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본 논고의 주안점이 되었던 것은 오르데가의 명제 <예술적인>것과 <인간적인> 것의 불일치는 익히 우려하듯 소수 전문인들의 반휴머니즘적인 횡포와는 다른, 대중 사회의 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따라서,본 논고의 주안점이 되었던 것은 오르데가의 명제 <예술적인>것과 <인간적인> 것의 불일치는 익히 우려하듯 소수 전문인들의 반휴머니즘적인 횡포와는 다른, 대중 사회의 합...
따라서,본 논고의 주안점이 되었던 것은 오르데가의 명제 <예술적인>것과 <인간적인> 것의 불일치는 익히 우려하듯 소수 전문인들의 반휴머니즘적인 횡포와는 다른, 대중 사회의 합리적집단의식 구조와 예술제도 내의 창조적 본질과의 불일치를 말하고 있는데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끝으로 대중 사회제도 내의, 대중을 위한 문화적 속성소와 예술 제도를 구성하는 예술계의 속성소를 더불어 정의하려 들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하여야겠다. <분명히 예술이 순수하면 순수할수록 보통 사람의 기준으로서는 쉽사리 판단할 수없게 된다. 정신적 경험이 직접적일수록 전통에 의존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는 케네스-크라크경의 말은 직접 작품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가 경험하고 있는 바일 것이다. 이 사회제도 내에 통용되고 있느 감수성으로 나 집단가치 기준으론느 볼 수 없는 제도 속의 예술 의식을 구분해낸 것으로 이글을 일단 마치기로 하고 현대 예술제도 내의 예술 정신이 무엇인가를 작품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구체적 예술계의 언어를 사용하여 우리의 제도내 관습의 문제를 다뤄 볼기회를 고대함녀서 딕키의 제도론을 단편적으로 원용하고 소개하는데 결함이 있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본인의 미흡한 이해에 원인하는 것으로 돌려줄 것을 당부하는 바이다
Modern Art와 19세기 회화로부터 개념예술까지의 o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