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영화의 출발 기점에 관한 재고찰 : 영화사에서의 ‘1919년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87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초까지 한국영화사 학계에서는 식민지 시기 조선인들에 의해 제작된 최초의 연쇄극 〈의리적 구토〉에 대한 두 가지 쟁점을 둘러싼 뜨거운 논란이 있었다. 첫째, 이 작품을 최초의 ...

      2000년대 초까지 한국영화사 학계에서는 식민지 시기 조선인들에 의해 제작된 최초의 연쇄극 〈의리적 구토〉에 대한 두 가지 쟁점을 둘러싼 뜨거운 논란이 있었다. 첫째, 이 작품을 최초의 한국영화로 인정할 수 있는가. 둘째, 이 작품이 공연된 1919년을 한국영화 제작사(製作史)의 출발 기점으로 볼 수 있는가. 이는 연쇄극을 영화로 볼 수 있느냐 하는 일반적인 문제로 옮겨진 후,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그 양식 자체를 인정하거나 연극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시도도 펼쳐졌다. 아울러, 〈의리적 구토〉에 관한 논의는 (최초의) 기록영화와 극영화 등에 관한 것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띠기도 하였다. 그리고 2010년대 들어서는 연쇄극의 혼종성에 주목하다가 그 영화적 성격을 중시하는 것으로 담론의 중심이 이동되어 왔다. 그런데, 〈의리적 구토〉가 공연된 1919년이 한국영화의 출발 기점으로 세워진 것은 ‘한국영화 40년’을 지나 ‘50년’을 3년 앞둔 1966년의 일이었고, 여기에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 뒤로 다시 50년이 지났다. 영화사 연구에서 ‘국가’ 단위 분류화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재확인하고, 한국영화사 서술 기준으로서의 ‘민족(성)’이라는 요소의 합리성에 대해 재점검하며, 시대별 주요 사건과 작품에 독립적인 의의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향후 영화사 연구 및 서술의 바람직한 방안을 탐색해 볼 시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the early 2000s there was a heated debate in the academia of Korean cinema history over two issues concerning the first kino drama, 〈Fight for Justice(Uilijeog guto)〉 produced by the Koreans in the colonial period. First, can this film be re...

      Until the early 2000s there was a heated debate in the academia of Korean cinema history over two issues concerning the first kino drama, 〈Fight for Justice(Uilijeog guto)〉 produced by the Koreans in the colonial period. First, can this film be recognized as the first Korean film? Second, is it possible to see 1919, when this work was performed, as the starting point for Korean film (making) history? After the move to the general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kino drama can be accepted as a movie, since the mid - 2000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cknowledge the style itself or to look at it from a theater perspective. In addition, discussions on the 〈Fight for Justice〉 tend to be extended to (the first) documentary film and feature film. And in 2010, the center of discourse has been shifted to focus on the cinematic personality from paying attention to the hybridity of kino drama. However, 1919, when 〈Fight for Justice〉 was performed, it was established as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cinema history in 1966, three years ahead of ‘50 years’ after ‘40 years of Korean cinema’. And there was a background of the times. It has been 50 years since then. We must reaffirm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nation’ unit classification in the cinema studie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ationality of the element of ‘nationality’ as the standard of Korean cinema histor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desirable methods of research and writing of cinema history by giving independent significance and value to important events and works of the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초기 한국영화사의 변곡점으로서의 1919년
      • Ⅱ. 〈의리적 구토〉의 영화사적 의의에 대한 논란
      • Ⅲ. 기록영화와 극영화로의 논의 확대, 그리고 다시 연쇄극으로
      • Ⅳ. 정전 재/구축의 양상 및 시대 배경적 요인
      • Ⅴ. 나오며 : ‘한국영화 100년’을 재고찰하기
      • Ⅰ. 들어가며: 초기 한국영화사의 변곡점으로서의 1919년
      • Ⅱ. 〈의리적 구토〉의 영화사적 의의에 대한 논란
      • Ⅲ. 기록영화와 극영화로의 논의 확대, 그리고 다시 연쇄극으로
      • Ⅳ. 정전 재/구축의 양상 및 시대 배경적 요인
      • Ⅴ. 나오며 : ‘한국영화 100년’을 재고찰하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안종화, "한국영화측면비사" 춘추각 1962

      3 이영일, "한국영화주조사" 영화진흥공사 1988

      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5 조희문, "한국영화의 쟁점 1" 집문당 2002

      6 함충범, "한국영화와 4․19 : 1960년대 초 한국영화의 풍경" 한국영상자료원 2009

      7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 1" 이론과실천 1992

      8 조희문, "한국영화 기점에 관한 연구 : 최근의 쟁점을 중심으로" (9) : 7-42, 1993

      9 호현찬, "한국영화 100년" 문학사상사 2000

      10 서연호, "한국연극사 : 근대편" 연극과인간 2004

      1 "황성신문"

      2 안종화, "한국영화측면비사" 춘추각 1962

      3 이영일, "한국영화주조사" 영화진흥공사 1988

      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5 조희문, "한국영화의 쟁점 1" 집문당 2002

