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창동 영화에 표현된 개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0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창동감독의 영화는 인간 개인으로서의 주체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는 영화 속 주인공들을 통해서 개인으로서 주체가 사회 속에서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프랑스 현대철학자 미셸 푸코의 주체 문제와 상당부분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푸코는 주체가 사회라는 거대한 구조 속에서 자기 주체성을 잃어버리고 객체화된다고 주장한다. 주체는 권력 속에서 소외된다. 또한 주체는 사회적 구조 속에서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된다. 이창동감독은 영화<시>를 통해 자기에 대한 배려를 담은 개인을 보여주고 있는데, 푸코 또한 말년에 자기에의 배려라는 차원에서 주체를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창동 감독과 푸코가 공유하고 있는 개인 주체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창동감독의 영화는 인간 개인으로서의 주체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는 영화 속 주인공들을 통해서 개인으로서 주체가 사회 속에서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프랑...

      이창동감독의 영화는 인간 개인으로서의 주체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는 영화 속 주인공들을 통해서 개인으로서 주체가 사회 속에서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프랑스 현대철학자 미셸 푸코의 주체 문제와 상당부분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푸코는 주체가 사회라는 거대한 구조 속에서 자기 주체성을 잃어버리고 객체화된다고 주장한다. 주체는 권력 속에서 소외된다. 또한 주체는 사회적 구조 속에서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된다. 이창동감독은 영화<시>를 통해 자기에 대한 배려를 담은 개인을 보여주고 있는데, 푸코 또한 말년에 자기에의 배려라는 차원에서 주체를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창동 감독과 푸코가 공유하고 있는 개인 주체에 관한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rector Lee Chang-dong’s movies deal mainly with the matter of subject as a human individual. He attempts to show how the subject as a human individual is structured in society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movies. It can be seen that a considerable part of this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subject which is maintained by Michel Foucault, a modern French philosopher. Foucault contends that the subject has lost its identity in the huge structure of society and has become the object. The subject is alienated within the power. The subject is also divided into normality and abnormality in the social structure. Particularly, the movie <Poetry> directed by Lee Chang-dong shows an individual containing consideration toward self and Foucault also showed his attempts in his later years to newly interpret the subject in the context of consideration toward self. Through this thesis, I attempt to examine the matter of the subject that the film director Lee Chang-dong and Foucault have in common.
      번역하기

      Director Lee Chang-dong’s movies deal mainly with the matter of subject as a human individual. He attempts to show how the subject as a human individual is structured in society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movies. It can be seen that a considerabl...

      Director Lee Chang-dong’s movies deal mainly with the matter of subject as a human individual. He attempts to show how the subject as a human individual is structured in society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movies. It can be seen that a considerable part of this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subject which is maintained by Michel Foucault, a modern French philosopher. Foucault contends that the subject has lost its identity in the huge structure of society and has become the object. The subject is alienated within the power. The subject is also divided into normality and abnormality in the social structure. Particularly, the movie <Poetry> directed by Lee Chang-dong shows an individual containing consideration toward self and Foucault also showed his attempts in his later years to newly interpret the subject in the context of consideration toward self. Through this thesis, I attempt to examine the matter of the subject that the film director Lee Chang-dong and Foucault have in comm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주체와 권력
      • Ⅲ.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주체와 권력
      • Ⅲ.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 Ⅳ. 자기배려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셸 푸코, "푸코의 맑스" 갈무리 60-, 2004

      2 이영남, "푸코에게 역사의 문법을 배우다" 푸른역사 290-, 2007

      3 메르키오르, "푸코" 시공사 251-, 2001

      4 크리스 호록스, "푸코" 김영사 2006

      5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25-,

      6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동문서 385-, 2007

      7 윤평중,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72-173, 1999

      8 미셸 푸코, "정신병과 심리학" 문학동네 147-, 2004

      9 미셸 푸코, "성의 역사-3권, 자기에의 배려" 나남출판사 82-83, 1990

      10 미셸 푸코, "비정상인들" 동문서 2001

      1 미셸 푸코, "푸코의 맑스" 갈무리 60-, 2004

      2 이영남, "푸코에게 역사의 문법을 배우다" 푸른역사 290-, 2007

      3 메르키오르, "푸코" 시공사 251-, 2001

      4 크리스 호록스, "푸코" 김영사 2006

      5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25-,

      6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동문서 385-, 2007

      7 윤평중,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72-173, 1999

      8 미셸 푸코, "정신병과 심리학" 문학동네 147-, 2004

      9 미셸 푸코, "성의 역사-3권, 자기에의 배려" 나남출판사 82-83, 1990

      10 미셸 푸코, "비정상인들" 동문서 2001

      11 미셸 푸코, "비정상인들" 동문서 53-, 2001

      12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박하사탕" 삼인 102-103, 2003

      13 프레데그리크 그로, "미셸 푸코의 진실의 용기" 길 72-, 2006

      14 미셸 푸코,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92-,

      15 미셸 푸코,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새물결 86-, 1994

      16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사 320-32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