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약국은 약국을 경영하는 데에 필요한 약재를 도처에서 매입했다. 박약국 주변의 마을 사람들에게서, 강진 주변의 약국에서, 도내 여러 고을의 약재상에게서, 바다 건너 제주도에서, 서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2253
-
2018년
Korean
강진(康津) ; Headquarters of jeolla army ; Ledger ; Accounting ; Dealings ; Distribution ; Merchant ; Medicines ; Clinic ; Pharmacy ; Park's pharmacy ; Medical materials ; 거래(去來) ; 경영(經營) ; 고객(顧客) ; 고군(雇軍) ; 공동체(共同體) ; 박씨(朴氏) ; 박약국(朴藥局) ; 병영(兵營) ; 약국(藥局) ; 약령시(藥令市) ; 약재(藥材) ; 외상(外上) ; 의약(醫藥) ; 의원(醫院) ; 작인(作人) ; 장기(帳記) ; 조문객(弔問客) ; 지연(地緣) ; 채무자(債務者) ; 친족(親族) ; 혈연(血緣) ; 환(換) ; 회계(會計)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박약국은 약국을 경영하는 데에 필요한 약재를 도처에서 매입했다. 박약국 주변의 마을 사람들에게서, 강진 주변의 약국에서, 도내 여러 고을의 약재상에게서, 바다 건너 제주도에서, 서울...
박약국은 약국을 경영하는 데에 필요한 약재를 도처에서 매입했다. 박약국 주변의 마을 사람들에게서, 강진 주변의 약국에서, 도내 여러 고을의 약재상에게서, 바다 건너 제주도에서, 서울⋅평양⋅함흥 등지에서, 전주⋅공주⋅대구 등지의 약령시에서, 그리고 부산⋅목포 등지의 개항장에서 매입했다. 이 중에서 전국 도처에 널리 산재해 있는 약재상으로부터 각종 약재를 매입했다. 그리고 박약국과 경제 공동체를 영위하고 있는 병영 출신 전문 납품업자를 통해 대구 약령시와 동래 약방에서 가장 많이 매입했는데, 이 과정에서 박약국은 신용화폐인 ‘환’을 사용했고 계산서인 ‘장기’를 사용했다. 이러한 납품업자, 환, 장기 활용은 경영 극대화를 위한 시도였다.
박약국은 병영장날인 3일과 8일에 가장 많은 고객을 받았다. 이 날 의약 판매 건수가 전체의 31%를 차지하여 평균을 11% 초월한다. 4년간 총 1,372명의 고객을 받았다. 그들은 1년 평균 0.74회 정도 내왕했고, 성에 명 또는 자 또는 직역으로 기재되었는데 자 또는 직역으로 기재된 사람은 지역내 ‘저명인’으로 50% 가까이 차지하지만, 여성⋅노동자⋅장애인⋅천인 등 취약계층도 적지 않았다. 고객은 본인이 직접 오지 않고 이웃⋅하인⋅가족 등 제3자를 대신 보내기도 했다. 그 가운데 아들이나 여성 등의 가족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했다. 제3자를 보낼 때에는 주문장을 작성해서 함께 보냈는데, 주문장은 간단한 메모지 형식에서 인사말까지 갖춘 편지 형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또 그리고 박약국의 전체 매출에서 외상이 50%를 상회했고, 그마저도 절반 이상이 해를 넘기기 일쑤였다. 외상은 피할 수 없는 문제였기에 박약국은 리스크 차단을 위한 장치를 마련하였다.
박씨가의 토지를 차경한 사람과 박씨가의 사채를 쓴 사람 가운데 박약국 고객이 적지 않았다. 그런데 그 가운데는 박약국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는 이도 적지 않다. 따라서 박약국의 영업영역은 그들의 제약수준과 함께 경제적 갑을관계도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들 고군, 작인, 채무자 가운데 도조나 이자를 유예 받거나 탕감 받는 경우가 잦았고, 사채의 경우 신용도 높은 사람은 저리로 고액을 대출받기도 하였다. 이는 박약국의 경제활동이 인화경영에도 주력하였음을 알려준다. 그래서 박약국의 경영에 친척과 병영인이 대거 투입되었다. 특히 규모가 많고 상환이 지연되고 있는 외상의 수금에 친인척이 일선에 나섰다. 그리고 특히 약재 매입의 경우 병영사람들이 자주 활용되었다. 혈연과 지연을 토대로 한 박약국의 영업활동은 장례시 조문객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는데, 조문객 가운데 고군, 작인, 채무자, 그리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s Pharmacy purchased medicinal ingredients needed to run a pharmacy from every place including the villagers living near the Pharmacy, the pharmacies around Gangjin, herbal shops in many different towns within the province, Jeju Island over the s...
Park's Pharmacy purchased medicinal ingredients needed to run a pharmacy from every place including the villagers living near the Pharmacy, the pharmacies around Gangjin, herbal shops in many different towns within the province, Jeju Island over the sea, Seoul⋅Pyeongyang⋅Hamheung, drug markets of Jeonju, Gongju, and Daegu, and the open ports of Busan and Mokpo. Park's Pharmacy purchased all kinds of medicinal ingredients from herbal shops scattered around the nation. It formed an economic community with soldier-turned professional suppliers and made the biggest purchase from the drug market of Daegu and the drugstore of Dongrae through the suppliers. In the purchase process, Park's Pharmacy used "Hwan," a type of credit money, and used "Janggi," a type of bill. The utilization of suppliers, Hwan and Janggi was an attempt for Park's Pharmacy to maximize its management. After the barracks were closed in 1895, however, it withered along with the fall of local business districts. Until its end, Park's Pharmacy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creation of local jobs and the exchange of goods with the outside world. An examination of the sales ledgers showed that the Park Pharmacy had the biggest number of customers on every third and eighth day when there was a market open at 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