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동엽, "화법 교육 연구사" 한국문화사 2 : 2005
2 전은주, "화법 교육 변천사" 한국문화사 2 : 295-297, 2005
3 한글학회, "한글학회 50년사" 한글학회 1971
4 정인승, "한글 소리본" 정음사 1947
5 국학 편집부, "학생 계몽대 현지 보고" 국학전문학교 (2) : 102-113, 1947
6 최학근, "토론식 학습과 그 반성점" 조선교육연구회 1 (1): 31-34, 1947
7 박붕배, "침략기의 교과서"
8 교육부, "초ㆍ중ㆍ고등학교 국어과ㆍ한문과 교육과정 기준(1946-1947)" 선명인쇄주식회사 2000
9 심의린, "음성언어의 교육" 해동문화사 1949
10 오철, "웅변학" 계진문화사 1954
1 유동엽, "화법 교육 연구사" 한국문화사 2 : 2005
2 전은주, "화법 교육 변천사" 한국문화사 2 : 295-297, 2005
3 한글학회, "한글학회 50년사" 한글학회 1971
4 정인승, "한글 소리본" 정음사 1947
5 국학 편집부, "학생 계몽대 현지 보고" 국학전문학교 (2) : 102-113, 1947
6 최학근, "토론식 학습과 그 반성점" 조선교육연구회 1 (1): 31-34, 1947
7 박붕배, "침략기의 교과서"
8 교육부, "초ㆍ중ㆍ고등학교 국어과ㆍ한문과 교육과정 기준(1946-1947)" 선명인쇄주식회사 2000
9 심의린, "음성언어의 교육" 해동문화사 1949
10 오철, "웅변학" 계진문화사 1954
11 현대웅변술연구회, "웅변요령" 삼성사 1953
12 안석제, "웅변법 강화" 연학사 1948
13 박형익, "심의린 편찬 보통학교 조선어사전" 태학사 2005
14 이극로, "실험도해 조선어 음성학" 아문각 1947
15 전영우, "신국어 화법론" 태학사 1998
16 문교부 문화국 성인교육과, "성인교육지도총서" 문교부문화국성인교육과 1949
17 이호성, "민주주의 국어 교수법" 문교사 1947
18 이응호, "미군정기 한글 운동사" 성청사 1973
19 전은주, "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1999
20 조윤제, "국어교육의 당면문제" 문화당 1947
21 윤여탁, "국어교육 100년사 1"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22 허재영, "국어과 교육의 이해와 탐색" 박이정 2006
23 정준섭,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5
24 이희승, "국어 교육의 당면 문제" 조선교육회 (창간) : 33-42, 1947
25 윤태영, "국어 교육 실천의 근본적 노력점" 대한교육연합회 1 (1): 33-43, 1948
26 덕수공립국민학교, "국어 교육" 서울시 교육회 (창간) : 91-92, 1948
27 이희복, "국민학교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천" 학우사 1949
28 허재영, "계몽 운동 문자 보급 자료 총서 1-8" 역락 2012
29 허재영, "건국 과도기의 국정 중등 국어 교과서" 역락 2011
30 이희승, "思想 表現과 語感" 한글학회 5 (5): 4-8, 1937
31 정재도, "ㅐ와 ㅔㆍㅖ와의 갈라보기" 민족문화사 1952
32 박붕배, "[단행본] 韓國國語敎育全史 . 上"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