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 Examining of Knowledge Structure of Sports Sociology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Published for the Past 22 Ye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1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network evolu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keywords, key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oward this goal, we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on a total of sixty volumes of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s,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1993 and 2014. The total number of papers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re 678 with 2,880 keywords. The NetMiner v4.2 was employed to conduc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here was notable paradigm shift in sociology of sports. Second, only a few top keyword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for the past 22 years. Thos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a) sports participation, (b) juvenile, (c) leisure activities, (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 life satisfaction, (f) leisure satisfaction, (g) sports for all, (h) job satisfaction, (i)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j) the aged, (k) ideology, (l)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m) participation motivation, (n) grounded theory, (o) social network, (p) sports media. Key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 juvenile, (b) sports participation, (c) leisure activities, (d) sport for all, (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keyword network demonstrated a scale-free network, in which a small number of hub keywords appeared in the articles with majority keywords. That is, 20% keywords possessed 69% links from the total. Keywords network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was consisted of 3 clusters. 1 and 2 cluster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3 cluster was related with review and discourse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network evolu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keywords, key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network evolu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keywords, key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oward this goal, we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on a total of sixty volumes of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s,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1993 and 2014. The total number of papers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re 678 with 2,880 keywords. The NetMiner v4.2 was employed to conduc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here was notable paradigm shift in sociology of sports. Second, only a few top keyword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for the past 22 years. Thos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a) sports participation, (b) juvenile, (c) leisure activities, (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 life satisfaction, (f) leisure satisfaction, (g) sports for all, (h) job satisfaction, (i)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j) the aged, (k) ideology, (l)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m) participation motivation, (n) grounded theory, (o) social network, (p) sports media. Key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 juvenile, (b) sports participation, (c) leisure activities, (d) sport for all, (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keyword network demonstrated a scale-free network, in which a small number of hub keywords appeared in the articles with majority keywords. That is, 20% keywords possessed 69% links from the total. Keywords network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was consisted of 3 clusters. 1 and 2 cluster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3 cluster was related with review and discours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스포츠사회학회가 창립되고 22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논하는 것은 스포츠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93년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22년) 발간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를 3시기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NetMiner 4.2를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였다. 즉, 1기(1993년∼2003년)와 2기(2004년∼2009년)를 거쳐 3기(2010년∼2014년)에서 상위권 주제어들의 중앙성 순위가 크게 변동하였다. 1기의 상위권 주제어들이 2기에서도 상당 부분 유지되었으며, 2기를 지나서 3기에는 1기와 상이한 상위권 주제어들로 나타났다. 둘째, 22년간 소수의 주제어가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 활동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스포츠참가, 청소년, 여가활동, 사회인구학적 특성, 생활만족, 여가만족, 생활체육, 직무만족, 생활체육참가, 노인, 이데올로기, 여가활동유형, 참여동기, 근거이론, 사회연결망, 스포츠미디어 등이며, 매개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청소년, 스포츠참가, 여가활동, 생활체육, 생활만족 등이다. 주제어 연결망은 다수의 주제어가 소수의 주제어에 선호적 연결에 의해 링크가 집중되는 멱함수 법칙을 따랐다. 상위권 주제어는 양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연구, 문헌고찰/담론 연구, 통합적 연구 순으로 사용되었으며,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에 기여한주제어는 총 3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스포츠사회학의 공동연구 연결망,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연구와 함께 스포츠사회학의 변동 과정과 지적 구조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앞으로 학회에서는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들을 전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스포츠사회학회가 창립되고 22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논하는 것은 스포츠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

      한국스포츠사회학회가 창립되고 22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논하는 것은 스포츠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93년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22년) 발간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를 3시기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NetMiner 4.2를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였다. 즉, 1기(1993년∼2003년)와 2기(2004년∼2009년)를 거쳐 3기(2010년∼2014년)에서 상위권 주제어들의 중앙성 순위가 크게 변동하였다. 1기의 상위권 주제어들이 2기에서도 상당 부분 유지되었으며, 2기를 지나서 3기에는 1기와 상이한 상위권 주제어들로 나타났다. 둘째, 22년간 소수의 주제어가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 활동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스포츠참가, 청소년, 여가활동, 사회인구학적 특성, 생활만족, 여가만족, 생활체육, 직무만족, 생활체육참가, 노인, 이데올로기, 여가활동유형, 참여동기, 근거이론, 사회연결망, 스포츠미디어 등이며, 매개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청소년, 스포츠참가, 여가활동, 생활체육, 생활만족 등이다. 주제어 연결망은 다수의 주제어가 소수의 주제어에 선호적 연결에 의해 링크가 집중되는 멱함수 법칙을 따랐다. 상위권 주제어는 양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연구, 문헌고찰/담론 연구, 통합적 연구 순으로 사용되었으며,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에 기여한주제어는 총 3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스포츠사회학의 공동연구 연결망,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연구와 함께 스포츠사회학의 변동 과정과 지적 구조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앞으로 학회에서는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들을 전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창모, "한국스포츠사회학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5 (15): 10-390, 2002

      2 김용학, "한국 언론학 분야 지식 생산과 확산의 구조" 한국언론학회 52 (52): 117-140, 2008

      3 고재창,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 (19): 101-123, 2013

      4 권영근, "컴퓨터공학 분야 키워드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 이해" 한국정보처리학회 2 (2): 187-194, 2013

      5 전은주,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한 상담학의 지적 구조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6 김경식,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20년간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7 (27): 109-137, 2014

      7 김인형, "여성 엘리트 스포츠의 사회학적 연구동향 분석" 한국체육학회 44 (44): 213-223, 2005

      8 구창모, "스포츠사회학의 학제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45 (45): 117-132, 2006

      9 김경식, "스포츠사회학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와 연구생산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4 (24): 67-90, 2011

      10 박지연,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 구창모, "한국스포츠사회학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5 (15): 10-390, 2002

      2 김용학, "한국 언론학 분야 지식 생산과 확산의 구조" 한국언론학회 52 (52): 117-140, 2008

      3 고재창,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 (19): 101-123, 2013

      4 권영근, "컴퓨터공학 분야 키워드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 이해" 한국정보처리학회 2 (2): 187-194, 2013

      5 전은주,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한 상담학의 지적 구조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6 김경식,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20년간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7 (27): 109-137, 2014

      7 김인형, "여성 엘리트 스포츠의 사회학적 연구동향 분석" 한국체육학회 44 (44): 213-223, 2005

      8 구창모, "스포츠사회학의 학제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45 (45): 117-132, 2006

      9 김경식, "스포츠사회학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와 연구생산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4 (24): 67-90, 2011

      10 박지연, "문헌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1 손석정, "국내 스포츠 사회학의 연구 동향" 33 (33): 3097-3105, 1994

      12 이희재, "과학기술 분야 구조화에 대한 연구 : SCIE 학술지 공저자, 인용, 핵심어 연결망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3 Yi, S., "The organiz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eyword networks" 90 : 1015-1026, 2012

      14 Barabasi, A. L., "Linked : The new science of networks" East-Asia Publishing Company 2002

      15 Bhattacharya, S., "Linked : The new science of networks" East-Asia Publishing Company 1998

      16 Lee, W. H., "How to identify emerging research fields using scientometrics : An exampl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ecurity" 77 (77): 3-19, 2008

      17 Choi, J., "Analysis of keyword networks in MIS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redicting knowledge evolution" 48 : 371-38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9 1.14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