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은유아등과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단감원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 Seasonal Occurrence Trends of Hemipteran Bug Pests Monitored by Mercury Light and Aggregation Pheromone Traps in Sweet Persimmon Orch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94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asonal occurrence trends of the brown-winged green bug, Plautia stali, and the brown mal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were monitored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using light traps (in 2000 and 2001), and aggregation pheromone traps (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of P. stali (in 2001). Light trap data showed that H. halys started to occur from the end of June, and reached its peak in early or mid August, while P. stali was mostly attracted to the traps from mid July to late August without any distinct attraction peak. Both species did not occur after September in the persimmon orchards studied. The attraction patterns of both species to aggregation pheromone traps were different from those observed in light traps. Both species were attracted to the pheromone traps from mid May to late August. The peak occurrence of H. halys could not be detected due to low catches. However, the period of peak attraction for P. stali was from late June to late August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locations.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f P. stali attracted more number of P stali than H. hails, but the light traps showed a reverse pattern. In both species, more females were attracted to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s than males. The difference of attraction patterns between 2 types of traps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content of soluble tannin in persimmon fruits.
      번역하기

      The seasonal occurrence trends of the brown-winged green bug, Plautia stali, and the brown mal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were monitored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using light traps (in 2000 and 2001), and aggreg...

      The seasonal occurrence trends of the brown-winged green bug, Plautia stali, and the brown mal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were monitored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using light traps (in 2000 and 2001), and aggregation pheromone traps (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of P. stali (in 2001). Light trap data showed that H. halys started to occur from the end of June, and reached its peak in early or mid August, while P. stali was mostly attracted to the traps from mid July to late August without any distinct attraction peak. Both species did not occur after September in the persimmon orchards studied. The attraction patterns of both species to aggregation pheromone traps were different from those observed in light traps. Both species were attracted to the pheromone traps from mid May to late August. The peak occurrence of H. halys could not be detected due to low catches. However, the period of peak attraction for P. stali was from late June to late August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locations.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f P. stali attracted more number of P stali than H. hails, but the light traps showed a reverse pattern. In both species, more females were attracted to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s than males. The difference of attraction patterns between 2 types of traps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content of soluble tannin in persimmon frui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남 지역의 단감원에서 2000­2001년에 수은유아등과 2001년에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트랩을 이용하여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유아등 조사결과 썩덩나무노린재는 6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 상ㆍ중순이 최성기이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썩덩나무노린재와는 달리 유살 최성기가 뚜렷하지 않았는데, 主 유인시기는 2개년 모두 7월 중순­8월 하순이었다. 두 종 모두 9월 이후에는 거의 유살되지 않았다.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유살 양상은 유아등에 의한 유살양상과 달랐다. 집합페로몬 트랩조사 결과, 두 종 모두 5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꾸준히 유인되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유인수가 적어 주 발생시기가 뚜렷하지 않았고, 갈색날개노린재는 지역에 따라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 사이에 많이 유살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수은유아등 보다는 집합페로몬 트랩에, 썩덩나무노린재는 수은유아등에 더 많이 유인되었다. 또한 집합페로몬 트랩에는 두 종 모두 수컷보다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두 종류의 트랩에 의한 유살소장 차이의 원인을 탄닌함량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경남 지역의 단감원에서 2000­2001년에 수은유아등과 2001년에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트랩을 이용하여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

      경남 지역의 단감원에서 2000­2001년에 수은유아등과 2001년에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트랩을 이용하여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유아등 조사결과 썩덩나무노린재는 6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 상ㆍ중순이 최성기이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썩덩나무노린재와는 달리 유살 최성기가 뚜렷하지 않았는데, 主 유인시기는 2개년 모두 7월 중순­8월 하순이었다. 두 종 모두 9월 이후에는 거의 유살되지 않았다.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유살 양상은 유아등에 의한 유살양상과 달랐다. 집합페로몬 트랩조사 결과, 두 종 모두 5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꾸준히 유인되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유인수가 적어 주 발생시기가 뚜렷하지 않았고, 갈색날개노린재는 지역에 따라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 사이에 많이 유살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수은유아등 보다는 집합페로몬 트랩에, 썩덩나무노린재는 수은유아등에 더 많이 유인되었다. 또한 집합페로몬 트랩에는 두 종 모두 수컷보다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두 종류의 트랩에 의한 유살소장 차이의 원인을 탄닌함량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