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송대에서부터 청대까지 제작된 두보연보(杜甫年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문헌 정리와 동시에 각종 두보연보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9657
-
2016년
Korean
두보 ; Dufu(杜甫) ; Du-shi(杜詩) ; Dufu’s chronology ; Chronology ; Recording chronologically ; 두시 ; 두보연보 ; 연보 ; 편년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송대에서부터 청대까지 제작된 두보연보(杜甫年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문헌 정리와 동시에 각종 두보연보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본 연구는 송대에서부터 청대까지 제작된 두보연보(杜甫年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문헌 정리와 동시에 각종 두보연보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44종의 두보연보 가운데에는 두보가 살았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함께 표를 통해 두보 일대기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표 형식의 연보, 두보가 남긴 작품들에 대한 편년식 연보 등 다양한 형태의 연보가 존재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그 과정에서 청대의 양륜과 장원의 연보는 지금까지 각자의 독립된 저작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본 연구를 통해 주학령의 연보를 그대로 인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연보에 기재되어 있는 두보 일대기 관련 정보들을 비교분석하여 존재하는 이설들을 위주로 그들의 두보의 일대기를 추적해가는 방법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두보는 일기를 쓰든 그의 작품을 써내려갔는데, 연보의 제작에 있어 이러한 두보 작품들을 통한 일대기의 구성, 그리고 史書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에 대한 수정과 검토를 통한 연대기 구축, 이백(李白), 고적(高適), 엄무(嚴武) 등과 같은 인물들과의 고증을 통한 두보 일대기의 재구성 과정을 통해 연보가 제작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러 연구 성과에서도 이미 지적하였듯이 연보의 제작은 ‘知人論世’, ‘以意逆志’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적 시도이다. 다만 연보의 제작은 단순히 두보의 행적을 규명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과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해석적 시도였다. 즉 이러한 연보의 제작은 단순한 고증과 당시 시대적 상황, 유적에 대한 발견이 아닌 독자의 추체험을 통해 작자와 감정을 교류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연보의 제작은 개별 작품을 콘텍스트(context) 속에서 읽어나가려고 했던 해석적 시도였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연보는 문집의 맨 앞을 장식하는 그저 보조적인 수단에 불과했지만, 사실 그 연보 속에는 해당 문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자신만의 해석 그리고 해당 문인이 살았던 그 때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고려와 같은 넓은 지식이 공유되어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가치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various Du-fu chronology as well a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Du-fu yearbooks, which were produced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Among the Du-fu an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various Du-fu chronology as well a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Du-fu yearbooks, which were produced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Among the Du-fu annals that have been reported so far, there are various types of anniversaries, such as the chronology of the time when the duo lived and the chronology of the tabular annual report that clearly shows the biographies through the table,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of annuals such as the one - year annual report on the works left by Du-fu.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the annals of both sides of the the qing dynasty have been recognized as separate works of their own, but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y quoted the annals of the main school ages as they are. In addition, I have examined the methods of tracking the biographies of their bios based on existing biograph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iographical biographical information described in each annals. In particular, he wrote his works in the form of a diary. In the making of the annals, the composition of the biographies through these two works, the construction of a chronology by revising and reviewing the records described in the history books, And it is conf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