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주민 가정 자녀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캐나다, 일본 및 한국을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 Cases from Canada, Japan and Ko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89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care ecosystem’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as an educational solution to support them as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along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ases of Canada, Japan, and Korea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were analyzed, and the discussion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n Korea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is an urgent task to expand the target learner group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eek adult roles in the care ecosystem. Third, it is urgent to prepare some measures to expand the family literacy programs for immigrant families. Based on the discussion, suggestions necessary for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were presented to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in the fiel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care ecosystem’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as an educational solution to support them as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along with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care ecosystem’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as an educational solution to support them as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along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ases of Canada, Japan, and Korea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were analyzed, and the discussion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n Korea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is an urgent task to expand the target learner group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eek adult roles in the care ecosystem. Third, it is urgent to prepare some measures to expand the family literacy programs for immigrant families. Based on the discussion, suggestions necessary for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were presented to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in the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숙 ; 김옥녀, "한국인의 배타적 태도에 대한 이주민 반응에 관한 연구 -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10 (10): 145-191, 2017

      2 문영석, "캐나다 이민정책에 대한 분석과 전망" 국제학연구소 14 (14): 79-108, 2005

      3 홍진주 ; 정세미 ; 김은정 ; 김현진, "지역기반의 초등돌봄사업의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초등돌봄 네트워크 형성과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3 (23): 105-139, 2021

      4 津市教育委員会, "전화인터뷰"

      5 송융미 ; 이로미, "일본 가와사키 시 ‘다문화공생’ 사례로 본 도시수준 ‘다문화평생학습’의 가능성" 아시아여성연구원 15 (15): 155-193, 2022

      6 황혜신, "이중언어(한국어-영어)를 하는 아동의 언어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21 (21): 69-79, 2000

      7 차용호,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방향" 2008

      8 권채리, "이민법제의 쟁점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국회입법조사처 13 (13): 33-61, 2021

      9 권미경,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연구-유치원 한국어학급 운영을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2018

      10 이로미 ; 송융미 ; 하란, "상호문화도시 런던, 바르셀로나, 하마마츠의 평생학습 실천사례 분석"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4 (4): 131-161, 2022

      1 김현숙 ; 김옥녀, "한국인의 배타적 태도에 대한 이주민 반응에 관한 연구 -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10 (10): 145-191, 2017

      2 문영석, "캐나다 이민정책에 대한 분석과 전망" 국제학연구소 14 (14): 79-108, 2005

      3 홍진주 ; 정세미 ; 김은정 ; 김현진, "지역기반의 초등돌봄사업의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초등돌봄 네트워크 형성과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3 (23): 105-139, 2021

      4 津市教育委員会, "전화인터뷰"

      5 송융미 ; 이로미, "일본 가와사키 시 ‘다문화공생’ 사례로 본 도시수준 ‘다문화평생학습’의 가능성" 아시아여성연구원 15 (15): 155-193, 2022

      6 황혜신, "이중언어(한국어-영어)를 하는 아동의 언어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21 (21): 69-79, 2000

      7 차용호,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방향" 2008

      8 권채리, "이민법제의 쟁점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국회입법조사처 13 (13): 33-61, 2021

      9 권미경,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연구-유치원 한국어학급 운영을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2018

      10 이로미 ; 송융미 ; 하란, "상호문화도시 런던, 바르셀로나, 하마마츠의 평생학습 실천사례 분석"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4 (4): 131-161, 2022

      11 조항록,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육의 확대 실시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50) : 235-267, 2012

      12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다문화유치원 정책학교 운영 가이드라인-한국어학급(유치원)"

      13 황상심 ; 강복정,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사용 추이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123-134, 2016

      14 이해주, "다문화시민교육 : 세계시민을 위한 교육적 탐색" 방송통신대학교 2023

      15 황상심, "다문화가정아동의 5세 전 후 집단 간 언어발달특성 비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65-281, 2009

      16 이승숙 ; 권경숙,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7 (17): 299-320, 2018

      17 이승숙 ; 곽승주,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언어 경험 탐색: 어머니 모국어 발달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49-378, 2013

      18 우현경 ; 정현심 ; 최나야 ; 이순형 ; 이강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한국아동학회 30 (30): 23-36, 2009

      19 박소현 ; 정명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47-65, 2012

      20 권회연 ; 전병운 ; 이미숙,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문헌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83-306, 2010

      21 장영은 ; 성미영 ; 장문수 ; 김성석 ; 임아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관련 학술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다문화평화연구소 13 (13): 40-63, 2019

      22 박혜성, "다문화가정 및 이중언어 사용 아동 관련 연구분석: 국내 언어장애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1-28, 2013

      23 이지혜 ; 채재은, "다문화 가정시대 문해교육의 대안적 접근:영미의 가족문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29-52, 2007

      24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33-52, 2004

      25 김현미,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0) : 10-37, 2006

      26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2 (42): 36-71, 2008

      27 津市, "津市教育委員会 事務局 人権教育課, 就学前日本語教室 「つむぎ」のようす"

      28 津市, "津市教育委員会 事務局 人権教育課, 就学前日本語教室 「つむぎ」"

      29 津市, "津市教育委員会 事務局 人権教育課, 外国につながる子ども達のための初期日本語教 室 「きずな」 日本語指導ボランティア募集"

      30 津市, "津市教育委員会 事務局 人権教育課, 外国につながる子どもたちの教育について, 初期日本語教室 「きずな」"

      31 金松美, "川崎市における外国人支援の内容に関する考察: 多文化共生社会の意味の再検討" 127 : 57-73, 2018

      32 楊嘉琪, "多文化共生社会における外国人労働者の教育に関する研究: 日本語教室の視点から" 12 : 71-75, 2021

      33 "外国人集住都市会議"

      34 文部科学省, "令和2年度 「帰国⋅外国人児童生徒に対するきめ細かな支援事業」に係る報告書の概要(津市): 三重県教育委員会"

      35 박소진, "‘자기관리’와 ‘가족경영’ 시대의 불안한 삶 : 신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적 주체" 비판사회학회 (84) : 12-40, 2009

      36 이에스더, "[현지취재] 일본의 다문화정책에서 배운다 “특별대우보다 ‘공생(共生)’ 돕는 것이 해법” 월간중앙 201604호"

      37 McAuliffe, M., "World Migration Report 2022"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2022

      38 Suárez-Orozco, C., "Transitions: The development of children of immigrants" NYU Press 2015

      39 Schwartz, D., "The refugee crisis and peer relationship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74 : 101263-, 2021

      40 Magnuson, K., "Preschool and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of immigrants" 87 (87): 1241-1262, 2006

      41 Warschauer, M., "Nexus: The convergence of research &teaching through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88-97, 1997

      42 Tania, H, "Literacy as sociocultural practice" 国際基督教大学教育研究所編 (51) : 125-132, 2009

      43 Anderson, J., "Implementing a bilingual family literacy program with immigrant and refugee families: The case of Parents As Literacy Supporters (PAL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3, 2011

      44 "HSBC Family Literacy First"

      45 Nasir, N. I. S., "Exploring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race, culture, and learning" 76 (76): 449-475, 2006

      46 Pianta, R. C., "Beyond the parent: The role of other adults in children’s lives" Jossey-Bass 1992

      47 "2010 Legacies Now, PALS Across Communities: A Guide to Parents as Literacy Supporters (PA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