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o control, FCTC)에서는 제9조(담배제품의 성분에 관한 규제)와 제10조(담배제품의 정보공개에 관한 규제)를 통하여 비준국의 담배제품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o control, FCTC)에서는 제9조(담배제품의 성분에 관한 규제)와 제10조(담배제품의 정보공개에 관한 규제)를 통하여 비준국의 담배제품 ...
세계보건기구(WHO)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o control, FCTC)에서는 제9조(담배제품의 성분에 관한 규제)와 제10조(담배제품의 정보공개에 관한 규제)를 통하여 비준국의 담배제품 성분의 공개 및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미국 FDA 에서는 연방식품의약품화장품법안(Federal Fod, Drug, and Cosmetic Act) 904조항에 따라 담배 유해성분(Harmful and Potentialy Harmful Constituents, HPHC) 목록을 마련하여 관 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담배의 유해성 관리에 관한 법률 로 담배성분공개를 추진 중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WHO 권고사항인 담배성분 실험실에 필요한 국제적 인정(ISO/IEC 17025) 을 확보하고, 담배 배출물 중 페놀류 유해성분의 시험법을 단계적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WHO 권고사항인 ISO/IEC 17025 인정을 확보하고자 시험기관 및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에 적합한 체계를 기반으로 경영요구사항과 기술요구사항을 구축하였다. KS Q ISO/IEC 17025 요구사항을 따라 품질메뉴얼, 절차서, 지침서를 제정하였다. 효율적인 시험결과 신뢰성 보증 체계 구축을 위해 품질 및 기술 책임자, 실무자 등은 사전교육 (ISO/IEC 17025 운영실무, 측정불확도 이론)을 받았으며, 숙련도 평가, 시험검사방법 유효화, 측정불확도 추정, 장비관리를 중심으로 품질보증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또한 추가로 주류연 성분들 중 페놀류 성분에 대한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주류연은 담배자동흡연장치를 이용하여 국제적인 흡연규격인 ISO 308:200 조건에 따라 흡연하고, 유리섬유필터 (Cambridge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주류연의 성분을 포집하였다. 포집된 성분은 전처리를 거쳐 HPLC/FLD로 분석하였으며 시험법 검증(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안정성 등)을 수행하였다. 페놀류 성분들에 대한 회수율의 범위는 80~120% 사이였다. 또한 본 과제에서 확립한 분석법을 통한 표준담배의 주류연 중 페놀류 성분 함량과 참고문헌의 표준담배 값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성분이 참고문헌에서 제시한 함량의 범위 안에 포함되기 때문에 주류 연 페놀류 성분을 분석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국제적 기준에 적합한 효율적인 운영시스템 하에서 자격을 갖춘 검사원이 적합한 시설에서 시험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시험검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품질보증체계를 확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시험법을 담배의 공개 대상 유해성분 표준시험법으로 활용하여 담배 안전관리 강화 및 과학적 정책지원을 통한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O recommends ratifying countries to release constituents of tobaco to the public and to control them acording to the article 9 and 10 of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o Control(FCTC). US FDA is especialy providing lists of Harmful and Potentialy Harm...
WHO recommends ratifying countries to release constituents of tobaco to the public and to control them acording to the article 9 and 10 of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o Control(FCTC). US FDA is especialy providing lists of Harmful and Potentialy Harmful Constituents(HPHC) and trying to control them refers to the article 904 of Federal Fod, Drug and Cosmetic Act.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also pushes ahead with disclosing constituents of tobaco by revising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Therefore, we tried to establish certification of ISO/IEC 17025 and analytical methods of phenolic compounds of tobaco. In a first, for certification of ISO/IEC 17025, management and technical requirements were established for the public confidence acording to the ISO/IEC 17025: General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e of testing and calibration laboratories. Related employes were al participated in required KS Q ISO/IEC 17025 educations for the beter work. The quality asurance management system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by performing proficiency testing, method validation, uncertainty estimation, equipment management and it was to secure the reliabilty. And we focused on inhaled smokes such as phenolic compounds. The phenolic compounds were colected by smoking machine (RM20H) and the conditions were folowed by international standard ISO 3402:199. Specificity, linearity, acuracy, precision and stabilty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method validation. The recoveries were 80∼120%.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quality asurance management system is acomplished as qualified researchers analyze in an apropriate facilties under the internationaly apropriate management system. Therefore it became a way to have a reliabilty of testing result, and These established methods might conjugated as standard methods so as to strengthen tobaco safety controls and it might suport a scientific policy for the beter public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