      6 함충범, "한국영화와 4․19 : 1960년대 초 한국영화의 풍경" 한국영상자료원 2009

      7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 1" 이론과실천 1992

      8 조희문, "한국영화 기점에 관한 연구 : 최근의 쟁점을 중심으로" (9) : 7-42, 1993

      9 호현찬, "한국영화 100년" 문학사상사 2000

      10 서연호, "한국연극사 : 근대편" 연극과인간 2004

      11 이효인, "한국근대영화의 기원" 박이정 2017

      12 Jean-Pierre Jeancolas, "프랑스 영화사" 동문선 2003

      13 김려실,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 삼인 2006

      14 김종원, "초창기 영화사 기술의 문제점과 새로운 기점의 제시" 1993

      15 Stefan Kramer, "중국영화사" 이산 2000

      16 "조선일보"

      17 한상언, "조선영화의 탄생" 박이정 2018

      18 김룡봉, "조선영화사" 사회과학출판사 2013

      19 백문임, "조선영화란 하(何)오 : 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창비 2016

      20 김정민, "조선 총독부 내무국 사회과의 교화 영화 정책 출현 배경에 관한 고찰" 한국문학연구소 (37) : 287-334, 2009

      21 백문임,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국학연구원 (158) : 271-310, 2012

      22 함충범, "일제말기 한국영화사" 국학자료원 2008

      23 四方田犬彦, "일본 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0

      24 유현목, "유현목의 한국영화발달사" 책누리 1997

      25 전평국, "우리 영화의 기원으로서 연쇄극에 관한 시론" 한국영화학회 (24) : 463-498, 2004

      26 김종원, "우리 영화 100년" 현암사 2001

      27 Geoffrey Nowell Smith,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열린책들 2005

      28 김한상, "영화의 국적 관념과 국가영화사의 제도화 연구 - ‘한국영화사’ 주요 연구문헌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사학회 (80) : 257-286, 2008

      29 김수남, "연쇄극의 정체성 논의 -총체예술론적 관점에서-" 한국공연문화학회 (25) : 5-30, 2012

      30 김수남, "연쇄극의 영화사적 정리와 미학적 고찰" (20) : 56-92, 2002

      31 우수진, "연쇄극의 근대 연극사적 의의- 테크놀로지와 사실적 미장센, 여배우의 등장" 상허학회 20 : 108-125, 2007

      32 조희문, "연쇄극 연구" (15) : 225-258, 1999

      33 홍재범, "연극과 영상의 혼종적 텍스트, 연쇄극의 형식" 겨레어문학회 (44) : 325-350, 2010

      34 한상언, "식민지 조선에서 연쇄극의 유입과 정착에 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64) : 203-227, 2015

      35 "삼천리"

      36 홍영철, "부산 근대 영화사" 산지니 2009

      37 함충범, "박정희 정권기 국립영화제작소에 대한 연구: 1960년대 한국영화계의 시대적 특수성 및 역사적 함의와 더불어"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8 (28): 185-209, 2013

      38 Steven C. Earley, "미국영화사" 예건사 1993

      39 "매일신보"

      40 "동아일보"

      41 김금동, "독일 위생영화를 통해 본 조선 콜레라위생영화(1920)와 천연두위생영화(1922)의 특징과 한계" 한국영화학회 (55) : 35-82, 2013

      42 "국제영화"

      43 김수남, "공연예술과 영상예술의 교감에 대한 고찰" (2) : 605-622, 2004

      44 "경향신문"

      45 김수남, "개화기 영화문화와 근대화의 의식형성" (13) : 217-227, 1997

      46 趙熙文, "草創期 韓國映畵史 연구 : 映畵의 傳來와 受容 (1896-1923)"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2

      47 上田学, "大韓帝国皇太子記録映画の日本における受容 『植民地期の韓国映画と日本映画の交流について』. " 2013

      48 김승구, "『朝鮮日報』의 1930년대 영화 관련 활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6) : 221-249, 2010

      49 이화진, "‘한국영화 반세기’를 기념하기 —1960년대 남한의 한국영화 기념사업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4 (24): 84-122, 2018

      50 정종화, "‘영화적 연쇄극’에 관한 고찰: 일본 연쇄극 연구 동향을 기반으로" 한국영화학회 (74) : 195-228, 2017

      51 주창규, "‘근대의 선정주의’로서 신파극의 변형과 연쇄극의 출현에 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51) : 235-290, 2012

      52 함충범, "1960년대 전반기 박정희 정권의 영화 정책에 대한 영화계의 반응 및 활동 양상 연구: 영화법을 둘러싼 ‘영협’과 ‘제협’의 입장과 태도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11 (11): 149-188, 2015

      53 김정민, "192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의 활동사진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 대하여 - 영화의 적극적 이용 정책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7 : 145-172, 2009

      54 한상언,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영화의 탄생" 한국영화학회 (55) : 649-690, 2013

      55 복환모,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활동사진반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24) : 249-278, 2004

      56 배병욱, "1920년대 전반 조선총독부의 선전영화 제작과 상영" 역사문화학회 9 (9): 183-239, 2006

      57 金廷珉, "1920年代前半における『京城日報』製作映画に関する研究:『愛の極み』を中心に" 80 : 171-189, 2012

      58 김재석, "1910년대 한국 신파연극계의 위기의식과 연쇄극의 등장" 한국어문학회 (102) : 315-349,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