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소급과세입법에 관한 법제와 판례 연구 = 소급과세입법의 헌법합치성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74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은 우리나라처럼 소급입법을 진정과 부진정으로 구분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소급입법 자체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지 아니하고, 더욱이 소급과세입법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의회에 더 큰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법원은 소급과세입법과 관련된 개인의 신뢰보호에 대하여 국민의 기대치를 크게 낮춰 놓고 있는데, 납세자가 이전의 법을 신뢰하여 어떤 거래를 성사시켰다는 사실만으로는 소급과세입법의 헌법 위반을 입증하는데 불충분하다는 것이 미국 법원의 일반적인 해석이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에서 소급과세입법으로 인하여 법적 안정성과 개인의 신뢰 보호가 훼손되고 있지는 아니한 듯하다. 이는 소급과세입법을 직접 금지하는 헌법 또는 법률 조항이 없더라도, 소급과세입법을 견제하는 다양한 헌법조항과 이에 관하여 축적된 판례의 법리가 소급과세입법으로부터 법적 안정성과 개인의 신뢰보호를 적절하게 지켜주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헌법과 법률에 명시적으로 소급과세입법 금지규정을 두고 있고, 판례의 법리를 통하여 소급입법을 원칙적으로 금지되고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진정소급입법과 원칙적으로 허용되고 예외적으로 금지되는 부진정소급입법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결과 소급과세입법에 대해서는 국회의 재량권이 상대적으로 적고 보다 엄격한 허용 기준이 요구된다. 그렇더라도 소급과세입법의 허용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양자 모두 가치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공익’과 개인의 ‘신뢰보호’ 간의 비교형량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미국의 경우처럼 적법절차 위반이라든가 탈취(Takings), 권리박탈(Attainder) 또는 동등보호 위반 등과 같은 위헌 요소들을 추가로 고려하는 것이 조세법률주의 내지는 실질적 법치주의에 보다 부합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미국은 우리나라처럼 소급입법을 진정과 부진정으로 구분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소급입법 자체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지 아니하고, 더욱이 소급과세입법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의회에...

      미국은 우리나라처럼 소급입법을 진정과 부진정으로 구분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소급입법 자체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지 아니하고, 더욱이 소급과세입법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의회에 더 큰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법원은 소급과세입법과 관련된 개인의 신뢰보호에 대하여 국민의 기대치를 크게 낮춰 놓고 있는데, 납세자가 이전의 법을 신뢰하여 어떤 거래를 성사시켰다는 사실만으로는 소급과세입법의 헌법 위반을 입증하는데 불충분하다는 것이 미국 법원의 일반적인 해석이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에서 소급과세입법으로 인하여 법적 안정성과 개인의 신뢰 보호가 훼손되고 있지는 아니한 듯하다. 이는 소급과세입법을 직접 금지하는 헌법 또는 법률 조항이 없더라도, 소급과세입법을 견제하는 다양한 헌법조항과 이에 관하여 축적된 판례의 법리가 소급과세입법으로부터 법적 안정성과 개인의 신뢰보호를 적절하게 지켜주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헌법과 법률에 명시적으로 소급과세입법 금지규정을 두고 있고, 판례의 법리를 통하여 소급입법을 원칙적으로 금지되고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진정소급입법과 원칙적으로 허용되고 예외적으로 금지되는 부진정소급입법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결과 소급과세입법에 대해서는 국회의 재량권이 상대적으로 적고 보다 엄격한 허용 기준이 요구된다. 그렇더라도 소급과세입법의 허용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양자 모두 가치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공익’과 개인의 ‘신뢰보호’ 간의 비교형량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미국의 경우처럼 적법절차 위반이라든가 탈취(Takings), 권리박탈(Attainder) 또는 동등보호 위반 등과 같은 위헌 요소들을 추가로 고려하는 것이 조세법률주의 내지는 실질적 법치주의에 보다 부합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quite common for Congress to enact tax legislation that applies retroactively in the United States. Congress would like to enac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because (1) an interest in finding new sources of taxation can encourage making a provision retroactive in order to increase tax revenues; (2) an ever-growing number of tax provisions have expiration dates and some may not be extended in a timely manner; (3) an intent to influence behavior by means of a tax provision can sometimes include a desire to penalize past conduct.
      It is clear there is no absolute constitutional bar to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Furthermore, taxpayer’s reliance alone may be insufficient to establish a constitutional violation. Nevertheless, it is possible for retroactive tax legislation that increases a taxpayer’s liability to violate constitutional provisions, such as due process, ex post facto, takings, bill of attainder, or equal protection.
      This article deals with issues on the constitutionality of retroactive tax legislation. For this purpose, statutory provisions and legal theorie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both U. S. and Korea will be reviewed.
      Firstly, this paper makes a diagnosis of legal systems and judicial precedent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Korea. Secondly,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case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U. S. are analyzed. Lastly, this paper indicates some suggestions from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case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U. S. for legal systems and judicial precedent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Korea.
      번역하기

      It is quite common for Congress to enact tax legislation that applies retroactively in the United States. Congress would like to enac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because (1) an interest in finding new sources of taxation can encourage making a provis...

