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책 연구기관의 그린&스마트IT 수준 진단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agnostic Tools for Evaluating the Level of Green & Smart IT in National Laboratories: Focused K Research Institu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59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IT분야의 대표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는 그린&스마트IT의 조직 내 활용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그린&스마트IT 수준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국책 연구기관에 실제로 적용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문헌들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연구진 협의, 그리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등의 과정을 통해 그린&스마트IT 수준 측정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측정도구를 국내 정보분석 및 유통 분야의 대표 연구기관인 K연구원에 적용하여 진단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IT환경변화인 그린&스마트IT의 추진 현황에 대한 객관성 있는 검토는 물론 이를 토대로 향후 조직의 그린&스마트IT 도입 및 추진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IT분야의 대표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는 그린&스마트IT의 조직 내 활용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그린&스마트IT 수준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국책 연구기관에 실제로 적용해 보...

      본 연구는 최근 IT분야의 대표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는 그린&스마트IT의 조직 내 활용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그린&스마트IT 수준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국책 연구기관에 실제로 적용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문헌들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연구진 협의, 그리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등의 과정을 통해 그린&스마트IT 수준 측정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개발된 측정도구를 국내 정보분석 및 유통 분야의 대표 연구기관인 K연구원에 적용하여 진단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IT환경변화인 그린&스마트IT의 추진 현황에 대한 객관성 있는 검토는 물론 이를 토대로 향후 조직의 그린&스마트IT 도입 및 추진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latest advancement and trend in IT field, Green & Smart IT has attracted more and more attentions from research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which could be used for evaluating Green & Smart IT level within an organization. The newly developed tool was also tried out within a state-run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achieve meaningful results, a comprehensiv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was performed in advance, then, researcher’s discussion, delphi survey and other processes were also employed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ols for the evaluation of Green & smart IT level. Besides, K research institute, a representative institut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alysis and distribution in Korea, was chosen as the target in which th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tool was applied and an evaluation was also performed.
      This study provides an objective discussion on the present status of Clean & Smart IT. The findings presented in the study also provide organizations with use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orrect orientation for the introduction and promotion of Green & Smart IT in the future.
      번역하기

      As the latest advancement and trend in IT field, Green & Smart IT has attracted more and more attentions from research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which could be used for evaluating Green & Smart IT level within an or...

      As the latest advancement and trend in IT field, Green & Smart IT has attracted more and more attentions from research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which could be used for evaluating Green & Smart IT level within an organization. The newly developed tool was also tried out within a state-run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achieve meaningful results, a comprehensiv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was performed in advance, then, researcher’s discussion, delphi survey and other processes were also employed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ols for the evaluation of Green & smart IT level. Besides, K research institute, a representative institut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alysis and distribution in Korea, was chosen as the target in which th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tool was applied and an evaluation was also performed.
      This study provides an objective discussion on the present status of Clean & Smart IT. The findings presented in the study also provide organizations with use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correct orientation for the introduction and promotion of Green & Smart IT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개요
      • Ⅰ. 서론
      • Ⅱ. 문헌 고찰
      • Ⅲ. 그린&스마트IT 수준 진단도구 개발
      • Ⅳ. 사례 연구기관 적용 및 평가 결과
      • 개요
      • Ⅰ. 서론
      • Ⅱ. 문헌 고찰
      • Ⅲ. 그린&스마트IT 수준 진단도구 개발
      • Ⅳ. 사례 연구기관 적용 및 평가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주요국 그린 IT 정책 추진 동향과 시사점"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2 행정안전부, "스마트워크 추진전략" 2010

      3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워크 인프라 고도화 및 민간활성화 기반 조성" 2010

      4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 전략" 2010

      5 "녹색성장위원회"

      6 홍진배, "녹색성장과 「그린 IT 국가전략」의 이해"

      7 녹색성장위원회, "그린 IT 국가전략"

      8 한국정보화진흥원, "국내 기업의 녹색정보화 수준 진단 및 개선 전략" (1) : 2010

      9 백인수, "Smart IT를 통한 Smart KOREA 구현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18) : 2010

      10 "Green IT in Australia - improving, but could do(a lot) better"

      1 박상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주요국 그린 IT 정책 추진 동향과 시사점"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2 행정안전부, "스마트워크 추진전략" 2010

      3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워크 인프라 고도화 및 민간활성화 기반 조성" 2010

      4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 전략" 2010

      5 "녹색성장위원회"

      6 홍진배, "녹색성장과 「그린 IT 국가전략」의 이해"

      7 녹색성장위원회, "그린 IT 국가전략"

      8 한국정보화진흥원, "국내 기업의 녹색정보화 수준 진단 및 개선 전략" (1) : 2010

      9 백인수, "Smart IT를 통한 Smart KOREA 구현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18) : 2010

      10 "Green IT in Australia - improving, but could do(a lot) better"

      11 양회석, "Green IT" 이한출판사 2011

      12 "Accenture"

      13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14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년 IT산업 10대 이슈"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