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이해와 적용 = Understanding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5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Specifically, the study attempted to diagnosis the types and strengths of the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as a new scale to generate a realistic observation method and various cultural interpretations.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4 types(autonomy, relationship, goal achievement, change) and 6 sub-factors(organizational climate, leadership,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teamwork, and goal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used in 5 different ways such as overall, gender, grade, sports, and region by cross-sectional analysis with 580 student athlet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oal achievement and human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as a dominant type of sport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five different approaches. Second, teamwork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were emphasized as meaningful sub-factor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Finally, the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addre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Specifically, the study attempted to diagnosis the types and strengths of the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Specifically, the study attempted to diagnosis the types and strengths of the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college sports as a new scale to generate a realistic observation method and various cultural interpretations.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4 types(autonomy, relationship, goal achievement, change) and 6 sub-factors(organizational climate, leadership,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teamwork, and goal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used in 5 different ways such as overall, gender, grade, sports, and region by cross-sectional analysis with 580 student athlet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oal achievement and human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as a dominant type of sport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 five different approaches. Second, teamwork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were emphasized as meaningful sub-factor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Finally, the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addre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을 통해 문화적 이해와 특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단위를 하위문화로 적용하여 문화적 강도와 유형의 다양성 및 핵심적 가치의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자율, 관계, 성과, 변화)과 여섯 가지 하위요인(분위기, 리더십, 의사소통, 의사결정, 팀워크, 목표)을 이용하여 다섯 가지 차원(전체, 성별, 학년, 종목, 지역) 위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n=580),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대학 스포츠팀 조직문화는 전체적 접근을 포함한 다섯 가지 접근에서 성과와 인간관계에 대부분 중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섯 가지 조직문화 하위요인 중 분위기, 팀워크, 의사소통, 리더십의 경우 강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결정과 목표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을 통해 문화적 이해와 특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단위를 하위문화로 적용하여 문화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을 통해 문화적 이해와 특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관찰단위를 하위문화로 적용하여 문화적 강도와 유형의 다양성 및 핵심적 가치의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자율, 관계, 성과, 변화)과 여섯 가지 하위요인(분위기, 리더십, 의사소통, 의사결정, 팀워크, 목표)을 이용하여 다섯 가지 차원(전체, 성별, 학년, 종목, 지역) 위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n=580),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대학 스포츠팀 조직문화는 전체적 접근을 포함한 다섯 가지 접근에서 성과와 인간관계에 대부분 중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섯 가지 조직문화 하위요인 중 분위기, 팀워크, 의사소통, 리더십의 경우 강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결정과 목표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욱, "한국행정조직의 문화적 프로필에 관한 연구: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39 (39): 41-62, 2005

      2 이혁기,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운동부 문화와 사회적 함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85-105, 2010

      3 정영린, "학생 운동선수 학습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89-204, 2011

      4 이지영, "팀-조직 문화 적합도가 팀 만족과 조직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개인 수준과 팀 수준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최윤석, "스포츠 팀 조직문화 측정도구(Sport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strument: STOCI) 개발 및 양호도 검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3 (23): 44-65, 2018

      6 오응수, "스포츠 조직의 갈등과 리더십" 학현사 2014

      7 Carless, S. A., "The measurement of cohesion in work teams" 31 : 71-88, 2000

      8 Carron, A. V., "The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 test manual"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2002

      9 Kim, M. S., "Performance norms and performance by teams in basketball competition" 80 (80): 770-, 1995

      10 O'Reilly, C. A.,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34 (34): 487-516, 1991

      1 최성욱, "한국행정조직의 문화적 프로필에 관한 연구: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39 (39): 41-62, 2005

      2 이혁기,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운동부 문화와 사회적 함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85-105, 2010

      3 정영린, "학생 운동선수 학습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89-204, 2011

      4 이지영, "팀-조직 문화 적합도가 팀 만족과 조직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개인 수준과 팀 수준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최윤석, "스포츠 팀 조직문화 측정도구(Sport Team Organizational Culture Instrument: STOCI) 개발 및 양호도 검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3 (23): 44-65, 2018

      6 오응수, "스포츠 조직의 갈등과 리더십" 학현사 2014

      7 Carless, S. A., "The measurement of cohesion in work teams" 31 : 71-88, 2000

      8 Carron, A. V., "The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 test manual"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2002

      9 Kim, M. S., "Performance norms and performance by teams in basketball competition" 80 (80): 770-, 1995

      10 O'Reilly, C. A.,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34 (34): 487-516, 1991

      11 Fletcher, D., "Organizatoinal psychology in elite sport : Its emergence, application and future" 10 : 427-434, 2009

      12 Maitland A., "Organizational culture in sport : A systematic review" 18 : 501-516, 2015

      13 Dension R. D,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 A competing values approach" 5 : 1-21, 1991

      14 Muijen, J. J., "Organizational culture : The focus questionnaire" 8 (8): 551-568, 1999

      15 Armensakis A., "Organizational culture : Assessment and transformation" 11 (11): 305-328, 2011

      16 Cooke, R., "Organizational Culture Inventory (OCI)" Human Synergistic 1987

      17 Litwin, G. H.,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18 Bartkus, B., "Mission statement qua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24 (24): 86-94, 2005

      19 Delobbe, N., "Measuring cor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A review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53-, 2002

      20 Frontiera, J.,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ransformation in professional sport" 17 (17): 71-86, 2010

      21 Langfred, C. W., "Is group cohesiveness a double-edged sword?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hesiveness on performance" 29 (29): 124-143, 1998

      22 Cruickshank A., "Driving and sustaining culture change in professional sport performance teams : A grounded theory" 20 : 40-50, 2015

      23 Cameron, K. S.,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sational culture :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Addison-Wesley 1999

      24 Cruickshank, A., "Culture change in elite sport performance teams : Outlining an important and unique construct" 9 (9): 6-2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7 1.73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