Chungsuk’s reign, Min Sapyung devoted himself to academic learning. Then he began his career as a government official when he was appointed as jwajeongeon (左正言) after King Chungsuk was released from the capital city of Yuan Dynasty and returned to Go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suk and the reign of the reinstated King Chunghye, Min Sapyung was promoted and appointed at important posts termed cheongyojik (淸要職). He was acknowledged as a mentor to King Chungjeong, and he took positions of docheomeuichamri (都僉議叅理) and chanseongsa (贊成事). After King Gongmin was enthroned, Min Sapyung left the government as people close to King Chungjeong were excluded from key positions.
      His poems and proses describe daily life of noblemen in late Goryeo Dynasty in detail. Exchanges with dongnyun (同年) and jwaju (座主),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wife's family are well observed. His writing also illustrates his relationship with various other peopl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gions and lives of people.
      Since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Min Sapyung had a successful political career between the reign of King Chungsuk and King Chungjeong without much frustration except for the period of King Gongmin. Primarily, he could lead a respected life in both personal realm and political career as government official due to his outstanding academic knowledge and capabilities, but his background as having come from a prestigious family and a consequent strong human network also played an important part.
      번역하기

      Min Sapyung was a member of Yeoheung Min family, a prestigious jaesangjijong (a family that produced generations of high-ranking official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and was born to Min Jeok and the granddaughter of Kim Banggyeong. He was bereaved...

      Min Sapyung was a member of Yeoheung Min family, a prestigious jaesangjijong (a family that produced generations of high-ranking official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and was born to Min Jeok and the granddaughter of Kim Banggyeong. He was bereaved of his mother when young, raised by the grandfather Min Jongyu, and married the daughter of Kim Ryun when he was 20. Min Jongyu and Kim Ryun both strongly opposed to enthroning of King Shimyang; they came from prestigious families that shared a similar political view.
      The daughter of Min Sapyung lived with her parents throughout her life, and her daughter also grew up in the grandparents’ house. Solseohon (matrilocal residence) was widespread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reby families forged a strong bond with relatives on mothers' side, as is shown in the case of Min Sapyung’s family as well. When he died, he was buried at a cemetery for his wife’s family, and this indicates that jokbun (family graveyard) was not centered around the paternal line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non-paternal oriented characteristics of that period are also observed in that the terms that indicated Min Sapyung’s families on mother's or wife's side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that indicated his families on father’s side.
      After passing a state examination in the second year of King Chungsuk’s reign, Min Sapyung devoted himself to academic learning. Then he began his career as a government official when he was appointed as jwajeongeon (左正言) after King Chungsuk was released from the capital city of Yuan Dynasty and returned to Go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suk and the reign of the reinstated King Chunghye, Min Sapyung was promoted and appointed at important posts termed cheongyojik (淸要職). He was acknowledged as a mentor to King Chungjeong, and he took positions of docheomeuichamri (都僉議叅理) and chanseongsa (贊成事). After King Gongmin was enthroned, Min Sapyung left the government as people close to King Chungjeong were excluded from key positions.
      His poems and proses describe daily life of noblemen in late Goryeo Dynasty in detail. Exchanges with dongnyun (同年) and jwaju (座主),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wife's family are well observed. His writing also illustrates his relationship with various other peopl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gions and lives of people.
      Since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Min Sapyung had a successful political career between the reign of King Chungsuk and King Chungjeong without much frustration except for the period of King Gongmin. Primarily, he could lead a respected life in both personal realm and political career as government official due to his outstanding academic knowledge and capabilities, but his background as having come from a prestigious family and a consequent strong human network also played an important p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민사평은 충선왕대 ‘宰相之宗’인 여흥민씨 가문의 일원으로서 閔頔과 김방경의 손녀 김씨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조부인 閔宗儒 슬하에서 성장하였는데, 20세에 김륜의 딸과 혼인하였다. 민종유와 김륜은 심왕옹립에 강력하게 반대했던 인물로서, 兩家는 명문이면서도 정치적인 성향도 유사했다. 민사평의 무남독녀 역시 김방경의 증손과 혼인함으로써, 민사평 가문은 김방경 가문과 중첩되는 혼인관계를 맺었다. 또한 민사평은 座主인 李瑱의 가문과도 혼인으로 얽혀 있었다.
      민사평의 딸은 평생 친정에서 부모를 모시고 살았으며, 외손 역시 외가에서 生長하였다. 솔서혼 習俗으로 인해 처가나 외가와 돈독했던 상황이 민사평 가문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후 민사평이 처가의 매장지에 묻힌 사실도 고려후기 族墳이 부계 중심으로 형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고려후기 非父系的인 특징은 민사평의 모계친이나 처족에 대한 지칭어가 父系와 구분되지 않았다는 데에서도 찾을 수 있다.
      민사평은 충숙왕 2년에 급제한 후 학문에 전념하다가 元都에 억류되었던 충숙왕이 고려로 귀환한 이후 藝文․春秋修撰․左正言 등에 제수되면서 본격적인 관료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충숙왕과 충혜왕의 重祚 시기에도 민사평은 승진을 거듭하였으며, 특히 諫官職과 政曹 등의 청요직을 두루 거쳤다. 충정왕대에는 국왕의 師傅로서 원나라에 시종한 공로로 協贊功臣에 책봉되었고, 都僉議叅理를 거쳐 贊成事에 올랐다. 다만 공민왕 즉위 후에는 官界를 떠났는데, 충정왕의 측근세력을 배척하는 과정과 연계된 것으로 판단된다.
      민사평의 詩文에는 고려후기 사대부의 일상도 드러난다. 同年과 座主의 교유, 妻系親과의 친밀한 관계, 원나라 세력가와의 교유 뿐만 아니라 지방의 풍토와 도탄에 빠진 민생에 대한 인식도 엿 볼 수 있다.
      민사평은 급제 이후와 공민왕대를 제외하고는 충숙왕대부터 충정왕대까지 별다른 정치적 좌절을 맛보지 않고 승승장구하였다. 그가 교유나 관직생활에서 존중받으며 남부럽지 않은 삶을 이어나갈 수 있었던 일차적인 배경은 학식과 능력이었지만, 명문가문의 일원이라는 출신과 그와 맞물린 인적관계 역시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번역하기

      민사평은 충선왕대 ‘宰相之宗’인 여흥민씨 가문의 일원으로서 閔頔과 김방경의 손녀 김씨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조부인 閔宗儒 슬하에서 성장하였는데, 20세에 ...

