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56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사교육비 절감과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효과를 위해 교육 정책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 교육청 산하의 초, 중등학교의 학생, 사이버교사를 상대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와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들어났으며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학습을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연수 강화와 사이버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홍보 강화, 다양한 교육정보 및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고 커뮤니티, 쪽지, 채팅 등의 다양한 활동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정착되도록 하는데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사교육비 절감과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효과를 위해 교육 정책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사교육비 절감과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효과를 위해 교육 정책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 교육청 산하의 초, 중등학교의 학생, 사이버교사를 상대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와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들어났으며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학습을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연수 강화와 사이버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홍보 강화, 다양한 교육정보 및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고 커뮤니티, 쪽지, 채팅 등의 다양한 활동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정착되도록 하는데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executed throughout the country as a part of educational policies to reduc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nd to promote educational welfare for alienated classes. Thu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yber teachers under the ○○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were found high. In addition, what wer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re expanding the execution of unit school learning, strengthening teacher training, increasing incentives for cyber teachers, intensifying campaigns for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ntents of education, and activating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ommunity, message and chatt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steppingstone to the settlement of more effectiv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번역하기

      Recently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executed throughout the country as a part of educational policies to reduc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nd to promote educational welfare for alienated classes. Thu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

      Recently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executed throughout the country as a part of educational policies to reduc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and to promote educational welfare for alienated classes. Thu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cyber teachers under the ○○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were found high. In addition, what wer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ere expanding the execution of unit school learning, strengthening teacher training, increasing incentives for cyber teachers, intensifying campaigns for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provid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ntents of education, and activating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ommunity, message and chatt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steppingstone to the settlement of more effectiv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ABSTRACT
      • 1. 서 론
      •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요 약
      • ABSTRACT
      • 1. 서 론
      •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2. 관련 연구
      • 2.1 사이버가정학습의 정의
      • 2.2 사이버가정학습 관련 선행 연구
      • 3. 사이버가정학습 실태 분석
      • 3.1 실태분석에 따른 시사점
      • 4.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분석
      • 4.1 학생 만족도
      • 4.2 사이버교사 만족도
      • 5.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분석
      • 5.1 학생 효과성
      • 5.2 사이버교사 효과성
      • 6. 사이버가정학습 개선사항 및 요구분석
      • 6.1 설문조사를 통한 개선사항 및 요구분석
      • 6.2 사이버가정학습 개선사항 및 요구분석에 따른고찰
      • 7.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숙, "중등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분석" 55 (55): 203-228, 2007

      2 박인우,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미래교실 구성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3 임진호, "유비쿼터스 시대의 학제개편 방향 및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4 조일현, "유비쿼터스 기반의 차세대 학습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송태욱, "상호작용적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8 (8): 33-42, 2005

      6 박인우, "사이버가정학습 학부모 참여 활성화 방안" 한구교육학술정보원 2006

      7 송상호, "사이버가정학습 운영모델 및 운영전략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8 권성호,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9 강숙희, "기존 학교의 지원체제로서의 초? 중등 사이버학교 도입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12권 3호) 265 교육공학연구, 23(1), 97-119"

      10 조규락, "경북사이버스쿨(사이버가정학습)효과성 분석 연구" 경상북도교육청 2006

      1 최명숙, "중등 사이버가정학습체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분석" 55 (55): 203-228, 2007

      2 박인우,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미래교실 구성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3 임진호, "유비쿼터스 시대의 학제개편 방향 및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4 조일현, "유비쿼터스 기반의 차세대 학습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송태욱, "상호작용적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8 (8): 33-42, 2005

      6 박인우, "사이버가정학습 학부모 참여 활성화 방안" 한구교육학술정보원 2006

      7 송상호, "사이버가정학습 운영모델 및 운영전략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8 권성호,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9 강숙희, "기존 학교의 지원체제로서의 초? 중등 사이버학교 도입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12권 3호) 265 교육공학연구, 23(1), 97-119"

      10 조규락, "경북사이버스쿨(사이버가정학습)효과성 분석 연구" 경상북도교육청 2006

      11 권성호, "2005년도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25 1.991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