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이트 모바일 웹 UI 인터랙티브 디자인 접근성 평가와 분석: 저시력인 접근성 평가와 분석을 중심으로 = Accessibility Evaluation and Analysis of Nate Mobile Web UI Interactive Design : Focused on evaluation and analysis of low vision accessi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81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is era of aging population, this research is the study about improvement of mobile web accessibility for low-vision people. This researcher evaluated, analyzed and studied the current problems and causes of the domestic mobile portal site in terms of UI interactive design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Ultimate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design alternatives. In term of a research method, Nate, which is one of the three major mobile portal sites in Korea, was selected as a evaluation target. As a evaluator, the first, second degree low-vision people with substantial visual impairment were selected, who are five people. As evaluation contents, 12 items of the mobile portal site that are commonly used by the public were selected. And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were assessed and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analysis and interview results which comes from above outcomes, discussed and interviewed and analyzed again deeply with mobile web accessibility experts. Eventually, the causes of accessibility problems are figured out and design alternatives are presented.
      Research shows that the main causes of accessibility problems on the Nate mobile portal site are color contrast, substitute-text considering location, and layout not considering features of low-vision people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s.
      In order to supplement this, design alternatives can be color contrast considering space contrast at the same time, margin-setting considering field of view of low-vision people when they are using smart phone, and layout considering sequentiality of readability, and finally, hybrid design concept which can supplement visual impairment with auditory sense. These are ideas of Interactive usability which can use information contents in a convenient way, respectively, considering various user's characteristics.
      The fundamental cause of problems in Nate Mobile Web UI design is lack of understanding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usability of it.
      Accessibility design does not just mean compliance with standards. It means design acts for an understanding of all users and the alternatives.
      When the accessibility design is considered as the basic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cluding all user's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Accessibility should have the concept of interactive usability.
      This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to resolve the continuous gaps in accessibility, is supposed to give small contribution for improvement of mobile online communication accessibility.
      번역하기

      Along with this era of aging population, this research is the study about improvement of mobile web accessibility for low-vision people. This researcher evaluated, analyzed and studied the current problems and causes of the domestic mobile portal site...

      Along with this era of aging population, this research is the study about improvement of mobile web accessibility for low-vision people. This researcher evaluated, analyzed and studied the current problems and causes of the domestic mobile portal site in terms of UI interactive design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Ultimate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design alternatives. In term of a research method, Nate, which is one of the three major mobile portal sites in Korea, was selected as a evaluation target. As a evaluator, the first, second degree low-vision people with substantial visual impairment were selected, who are five people. As evaluation contents, 12 items of the mobile portal site that are commonly used by the public were selected. And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were assessed and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analysis and interview results which comes from above outcomes, discussed and interviewed and analyzed again deeply with mobile web accessibility experts. Eventually, the causes of accessibility problems are figured out and design alternatives are presented.
      Research shows that the main causes of accessibility problems on the Nate mobile portal site are color contrast, substitute-text considering location, and layout not considering features of low-vision people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ses.
      In order to supplement this, design alternatives can be color contrast considering space contrast at the same time, margin-setting considering field of view of low-vision people when they are using smart phone, and layout considering sequentiality of readability, and finally, hybrid design concept which can supplement visual impairment with auditory sense. These are ideas of Interactive usability which can use information contents in a convenient way, respectively, considering various user's characteristics.
      The fundamental cause of problems in Nate Mobile Web UI design is lack of understanding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usability of it.
      Accessibility design does not just mean compliance with standards. It means design acts for an understanding of all users and the alternatives.
      When the accessibility design is considered as the basic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cluding all user's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Accessibility should have the concept of interactive usability.
      This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to resolve the continuous gaps in accessibility, is supposed to give small contribution for improvement of mobile online communication accessi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구의 고령화 시대에 맞춰 저시력인의 모바일 웹접근성 개선을 연구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포털사이트의 현 문제점과 원인을 UI 인터랙티브디자인이라는 융복합 관점에서 평가, 분석, 연구하여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3대 모바일 포털 사이트 중 하나인 네이트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고 평가자로는 실질적인 시각장애를 갖는 저시력인 1, 2급 5인을 선정하였다. 평가 콘텐츠는 대중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모바일 포털사이트 콘텐츠 12개 항목을 선정하여접근성과 만족도를 평가 및 개별 인터뷰하였다. 여기서 나온 분석 결과를 모바일 웹 접근성 전문가와 인터뷰 및 분석하여 네이트 모바일 포털 웹 UI 디자인의접근성 문제 원인과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네이트 모바일 포털사이트 접근성 문제의- 116 - 근본 원인은 색상 대비, 위치를 고려한 대체 텍스트, 그리고 저시력인의 시력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레이아웃이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한 디자인 대안으로는 면적 대비를 함께 고려한색상 대비, 저시력인의 스마트폰 시야 면적을 고려한여백 설정, 가독의 순차성을 고려한 레이아웃, 시각장애를 청각으로 보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디자인개념 등 다양한 유저 특성을 감안하여 각자 편리한방법으로 정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사용성 아이디어이다.
      네이트 모바일 웹 UI 디자인이 갖는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저시력인에 대한 유저 특성 이해 부족과이에 따른 사용성 부족이다. 접근성 디자인은 단순한표준 준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모든 유저에 대한이해와 그 대안을 고민하는 디자인 행위이다. 접근성디자인이 모든 유저의 관점과 특성을 어우르는 보편적인 디자인이라는 기본개념을 고려했을 때 접근성은인터랙티브 사용성의 개념을 가져야 한다.
      지속적인 접근성 격차 해소를 위해 진행한 본 연구가 모바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접근성 개선에 작은기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인구의 고령화 시대에 맞춰 저시력인의 모바일 웹접근성 개선을 연구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포털사이트의 현 문제점과 원인을 UI 인터랙티브디자인이라는 융복합 관점에서 평...