      It is quite common for Congress to enact tax legislation that applies retroactively in the United States. Congress would like to enac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because (1) an interest in finding new sources of taxation can encourage making a provision retroactive in order to increase tax revenues; (2) an ever-growing number of tax provisions have expiration dates and some may not be extended in a timely manner; (3) an intent to influence behavior by means of a tax provision can sometimes include a desire to penalize past conduct.
      It is clear there is no absolute constitutional bar to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Furthermore, taxpayer’s reliance alone may be insufficient to establish a constitutional violation. Nevertheless, it is possible for retroactive tax legislation that increases a taxpayer’s liability to violate constitutional provisions, such as due process, ex post facto, takings, bill of attainder, or equal protection.
      This article deals with issues on the constitutionality of retroactive tax legislation. For this purpose, statutory provisions and legal theorie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both U. S. and Korea will be reviewed.
      Firstly, this paper makes a diagnosis of legal systems and judicial precedent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Korea. Secondly,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case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U. S. are analyzed. Lastly, this paper indicates some suggestions from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case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U. S. for legal systems and judicial precedents about retroactive tax legislation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우리나라의 소급과세입법에 관한 법제와 판례 진단
      • Ⅱ. 미국의 소급과세입법에 관한 법제와 판례 분석
      • Ⅲ. 미국의 소급과세입법에 관한 법제와 판례의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우리나라의 소급과세입법에 관한 법제와 판례 진단
      • Ⅱ. 미국의 소급과세입법에 관한 법제와 판례 분석
      • Ⅲ. 미국의 소급과세입법에 관한 법제와 판례의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부하, "헌법상 소급효금지의 원칙과 예외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를 분석하며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1-24, 2011

      2 양미향, "소급입법금지원칙과 그 허용한계" 2001

      3 김완석, "소급과세의 위헌성- 조세감면규제법 부칙 제13조 등 위헌소원 -" 중앙법학회 6 (6): 261-282, 2004

      4 옥무석, "소급과세금지원칙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4 (4): 251-282, 1999

      5 김진한, "새로운 형태의 형사제재와 소급처벌 금지 원칙― 전자장치부착법 부칙에 대한 합헌결정(2010헌가82)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3 (43): 1-30, 2014

      6 하명호, "개선입법의 소급효와 진정 소급입법 과세금지와의관계" 법조협회 58 (58): 242-288, 2009

      7 하명호, "개선입법의 소급효와 진정 소급입법 과세금지와의관계" 법조협회 58 (58): 242-288, 2009

      8 오윤, "美國憲法上 租稅法原則의 우리 租稅法에 대한 示唆點에 관한 硏究"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353-380, 2008

      9 Welsh, Jane,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An Unqualified Guarantee of Due Process" 50 (50): 1983

      10 Figler, Elena S, "Retroactive Application of Tax Statute Amendment Does Not Volate Fifth Amendment’s Due Process Clause – United States v. Carlton, 114 S. Ct. 2018(1994)" 29 (29): 1995

      1 이부하, "헌법상 소급효금지의 원칙과 예외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를 분석하며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1-24, 2011

      2 양미향, "소급입법금지원칙과 그 허용한계" 2001

      3 김완석, "소급과세의 위헌성- 조세감면규제법 부칙 제13조 등 위헌소원 -" 중앙법학회 6 (6): 261-282, 2004

      4 옥무석, "소급과세금지원칙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4 (4): 251-282, 1999

      5 김진한, "새로운 형태의 형사제재와 소급처벌 금지 원칙― 전자장치부착법 부칙에 대한 합헌결정(2010헌가82)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3 (43): 1-30, 2014

      6 하명호, "개선입법의 소급효와 진정 소급입법 과세금지와의관계" 법조협회 58 (58): 242-288, 2009

      7 하명호, "개선입법의 소급효와 진정 소급입법 과세금지와의관계" 법조협회 58 (58): 242-288, 2009

      8 오윤, "美國憲法上 租稅法原則의 우리 租稅法에 대한 示唆點에 관한 硏究"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353-380, 2008

      9 Welsh, Jane,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An Unqualified Guarantee of Due Process" 50 (50): 1983

      10 Figler, Elena S, "Retroactive Application of Tax Statute Amendment Does Not Volate Fifth Amendment’s Due Process Clause – United States v. Carlton, 114 S. Ct. 2018(1994)" 29 (29): 1995

      11 Eagle, Steven J, "Property Tests, Due Process Tests and Regulatory Takings Jurisprudence" 2007 (2007): 2007

      12 Schulz, Andrew G, "Graveyard Robbery in the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of 1993: A Mordern Look at the Constitutionality of Retroactive Takes" 27 (27): 1994

      13 Lunder, Erika K, "Constitutionality of Retroactive Tax Legislation" 2012

      14 Gunning, Robert R., "Back from the Dead: the Resurgence of Due Process Challenges to Retroactive Tax Legislation" 47 (4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8 0.819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