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육 분야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 분석 = A Study 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LIS Education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88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research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which needs continuous change and improvement, using quantitative,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on articles published over a 22 years from 2002 to 2023.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on LIS education in Korea totaled 169 articles, with an average of 7.7 articles per year, and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as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econd, the author keyword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curriculum’, ‘continuing education’, ‘education course’, ‘LIS’, ‘LIS education’, ‘librarian’, ‘librarian teacher’, ‘school library’, ‘course’, and ‘subject librarian’. Third, the research topics formed four large clusters(Higher education cluster, Continuing education cluster, Archivist training cluster, Teacher librarians training cluster) and 16 small clusters. Fourth, the analysis of the growth index and the standard performance index showed that research on the general curriculum of LIS was the most common throughout the period, and three small clusters(curriculum cluster, continuing education cluster, education course cluster) showed a growth trend, but these clusters also showed weak growth. Fifth, the research topics with high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are ‘curriculum’, ‘LIS’, ‘librarian’, ‘LIS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the research topics with high average relevance to other topics are ‘curriculum’, ‘LIS’, ‘librarian’, ‘education course’, and ‘records manag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research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which needs continuous change and improvement, using quantitative,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on articles pu...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research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which needs continuous change and improvement, using quantitative,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on articles published over a 22 years from 2002 to 2023.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on LIS education in Korea totaled 169 articles, with an average of 7.7 articles per year, and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as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econd, the author keyword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curriculum’, ‘continuing education’, ‘education course’, ‘LIS’, ‘LIS education’, ‘librarian’, ‘librarian teacher’, ‘school library’, ‘course’, and ‘subject librarian’. Third, the research topics formed four large clusters(Higher education cluster, Continuing education cluster, Archivist training cluster, Teacher librarians training cluster) and 16 small clusters. Fourth, the analysis of the growth index and the standard performance index showed that research on the general curriculum of LIS was the most common throughout the period, and three small clusters(curriculum cluster, continuing education cluster, education course cluster) showed a growth trend, but these clusters also showed weak growth. Fifth, the research topics with high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are ‘curriculum’, ‘LIS’, ‘librarian’, ‘LIS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the research topics with high average relevance to other topics are ‘curriculum’, ‘LIS’, ‘librarian’, ‘education course’, and ‘records manag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속적인 변화와 개선이 필요한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한 연구들의 최근 동향과 지적구조를 2002년 이후 2023년까지 22년간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적 방법, 네트워크 분석, 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의 논문 수는 총 169편의 논문이며, 연 평균 논문수는 7.7편이고,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한 학술지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였다. 둘째, 저자 키워드 분석 결과 상위빈도 키워드는 ‘교과과정’, ‘계속교육’, ‘교육과정’, ‘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교육’, ‘사서’, ‘사서교사’, ‘학교도서관’, ‘교과목’, ‘주제전문사서’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4개의 대군집(대학 정규과정 군집, 계속교육 군집, 기록관리직 양성 군집, 사서교사 양성 군집)과 16개의 소군집을 형성하였다. 넷째, 성장지수와 표준 성과지수 분석 결과, 문헌정보학의 전반적인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3개의 소군집(교과과정 군집, 계속교육 군집, 교육과정 군집)이 약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다섯째, 삼각매개중심성이 높은 연구주제는 ‘교과과정’, ‘문헌정보학’, ‘사서’, ‘문헌정보학교육’, ‘정보전문가’ 등이며, 다른 주제들과의 관련성이 평균적으로 높은 연구주제는 ‘교과과정’, ‘문헌정보학’, ‘사서’, ‘교육과정’, ‘기록관리학’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대학의 교육기관 및 계속교육 기관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속적인 변화와 개선이 필요한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한 연구들의 최근 동향과 지적구조를 2002년 이후 2023년까지 22년간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적 방법, 네트워크 분석, 내용 분...

      본 연구는 지속적인 변화와 개선이 필요한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한 연구들의 최근 동향과 지적구조를 2002년 이후 2023년까지 22년간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적 방법, 네트워크 분석, 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의 논문 수는 총 169편의 논문이며, 연 평균 논문수는 7.7편이고,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한 학술지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였다. 둘째, 저자 키워드 분석 결과 상위빈도 키워드는 ‘교과과정’, ‘계속교육’, ‘교육과정’, ‘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교육’, ‘사서’, ‘사서교사’, ‘학교도서관’, ‘교과목’, ‘주제전문사서’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4개의 대군집(대학 정규과정 군집, 계속교육 군집, 기록관리직 양성 군집, 사서교사 양성 군집)과 16개의 소군집을 형성하였다. 넷째, 성장지수와 표준 성과지수 분석 결과, 문헌정보학의 전반적인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3개의 소군집(교과과정 군집, 계속교육 군집, 교육과정 군집)이 약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다섯째, 삼각매개중심성이 높은 연구주제는 ‘교과과정’, ‘문헌정보학’, ‘사서’, ‘문헌정보학교육’, ‘정보전문가’ 등이며, 다른 주제들과의 관련성이 평균적으로 높은 연구주제는 ‘교과과정’, ‘문헌정보학’, ‘사서’, ‘교육과정’, ‘기록관리학’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대학의 교육기관 및 계속교육 기관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