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간의 의미 부각과 현대성의 위기  :  체계이론의 공간 논의를 통한 고찰 = Emerging Sense of Space and the Crisis of Moder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7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간 여러 사회이론들이 현대 사회를 탈공간적이라고 규정해왔다. 그중에서도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은 가장 급진적인 탈공간적 혹은 비장소적 사회관을 견지해왔다. 하지만 의미의 사태 차원이나 사회적 차원으로 환원되지 않는 공간 차원의 독자성 관한 논의를 통해 최근에는 체계이론도 공간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시작했다. 배제의 원리와 멂과 가까움의 차이가 기능하는 의미의 공간 차원이 부각되는 것은 생태학적 차원에서는 위험한 장소와의 거리가 중요해지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미래가 없는 배제된 자들의 밀집지역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생태학적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하고, 현대 사회의 우선적 분화 형식인 기능적 분화를 침식하는 포함과 배제의 차이가 첨예해지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요인은 현대성의 위기를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적 관점에 서 있는 관찰자에게 공간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는 곧 현대 사회의 위기를 진단하고 비판하는 작업이다.
      번역하기

      그간 여러 사회이론들이 현대 사회를 탈공간적이라고 규정해왔다. 그중에서도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은 가장 급진적인 탈공간적 혹은 비장소적 사회관을 견지해왔다. 하지만 의미의 사...

      그간 여러 사회이론들이 현대 사회를 탈공간적이라고 규정해왔다. 그중에서도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은 가장 급진적인 탈공간적 혹은 비장소적 사회관을 견지해왔다. 하지만 의미의 사태 차원이나 사회적 차원으로 환원되지 않는 공간 차원의 독자성 관한 논의를 통해 최근에는 체계이론도 공간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시작했다. 배제의 원리와 멂과 가까움의 차이가 기능하는 의미의 공간 차원이 부각되는 것은 생태학적 차원에서는 위험한 장소와의 거리가 중요해지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미래가 없는 배제된 자들의 밀집지역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생태학적 위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하고, 현대 사회의 우선적 분화 형식인 기능적 분화를 침식하는 포함과 배제의 차이가 첨예해지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요인은 현대성의 위기를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적 관점에 서 있는 관찰자에게 공간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는 곧 현대 사회의 위기를 진단하고 비판하는 작업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veral theories of society have mentioned de-spatiality of 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ociety by Niklas Luhmann is likely to be the most de-spatial view of society. But in recent time, systems theorists take an interest in space. They argument the distiction of the spatial dimension of sense, which is not be reduced to the fact dimension or the social dimension of sense. In the spatial dimension, the principle of exclus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far and near are functioning. The first factor of emerging sense of space is the increase of ecological communications, which pay attention to the distance from risky places. The second factor is the sharper difference between inclusion and exclusion, which is undermining the major form of modern society's differentiation, i.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ese two factors implicate the crisis of modernity. Therefore, the sociological discussion of space is the diagnosis of modern society, and the observers who have modern perspective have to regard the discussion of space as the critique of society.
      번역하기

      Several theories of society have mentioned de-spatiality of 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ociety by Niklas Luhmann is likely to be the most de-spatial view of society. But in recent time, systems theorists take an interes...

      Several theories of society have mentioned de-spatiality of 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ociety by Niklas Luhmann is likely to be the most de-spatial view of society. But in recent time, systems theorists take an interest in space. They argument the distiction of the spatial dimension of sense, which is not be reduced to the fact dimension or the social dimension of sense. In the spatial dimension, the principle of exclus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far and near are functioning. The first factor of emerging sense of space is the increase of ecological communications, which pay attention to the distance from risky places. The second factor is the sharper difference between inclusion and exclusion, which is undermining the major form of modern society's differentiation, i.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ese two factors implicate the crisis of modernity. Therefore, the sociological discussion of space is the diagnosis of modern society, and the observers who have modern perspective have to regard the discussion of space as the critique of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도입
      • 2. 탈공간적 사회관을 가진 체계이론의 공간 논의
      • 3. 의미의 공간 차원 도입
      • 4. 공간의 의미를 부각시키는 두 가지 요인
      • [논문개요]
      • 1. 도입
      • 2. 탈공간적 사회관을 가진 체계이론의 공간 논의
      • 3. 의미의 공간 차원 도입
      • 4. 공간의 의미를 부각시키는 두 가지 요인
      • 5. 현대성의 위기와 체계이론적 공간이론의 역설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