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화상회의를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Online Psychodrama Participation Using Videoconfe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8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화상회의를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 8월부터 10월까지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에 참여한 사이코드라마 전문...

      본 연구는 화상회의를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 8월부터 10월까지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에 참여한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6명이며,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7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새로운 도전’, ‘만남의 확장’, ‘가벼운 마음으로 참여’, ‘치유의 시간’, ‘집단 응집력 저하’, ‘경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성장 가능성 발견’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근 실시한 화상회의에 의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가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온라인 사이코드라마가 치유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psychodrama using videoconference. The participants were six psychodrama exper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psychodrama using Zoom from August to October 2020, and analyze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psychodrama using videoconference. The participants were six psychodrama exper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psychodrama using Zoom from August to October 2020, and analyzed by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7 components and 18 sub-components were derived, and the components were ‘new challenge’, ‘expanding meeting’, ‘participation with a light mind’, ‘time of healing’, ‘degradation of group cohesion’, ‘difficulty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discovery of growth potential’. This study showed that online psychodrama by videoconference conducted recently in Korea could develop,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ed that online psychodrama have healing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성진, "화상통화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 25 (25): 57-67, 2017

      2 우정정, "화상통화를 이용한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19 시대의 대안적 치료방법 화상통화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2020

      3 황매향,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 실제의 도전과 과제" 한국상담학회 21 (21): 219-245, 2020

      4 김민정, "친밀성에 따른 대인 매체 이용행태 및 심리적 경험과의 관계 연구 : 매개된 대인 커뮤니케이션(Medi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94-121, 2006

      5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6 김태한, "온라인 양육 상담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성공적인 온라인 상담 사례의 참여자 면접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6 (16): 99-116, 2012

      7 이동훈, "온라인 심리치료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543-582, 2015

      8 김민경,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자기인식, 자기성찰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1-22, 2018

      9 류석진, "온라인 마음챙김-자비 프로그램(MLCP)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사단법인 한국명상학회 10 (10): 65-95, 2020

      10 박성복,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기노출, 친밀감, 공동 공간감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469-495, 2007

      1 임성진, "화상통화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 25 (25): 57-67, 2017

      2 우정정, "화상통화를 이용한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19 시대의 대안적 치료방법 화상통화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2020

      3 황매향,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 실제의 도전과 과제" 한국상담학회 21 (21): 219-245, 2020

      4 김민정, "친밀성에 따른 대인 매체 이용행태 및 심리적 경험과의 관계 연구 : 매개된 대인 커뮤니케이션(Medi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94-121, 2006

      5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6 김태한, "온라인 양육 상담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성공적인 온라인 상담 사례의 참여자 면접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6 (16): 99-116, 2012

      7 이동훈, "온라인 심리치료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543-582, 2015

      8 김민경,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자기인식, 자기성찰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1-22, 2018

      9 류석진, "온라인 마음챙김-자비 프로그램(MLCP)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사단법인 한국명상학회 10 (10): 65-95, 2020

      10 박성복,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기노출, 친밀감, 공동 공간감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469-495, 2007

      11 김광운, "심리극의 세계" 학지사 2005

      12 남윤희, "실시간 화상 사이버 집단 상담의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3 김도연,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국외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821-847, 2020

      14 최헌진, "사이코드라마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15 강희숙, "사이코드라마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경험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중심으로"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3 (23): 1-15, 2020

      16 이재영, "사이버 집단상담 효과에 관한 연구: 공업계고교생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13 (13): 143-160, 2001

      17 김윤희,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상담체계 모형구축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11 (11): 485-500, 2002

      18 March, J. S., "Use of the internet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5 (5): 187-231, 2009

      19 Bird, M. D., "The Influence of Stigma o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Online Video Counseling and Face-to-Face Counseling" 22 : 256-269, 2019

      20 "TELE'DRAMA"

      21 Padgett, D. K.,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Sage Publications, Inc 1998

      2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Inc 2007

      23 Padgett, D. K.,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in public health" Sage Publications, Inc 2012

      24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 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25 Lincoln, Y.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 cations, Inc 1985

      26 Nguyen, H. Q., "Internet-based patient education and support interventions: a review of evaluation studi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34 : 95-112, 2004

      27 Kozlowski, K. A, "Experiences in Online Process Groups: A Qualitative Study" 39 (39): 276-300, 2014

      28 Sproch, L. E., "Clinician-delivered teletherapy for eating disorders" 42 (42): 243-252, 2019

      29 Yuen, E. K.,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nternet-mediated tele-mental health" 43 (43): 1-8, 2012

      30 Olson, D. R., "A theory of reading/ writing: From literacy to literature" 1 (1): 51-6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sychodrama & Sociodrama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9 0.8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