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젤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공 실리카 세라믹에 대하여 N₂-adsorption isotherm 및 TEM에 의하여 기공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Group 1, 2 및 3의 경우 물의 양이 각각 11, 5.5 및 3.8mole까지는 급격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32203
1996
Korean
050
학술저널
343-36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솔-젤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공 실리카 세라믹에 대하여 N₂-adsorption isotherm 및 TEM에 의하여 기공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Group 1, 2 및 3의 경우 물의 양이 각각 11, 5.5 및 3.8mole까지는 급격히...
솔-젤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공 실리카 세라믹에 대하여 N₂-adsorption isotherm 및 TEM에 의하여 기공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Group 1, 2 및 3의 경우 물의 양이 각각 11, 5.5 및 3.8mole까지는 급격히 surface area의 증가를 보이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한 상승을 보이는데, 이것은 앞의 실험에서 보인[4.5]gelation time 및 FT-IR의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물의 양에 대하여 BET surface area와 Cumulative surface area의 차이가 Group 1서 Group 3으로 옮아감에 따라 커지는 것은 용매의 양은 감소하는 반면 TEOS의 양 증가로 인하여 물과 TEOS의 반응이 원활하지 못한 결과로 덜 발달된 polymer에 기인한 작은 particle에 의하여 형성된 작은 기공들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같은 기공구조는 TEM의 결과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Group A에서 E쪽으로 갈수록 물의 양의 증가에 기인하여 surface area는 증가하며, Group a에서 d쪽으로 갈수록 물의 양의 감소에 기인하여 surface area는 감소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₂-adsorption isotherm and TEM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icro-porous silica ceramic prepared by sol-gel process to find the structural changes of pores. In the case of Group 1, 2 and 3, the drift of the surface area increased steeply till the ...
N₂-adsorption isotherm and TEM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icro-porous silica ceramic prepared by sol-gel process to find the structural changes of pores.
In the case of Group 1, 2 and 3, the drift of the surface area increased steeply till the amount of water 11, 5.5 and 3.8 moles individually and after that showed increased smoothly. It is the same results as the gelation time and the FT-IR[4.5].
It is the reason that the differences of BET and Cumulative surface area become larger proportionally as moving from Group 3 that the reaction of water and TEOS is less active, caused by using decreased quantity of water but increased TEOS, and therefore the smaller pores by the smaller particles were formed. It was identified by TEM.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by the increased water as moving from Group A to Group E, and decreased by the decreased water as moving from a to e.
Porsodic Analysis through M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