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wick(1945)의 실험자료를 검토하면 개수로 흐름에서도 관로 흐름에서처럼 다섯 가지의 특성구간흐름 상태가 존재하며, 단지 조고가 커짐에 따라 마찰계수의 분포가 상향으로 평행이동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686170
1997년
Korean
530.000
한국연구재단(NRF)
441-45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Varwick(1945)의 실험자료를 검토하면 개수로 흐름에서도 관로 흐름에서처럼 다섯 가지의 특성구간흐름 상태가 존재하며, 단지 조고가 커짐에 따라 마찰계수의 분포가 상향으로 평행이동하는 ...
Varwick(1945)의 실험자료를 검토하면 개수로 흐름에서도 관로 흐름에서처럼 다섯 가지의 특성구간흐름 상태가 존재하며, 단지 조고가 커짐에 따라 마찰계수의 분포가 상향으로 평행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Bazin(1865)의 자료가 완난류 조건에 있을 것이라는 이유를 밝히고, 실험을 통하여 등가조고를 재산정하였다.
실험자료를 분석하고 Prandtl-von Karman 방정식을 기본형태로 취하여 사각형 개수로의 완난류 흐름에 대한 마찰계수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산정식에서 절점만을 조정하여 개수로 마찰계수 산정식을 개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절점뿐 아니라 기울기도 조정하여 경사절점 조정법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경사와 절점 두 계수는 모두 조고와의 상관식을 도출하였는데, 조고와 관련된 무차원수로서 Reynolds 수와 Weber 수의 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된 산정식을 개발하여 Bazin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자료의 평균유속에 대하여 비교 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found from the laboratory data of Varwick (1945) that the open channel flow has five characteristic flow regions like the flow in pipe but the distribution of friction factor moved up parallel as the roughness becomes bigger Based on these facts...
It is found from the laboratory data of Varwick (1945) that the open channel flow has five characteristic flow regions like the flow in pipe but the distribution of friction factor moved up parallel as the roughness becomes bigger Based on these facts. Bazin's (1865) data are considered to be mostly in smooth turbulent condition, and the equivalent roughness height is determined by conducting laboratory experiments The friction factor equation of rectangular open channel flow is developed by modifying Prandtl-von Karman equation used for the smooth turbulent pipe flow. In the previous study the modification was made by relating one of two parameters to the roughness height, but in the present study by relating both parameters to the roughness height of which the non-dimensional number is the ratio of Reynolds number to Weber number The modified equation is again tested against Bazin's laboratory data and the data collected in the present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