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득과 소통을 위한 판소리계 소설의 말하기 방식 -〈춘향전〉〈옹고집전〉 〈장끼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3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전소설에 나타난 의사소통의 맥락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술서사의 모습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판소리계 소설본을 대상으로 수사학적인 면에서 표현기법과 특징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수사학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다. 기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대한 정의, 즉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의 종합이 인간 본성 연구의 기본 구성요소라 할 때 이 3대 요소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복합적 결합 양상에 주목한다. 이 중 로고스는 ‘논리적 정당성’을, 파토스는 ‘정서적 공감대’를, 에토스는 ‘윤리적 정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구술적 담화와 소통의 맥락이 잘 드러나 있다고 판단되는 <춘향전> <옹고집전> <장끼전>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의 방식과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춘향전>에서는 에토스가, <옹고집전>에서는 파토스가, <장끼전>에서는 로고스가 중심적으로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소설을 바탕으로 소통맥락의 최종 목표가 독자임을 감안할 때 설득을 위해서 에토스나 파토스가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전소설에 나타난 의사소통의 맥락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술서사의 모습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판소리계 소설본을 대상으로 수사학적인 면에서 표현기법과 특징...

      본 연구는 고전소설에 나타난 의사소통의 맥락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술서사의 모습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판소리계 소설본을 대상으로 수사학적인 면에서 표현기법과 특징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수사학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다. 기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대한 정의, 즉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의 종합이 인간 본성 연구의 기본 구성요소라 할 때 이 3대 요소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복합적 결합 양상에 주목한다. 이 중 로고스는 ‘논리적 정당성’을, 파토스는 ‘정서적 공감대’를, 에토스는 ‘윤리적 정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구술적 담화와 소통의 맥락이 잘 드러나 있다고 판단되는 <춘향전> <옹고집전> <장끼전>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의 방식과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춘향전>에서는 에토스가, <옹고집전>에서는 파토스가, <장끼전>에서는 로고스가 중심적으로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소설을 바탕으로 소통맥락의 최종 목표가 독자임을 감안할 때 설득을 위해서 에토스나 파토스가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in classical narratives is examined. Therefore,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in a rhetorical aspect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 Pansori novels that employ the use of oral narratives.
      To this end, rhetorical research methodology is used in this study. When Aristotle"s definition of rhetoric (i.e., the synthesis of Ethos, Logos, and Pathos), is a basic component in the study of human nature, we focus on the appropriate definition and complex combination of these three elements. Among these three elements, Logos is perceived as representing “logical legitimacy,” Pathos as “emotional consensus,” and Ethos as “ethical legitimacy.”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can be established by focusing on human knowledge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details of interactions. In the ethnographic approach of communication for discourse, communication patterns are analyzed as cultural knowledge and behavior. The primary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methods used by cultural members to find meaning from experiences and communicate those interpretations. The tradition of persuasive rhetoric was derived through the aspects of Ethos, Pathos, and Logos that appeared in classical novels.
      In this study, the method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were investigated in 〈Chunhyangjeon〉, 〈Ongojipjeon〉 and 〈Jangkijeon〉, which are judged to have the context of oral discourse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thos was mainly used in 〈Chunhyangjeon〉, Pathos in 〈Ongojipjeon〉, and Logos in 〈Jangkijeon〉. Based on these novels,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communication context is the reader, it can be seen that Ethos and Pathos are exerting greater influence for persuas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is as an overall characteristic shown in classical narratives and as a Korean tradition of persuasive rhetoric.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in classical narratives is examined. Therefore,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in a rhetorical aspect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 Pansori novels that employ the use of oral nar...

