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경기도내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레지오넬라균의 분포현황 및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의 유전학적 다양성 연구 = Distribution of Legionella species from water systems and genetic diversity of L. pneumophila serogroup 1 in Gyeonggi-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0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레지오넬라증은 인공수계환경이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었을 때 에어로졸의 전파에 의하여 집단 발생되는 심각한 폐렴과 높은 치명률을 일으키는 호흡기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수계시설로부터 147주의 레지오넬라균을 검출하였고, 시설별, 수계환경별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레지오넬라균 중에서 Legionella pneumophila의 검출률은 85.7%로 높게 나타났으며, 혈청군을 분석한 결과 L. pneumophila serogroup (sg) 1이 주로 검출되었다. Non-L. pneumophila 중에서는 L. wadsworthii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L. pneumophila sg 1의 유전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와 sequence-based typing (SBT)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2주에 대해 PFGE 분석 결과 22개의 PFGE pattern을 보였고, SBT 분석 결과 9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PFGE와 SBT 분석에서 모두 크게 3개 group으로 분류되어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SBT 유형 중 ST1이 가장 우점하였고, 2개의 새로운 유형도 찾아낼 수 있었다. SBT는 데이터베이스가 잘 구축되어 있어 균주 간의 유전학적 유형분석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지오넬라증의 분자역학적 연구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레지오넬라증은 인공수계환경이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었을 때 에어로졸의 전파에 의하여 집단 발생되는 심각한 폐렴과 높은 치명률을 일으키는 호흡기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

      레지오넬라증은 인공수계환경이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었을 때 에어로졸의 전파에 의하여 집단 발생되는 심각한 폐렴과 높은 치명률을 일으키는 호흡기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수계시설로부터 147주의 레지오넬라균을 검출하였고, 시설별, 수계환경별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레지오넬라균 중에서 Legionella pneumophila의 검출률은 85.7%로 높게 나타났으며, 혈청군을 분석한 결과 L. pneumophila serogroup (sg) 1이 주로 검출되었다. Non-L. pneumophila 중에서는 L. wadsworthii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L. pneumophila sg 1의 유전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와 sequence-based typing (SBT)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2주에 대해 PFGE 분석 결과 22개의 PFGE pattern을 보였고, SBT 분석 결과 9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PFGE와 SBT 분석에서 모두 크게 3개 group으로 분류되어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SBT 유형 중 ST1이 가장 우점하였고, 2개의 새로운 유형도 찾아낼 수 있었다. SBT는 데이터베이스가 잘 구축되어 있어 균주 간의 유전학적 유형분석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지오넬라증의 분자역학적 연구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won, Y. O, "Surveillance of Legionella species contamination on water supply systems of public facilities in Northern Gyeonggi-do" 25 : 239-248, 2012

      2 Mentasti, M, "Sequence-based typing protocol for epidemiological typing of Legionella pneumophila version 5.0." ESGLI 1-11, 2012

      3 Guo, J, "Sequence types diversit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s from environmental water source in Guangzhou and Jiangmen, China" 29 : 35-41, 2015

      4 Miyamoto H, "Prevention measures against Legionella infection in a circulating hot water bath" 25 : 61-77, 2003

      5 Kozak-Muiznieks, N. A, "Prevalence of sequence types among clinical and environmental isolates of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in the United States from 1982 to 2012. J. Clin" 52 : 201-211, 2014

      6 Enrhard, J, "Population structure of Legionella spp. from environmental samples in Gabon, 2013" 33 : 299-303, 2013

      7 Tijet, N, "New endemic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clones, Ontario, Canada" 16 : 447-454, 2010

      8 Seung, H. J, "Molecular epidemiology stud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ystems in Seoul" 43 : 283-293, 2007

      9 Jeon, S. J, "Molecular epidemiolog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Korea, from 2012 to 2014" 50 : 287-300, 2014

      10 Essig, A, "Microbiological diagnosis and molecular typing of Legionella strains during an outbreak of legionellosis in Southern Germany" 306 : 109-114, 2016

      1 Kwon, Y. O, "Surveillance of Legionella species contamination on water supply systems of public facilities in Northern Gyeonggi-do" 25 : 239-248, 2012

      2 Mentasti, M, "Sequence-based typing protocol for epidemiological typing of Legionella pneumophila version 5.0." ESGLI 1-11, 2012

      3 Guo, J, "Sequence types diversit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s from environmental water source in Guangzhou and Jiangmen, China" 29 : 35-41, 2015

      4 Miyamoto H, "Prevention measures against Legionella infection in a circulating hot water bath" 25 : 61-77, 2003

      5 Kozak-Muiznieks, N. A, "Prevalence of sequence types among clinical and environmental isolates of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in the United States from 1982 to 2012. J. Clin" 52 : 201-211, 2014

      6 Enrhard, J, "Population structure of Legionella spp. from environmental samples in Gabon, 2013" 33 : 299-303, 2013

      7 Tijet, N, "New endemic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clones, Ontario, Canada" 16 : 447-454, 2010

      8 Seung, H. J, "Molecular epidemiology stud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ystems in Seoul" 43 : 283-293, 2007

      9 Jeon, S. J, "Molecular epidemiolog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Korea, from 2012 to 2014" 50 : 287-300, 2014

      10 Essig, A, "Microbiological diagnosis and molecular typing of Legionella strains during an outbreak of legionellosis in Southern Germany" 306 : 109-114, 2016

      11 Tamura K,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28 : 2731-2739, 2011

      12 Fraser, D. W, "Legionnaires’ disease : Description of anepidemic of pneumonia" 297 : 1189-1197, 1977

      13 Lee, M. H, "Legionellosis-Untied States, 2000-2009" 12 : 250-253, 2012

      14 Kubota, M, "Legionella longbeachae pneumonia infection from home garden soil" 45 : 698-703, 2007

      15 Bartram, J, "Legionella and prevention of legionell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7

      16 Kang, S. J, "Laboratory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20, 2005

      17 Qin, T, "Distribution of sequence-based types of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I strains isolated from cooling towers, hot springs, and potable water systems in China" 80 : 2150-2157, 2014

      18 Amemura-Maekawa, J, "Distribution of monoclonal antibody subgroups and sequence-based types among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isolates derived from cooling tower water, bathwater, and soil in Japan" 78 : 4263-4270, 2012

      19 Lee, H. K, "Distribution of Legionella species from environmental water sources of public facilities and genetic diversity of L. pneumophila serogroup 1 in South Korea" 76 : 6547-6554, 2010

      20 Hwang, I. Y, "Distribu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from environmental water systems of public facilities in Busan" 241 : 40-46, 2014

      21 Steele, T.W, "Distribution of Legionella longbeachae serogroup 1 and other legionellae in potting soils in Australia" 56 : 2984-2988, 1990

      22 Backer, 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quality-controlled ribosomal sequence database for 16S ribosomal DNA-based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species" 42 : 4988-4995, 2004

      23 Gaia, V, "Consensus sequence-based scheme for epidemiological typing of clinical and environmental isolates of Legionella pneumophila" 43 : 2047-2052, 2005

      24 Kim, J. S, "An outbreak of Legionellosis in ICU of K Hospital, Korea" 7 : 44-58, 1985

      25 Choe, K. W, "A case of Legionnaires’ disease" 22 : 93-96,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4 0.48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