      인구의 고령화 시대에 맞춰 저시력인의 모바일 웹접근성 개선을 연구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포털사이트의 현 문제점과 원인을 UI 인터랙티브디자인이라는 융복합 관점에서 평가, 분석, 연구하여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3대 모바일 포털 사이트 중 하나인 네이트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고 평가자로는 실질적인 시각장애를 갖는 저시력인 1, 2급 5인을 선정하였다. 평가 콘텐츠는 대중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모바일 포털사이트 콘텐츠 12개 항목을 선정하여접근성과 만족도를 평가 및 개별 인터뷰하였다. 여기서 나온 분석 결과를 모바일 웹 접근성 전문가와 인터뷰 및 분석하여 네이트 모바일 포털 웹 UI 디자인의접근성 문제 원인과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네이트 모바일 포털사이트 접근성 문제의- 116 - 근본 원인은 색상 대비, 위치를 고려한 대체 텍스트, 그리고 저시력인의 시력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레이아웃이었으며 이를 보완하기위한 디자인 대안으로는 면적 대비를 함께 고려한색상 대비, 저시력인의 스마트폰 시야 면적을 고려한여백 설정, 가독의 순차성을 고려한 레이아웃, 시각장애를 청각으로 보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디자인개념 등 다양한 유저 특성을 감안하여 각자 편리한방법으로 정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사용성 아이디어이다.
      네이트 모바일 웹 UI 디자인이 갖는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저시력인에 대한 유저 특성 이해 부족과이에 따른 사용성 부족이다. 접근성 디자인은 단순한표준 준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모든 유저에 대한이해와 그 대안을 고민하는 디자인 행위이다. 접근성디자인이 모든 유저의 관점과 특성을 어우르는 보편적인 디자인이라는 기본개념을 고려했을 때 접근성은인터랙티브 사용성의 개념을 가져야 한다.
      지속적인 접근성 격차 해소를 위해 진행한 본 연구가 모바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접근성 개선에 작은기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ttp://www.webwatch.or.kr"

      2 "http://www.wah.or.kr"

      3 "http://www.wa.or.kr"

      4 "http://www.w3c.org/WAI"

      5 "http://www.lowvision.or.kr/sub04/body06.php"

      6 "http://www.bbc.co.uk/accessibility"

      7 "http://nuli.navercorp.com/sharing/a11y/checklist"

      8 "http://nuli.navercorp.com"

      9 "http://mobile.nytimes.com"

      10 Ryu, Young-il., "Web accessibility and quality certification" Acon 2013

      1 "http://www.webwatch.or.kr"

      2 "http://www.wah.or.kr"

      3 "http://www.wa.or.kr"

      4 "http://www.w3c.org/WAI"

      5 "http://www.lowvision.or.kr/sub04/body06.php"

      6 "http://www.bbc.co.uk/accessibility"

      7 "http://nuli.navercorp.com/sharing/a11y/checklist"

      8 "http://nuli.navercorp.com"

      9 "http://mobile.nytimes.com"

      10 Ryu, Young-il., "Web accessibility and quality certification" Acon 2013

      11 Jim Thatcher, "Web Accessibility Standard Complete Guide" 2011

      12 Park, Soon-hee.,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Hakjisa 2014

      13 Park, Tae-joon., "NHN does this. starting a Web Accessibility Project" TECH@NHN 2011

      14 Lee, Hae-gyun., "Low vision education" Daegu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2006

      15 Hyeon, Geun-sik, "A survey on the Usability of Disabled persons on Public Institution Web Sites" 2009

      16 "A Corporation Low Vision Association"

      17 Hyun, Jun-ho, "A Comparativ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Web Accessibility between Korea and Foreign"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