      In this study,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in classical narratives is examined. Therefore,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in a rhetorical aspect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 Pansori novels that employ the use of oral narratives.
      To this end, rhetorical research methodology is used in this study. When Aristotle"s definition of rhetoric (i.e., the synthesis of Ethos, Logos, and Pathos), is a basic component in the study of human nature, we focus on the appropriate definition and complex combination of these three elements. Among these three elements, Logos is perceived as representing “logical legitimacy,” Pathos as “emotional consensus,” and Ethos as “ethical legitimacy.”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can be established by focusing on human knowledge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details of interactions. In the ethnographic approach of communication for discourse, communication patterns are analyzed as cultural knowledge and behavior. The primary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methods used by cultural members to find meaning from experiences and communicate those interpretations. The tradition of persuasive rhetoric was derived through the aspects of Ethos, Pathos, and Logos that appeared in classical novels.
      In this study, the methods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were investigated in 〈Chunhyangjeon〉, 〈Ongojipjeon〉 and 〈Jangkijeon〉, which are judged to have the context of oral discourse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thos was mainly used in 〈Chunhyangjeon〉, Pathos in 〈Ongojipjeon〉, and Logos in 〈Jangkijeon〉. Based on these novels,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communication context is the reader, it can be seen that Ethos and Pathos are exerting greater influence for persuas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is as an overall characteristic shown in classical narratives and as a Korean tradition of persuasive rhetor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전 서사의 소통 맥락
      • Ⅲ. 설득을 위한 수사법과 작품의 소통 맥락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전 서사의 소통 맥락
      • Ⅲ. 설득을 위한 수사법과 작품의 소통 맥락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경호, "한문고전과 한문학에서의 수사학에 대하여" 한국수사학회 (3) : 137-175, 2005

      2 전성기, "한국의 수사학 전통" 한국수사학회 (2) : 145-195, 2005

      3 金賢柱, "판소리의 多聲性, 그 문체적 성격과 예술?사회사적 배경" 판소리학회 13 : 127-149, 2002

      4 서유석, "판소리에서의 도덕적 규범과 윤리적 선택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56) : 35-64, 2020

      5 김현주, "판소리 담화분석" 한국학술정보 2008

      6 이강엽, "토의문학의 전통과 우리 소설" 태학사 1997

      7 박삼열, "토론의 설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중앙철학연구소 32 : 251-281, 2012

      8 박삼열, "토론과 수사적 설득" 중앙철학연구소 37 : 237-260, 2015

      9 이유경, "장끼전의 작품세계" 보고사 2013

      10 서유석, "옹고집전·배비장전의 작품세계" 보고사 2013

      1 심경호, "한문고전과 한문학에서의 수사학에 대하여" 한국수사학회 (3) : 137-175, 2005

      2 전성기, "한국의 수사학 전통" 한국수사학회 (2) : 145-195, 2005

      3 金賢柱, "판소리의 多聲性, 그 문체적 성격과 예술?사회사적 배경" 판소리학회 13 : 127-149, 2002

      4 서유석, "판소리에서의 도덕적 규범과 윤리적 선택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56) : 35-64, 2020

      5 김현주, "판소리 담화분석" 한국학술정보 2008

      6 이강엽, "토의문학의 전통과 우리 소설" 태학사 1997

      7 박삼열, "토론의 설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중앙철학연구소 32 : 251-281, 2012

      8 박삼열, "토론과 수사적 설득" 중앙철학연구소 37 : 237-260, 2015

      9 이유경, "장끼전의 작품세계" 보고사 2013

      10 서유석, "옹고집전·배비장전의 작품세계" 보고사 2013

      11 한석환, "아리스토텔레스와 수사적 논증의 문제" 한국서양고전학회 (25) : 217-248, 2006

      12 김윤희,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 나타난 말의 능력(dynamis) 분석: 설득의 방법적 요소(pistis)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99) : 5-38, 2012

      13 안재원, "수사학 말하기의 규칙과 체계" 도서출판 길 2006

      14 이상진, "설득의 기술, 로고스(logos)의 수사학* - 이윤기 단편소설의 수사학적 특성" 한국문학회 (63) : 237-271, 2013

      15 박우수, "대화론과 수사학: 방법론적 시각" 영미연구소 (11) : 53-72, 2004

      16 안미현, "논쟁의 수사학 - ?라오콘 Laokoon?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독일어문학회 11 (11): 71-96, 2003

      17 최혜진, "논쟁과 설득으로 본 <수궁가> 담화의 원리" 한국구비문학회 (46) : 123-154, 2017

      18 이윤석, "남원고사 원전 비평" 보고사 2010

      19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20 김욱동, "『춘향전』의 수사학" 한국수사학회 (12) : 33-6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