      민사평은 충선왕대 ‘宰相之宗’인 여흥민씨 가문의 일원으로서 閔頔과 김방경의 손녀 김씨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조부인 閔宗儒 슬하에서 성장하였는데, 20세에 김륜의 딸과 혼인하였다. 민종유와 김륜은 심왕옹립에 강력하게 반대했던 인물로서, 兩家는 명문이면서도 정치적인 성향도 유사했다. 민사평의 무남독녀 역시 김방경의 증손과 혼인함으로써, 민사평 가문은 김방경 가문과 중첩되는 혼인관계를 맺었다. 또한 민사평은 座主인 李瑱의 가문과도 혼인으로 얽혀 있었다.
      민사평의 딸은 평생 친정에서 부모를 모시고 살았으며, 외손 역시 외가에서 生長하였다. 솔서혼 習俗으로 인해 처가나 외가와 돈독했던 상황이 민사평 가문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후 민사평이 처가의 매장지에 묻힌 사실도 고려후기 族墳이 부계 중심으로 형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고려후기 非父系的인 특징은 민사평의 모계친이나 처족에 대한 지칭어가 父系와 구분되지 않았다는 데에서도 찾을 수 있다.
      민사평은 충숙왕 2년에 급제한 후 학문에 전념하다가 元都에 억류되었던 충숙왕이 고려로 귀환한 이후 藝文․春秋修撰․左正言 등에 제수되면서 본격적인 관료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충숙왕과 충혜왕의 重祚 시기에도 민사평은 승진을 거듭하였으며, 특히 諫官職과 政曹 등의 청요직을 두루 거쳤다. 충정왕대에는 국왕의 師傅로서 원나라에 시종한 공로로 協贊功臣에 책봉되었고, 都僉議叅理를 거쳐 贊成事에 올랐다. 다만 공민왕 즉위 후에는 官界를 떠났는데, 충정왕의 측근세력을 배척하는 과정과 연계된 것으로 판단된다.
      민사평의 詩文에는 고려후기 사대부의 일상도 드러난다. 同年과 座主의 교유, 妻系親과의 친밀한 관계, 원나라 세력가와의 교유 뿐만 아니라 지방의 풍토와 도탄에 빠진 민생에 대한 인식도 엿 볼 수 있다.
      민사평은 급제 이후와 공민왕대를 제외하고는 충숙왕대부터 충정왕대까지 별다른 정치적 좌절을 맛보지 않고 승승장구하였다. 그가 교유나 관직생활에서 존중받으며 남부럽지 않은 삶을 이어나갈 수 있었던 일차적인 배경은 학식과 능력이었지만, 명문가문의 일원이라는 출신과 그와 맞물린 인적관계 역시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閔賢九,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2 노명호, "한국사 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3 정혜순, "여말선초 여흥민씨 가문의 동향" 석당학술원 (47) : 181-247, 2010

      4 이종서, "고려~조선전기 친족관계 ―'족(族)'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64) : 261-280, 2003

      5 하일식,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혜안 2007

      6 김난옥, "고려말 詩文 교류와 인적관계 ― 辛裔를 중심으로 ―" 고려사학회 (61) : 491-522, 2015

      7 김용선, "고려금석문연구" 일조각 2004

      8 朴龍雲, "高麗時代蔭敍制와 科擧制硏究" 일지사 1990

      9 박용운, "高麗時代官職․官階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0 鄭希仙, "高麗忠肅王代政治勢力의 性格" 42 : 1990

      1 閔賢九,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2 노명호, "한국사 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3 정혜순, "여말선초 여흥민씨 가문의 동향" 석당학술원 (47) : 181-247, 2010

      4 이종서, "고려~조선전기 친족관계 ―'족(族)'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64) : 261-280, 2003

      5 하일식,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혜안 2007

      6 김난옥, "고려말 詩文 교류와 인적관계 ― 辛裔를 중심으로 ―" 고려사학회 (61) : 491-522, 2015

      7 김용선, "고려금석문연구" 일조각 2004

      8 朴龍雲, "高麗時代蔭敍制와 科擧制硏究" 일지사 1990

      9 박용운, "高麗時代官職․官階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0 鄭希仙, "高麗忠肅王代政治勢力의 性格" 42 : 1990

      11 金昌鉉, "高麗後期政房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98

      12 金光哲, "高麗後期世族層硏究" 동아대출판부 1991

      13 이종서, "高麗後期 이후 ‘同氣’ 理論의 전개와血緣意識의 變動" 국학연구원 (120) : 1-35, 2003

      14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 출판부 2012

      15 "高麗史節要"

      16 "高麗史"

      17 유호진, "閔思平 詩에 나타난 諷刺와 諧謔" 동양한문학회 33 (33): 267-299, 2011

      18 "稼亭集"

      19 "益齋集"

      20 "牧隱集"

      21 "東文選"

      22 "拙藁千百"

      23 "惕若齋學吟集"

      24 유호진, "及菴詩集" 한국고전번역원 2013

      25 "及菴詩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