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 · 문화 테마파크 개발을 위한 성공모델 설정 = 한국 문화 테마파크를 사례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0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테마파크는 일정한 주제로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연·전시·이벤트가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테마파크를 많이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화테마파크를 사례로 역사?문화 테마파크를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성공요소를 도출한 후 개발모델을 설정하였다.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정체성과 일관성 있는 테마 설정, 재미와 감동을 주는 프로그램,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편리한 지원시설, 집객력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마케팅, 주변문화자원과 연계한 입지 및 메시지를 전하는 공간, 민간주도형 사업추진 및 운영주체, 시장세분화 전략에 따른 타깃설정, 수요예측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 및 조화가 되어야만 테마파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테마파크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끊임없이 개선해나가야 하며 시대적 상황과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게 콘텐츠 보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테마파크는 일정한 주제로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연·전시·이벤트가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테마파크�...

      테마파크는 일정한 주제로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연·전시·이벤트가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테마파크를 많이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화테마파크를 사례로 역사?문화 테마파크를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성공요소를 도출한 후 개발모델을 설정하였다.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정체성과 일관성 있는 테마 설정, 재미와 감동을 주는 프로그램,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편리한 지원시설, 집객력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마케팅, 주변문화자원과 연계한 입지 및 메시지를 전하는 공간, 민간주도형 사업추진 및 운영주체, 시장세분화 전략에 따른 타깃설정, 수요예측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 및 조화가 되어야만 테마파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테마파크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끊임없이 개선해나가야 하며 시대적 상황과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게 콘텐츠 보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heme park is a complex space, in which held is a performance & exhibition event created to make visitors feel fun and a deep impression through a certain theme. Recently, local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planning for theme parks with the aim of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ccordingly, this paper set up a development model for a Korean culture theme park after deducting success factors for creating a successful theme park through the case of Korean culture theme park. To be concrete, this paper deducted the success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research as follows:
      Setting of themes having identity and consistency; programs that can give fun and a deep impression; convenient support facilities reflecting customers needs; differentiated marketing for progress in customer attraction power; location linked with cultural resources around a theme park and a space for communicating a message; privately-initiated project promotion and the main body of operation; target setting consequent on market segmentation, and demand forecast, etc. A theme park cannot be successfully operated to contribute to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until such success factors should be closely linked and harmoniz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 order for a theme park to make a continued growth, its required that problems occurring at the operational stage should be endlessly improved, and contents strengthening should be continuously done in line with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viewers eye level.
      번역하기

      A theme park is a complex space, in which held is a performance & exhibition event created to make visitors feel fun and a deep impression through a certain theme. Recently, local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planning for theme parks with the aim of l...

      A theme park is a complex space, in which held is a performance & exhibition event created to make visitors feel fun and a deep impression through a certain theme. Recently, local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planning for theme parks with the aim of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ccordingly, this paper set up a development model for a Korean culture theme park after deducting success factors for creating a successful theme park through the case of Korean culture theme park. To be concrete, this paper deducted the success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research as follows:
      Setting of themes having identity and consistency; programs that can give fun and a deep impression; convenient support facilities reflecting customers needs; differentiated marketing for progress in customer attraction power; location linked with cultural resources around a theme park and a space for communicating a message; privately-initiated project promotion and the main body of operation; target setting consequent on market segmentation, and demand forecast, etc. A theme park cannot be successfully operated to contribute to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until such success factors should be closely linked and harmoniz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 order for a theme park to make a continued growth, its required that problems occurring at the operational stage should be endlessly improved, and contents strengthening should be continuously done in line with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viewers eye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국내 테마파크 현황 및 개발관련제도 분석
      • Ⅲ. 역사 · 문화테마파크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국내 테마파크 현황 및 개발관련제도 분석
      • Ⅲ. 역사 · 문화테마파크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
      • Ⅳ. 역사 · 문화 테마파크 개발 모델
      • Ⅴ. 한국문화 테마파크 개발모델 설정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근, "홍길동 테마파크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2

      2 고석규, "해양영웅을 소재로 한 테마파크 개발 사례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3) : 35-60, 2009

      3 유동환, "한국문화르네상스 프로젝트 ‘한문화테마파크’ 연구용역"

      4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312-, 2007

      5 차락근, "테마파크 개발전락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6

      6 김국선, "캐릭터 마케팅을 활용한 국내 테마파크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155-164, 2010

      7 곽경희, "체험마케팅과 스폰서십마케팅을 활용한 테마파크의 운영 분석 :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32-445, 2012

      8 "지역균형개발 및 중소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9 김희진, "일본의 테마파크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이션 북수 30-, 2007

      10 김희진, "일본 테마파크이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니션 북수 5-, 2007

      1 김윤근, "홍길동 테마파크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2

      2 고석규, "해양영웅을 소재로 한 테마파크 개발 사례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3) : 35-60, 2009

      3 유동환, "한국문화르네상스 프로젝트 ‘한문화테마파크’ 연구용역"

      4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312-, 2007

      5 차락근, "테마파크 개발전락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6

      6 김국선, "캐릭터 마케팅을 활용한 국내 테마파크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155-164, 2010

      7 곽경희, "체험마케팅과 스폰서십마케팅을 활용한 테마파크의 운영 분석 :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32-445, 2012

      8 "지역균형개발 및 중소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9 김희진, "일본의 테마파크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이션 북수 30-, 2007

      10 김희진, "일본 테마파크이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니션 북수 5-, 2007

      11 "신발전 지역 육성을 위한 투자촉진 특별법"

      12 서천범, "레저백서" 한국레저산업연구소 401-404, 2014

      13 "관광진흥법"

      14 "http://www.tour.go.kr/"

      15 "http://www.smpark.co.kr"

      16 "http://www.puydufou.com"

      17 "http://www.edowonderland.net"

      18 Fontanille, "Espace du sens :Morphologies spatiales et structures semiotiqu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