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佛像의 製作時期와 彫刻僧의 推論 = Inference of production period and monk sculptors of Heungk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 Gyeongg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ssumed production time and monk sculptor of enshrined image of Buddha in Heungk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si, Gyeonggi-do. Among numerous image of Buddha mad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is image of Buddha is supe...

      This study assumed production time and monk sculptor of enshrined image of Buddha in Heungk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si, Gyeonggi-do. Among numerous image of Buddha mad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is image of Buddha is superior, however its concrete research didn't progressed. So in the history of Buddhist statues it couldn't get the right valuation.
      Hungk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 three wooden Buddhist statues is a medium size, heightis 79㎝ and the width of knee is 53㎝, the ratio of height and the width of knee is 1:0.67. At the outer clothe on Buddha' s right shoulder is hang straight and round at the edge like a knife, these shape of the outer clothe was found in different Buddhist statures, but none of these relic has known production time. The inner part of clothe covering the lower half of the statue speared forming the letter S the other 3-4 crease on the image of Buddha is made simply. These shapes started in early 18 century and became popular in mid and end of the 18 century. On the side of Buddhist statue the outer clotheis hang down similar to A shape. These kind of clothe creases similar on seated wooden Bodhisattva statue on Seosan Temple, Gokseong (1706 by Jinyeol), a seated wooden image of Buddha in Hoeamsa Temple in Yangjoo (1755 by Sangjeong), and seated wooden Bodhisattva statue in Sukwang temple in Bucheon. Heungg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 statue of Buddha' s ratio, physiognomy and ashape of clothe is most similar to Sangjeong. Sangjeong's work was only found in 3 different place and 5 Buddha's statues, the inference of production time is around 1770 the body ratio and shape of clothe is simpler then seated wooden Bodhisattva in Oheo Temple, Pohang, which is made in 1765.
      Monk sculptor Sangjeong regild Bulkap Temple, Youngkwang, a seated wooden triad Buddhist statue(1747) and a newly built Buddha Statue in Borim Temple, Jangheung (1748), on 1755 he made a seated wooden Buddhist statue in Hoeam Temple in Yangjoo and a seated wooden Bodhisattva in Sukwang Temple, Bucheon. After he regild triad Buddhist statue, Hwaeom Temple, Kurye, in its main building, on 1765 he produce, a seated wooden triad Buddhist statuein Pohang Oheo Temple. Also he regild Amitabha Buddhist statue of Buseok Temple Muryangsujeon in Gyungbuk Yeongjoo(1767) and the Jikjisa Buddhist statue in Kimchon of Gyungbuk, The dedicative inscription indicates that Sangjung's secular name was Jang 張.In gilding Buddhist statues of Bulguksa, the temple history record reads 'Honam Sangjung, a gilding craftsman', which indicates that Sangjung is a monk residing in Jeolla-do province. His lineage is succeeded to Jinyeol (~1695~1772~), Taewon (~1698~1748~), Sangjeong (~1747~1771~), Gyecho (~1754~1790~), Bonghyun (~1780~1790~), Chingsook (~1754~1780~), to Gyeshim (~1771~1787~)
      Since 18 century Jeolla-domonk sculptors came to Gyeonggi-do and started to make Buddhist statue. It was motivated by 1711 Gyepa Sungneoung, who leaded construction of castle on Bykhan mountain. These factscame out from dedicative inscription that was found in Sangun Temple statue, Goyangsi (Jinyeol's work on 1713).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남양주시 흥국사 대웅보전에 봉안된 불상의 조각승과 제작시기를 추정하였다. 이 불상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훌륭한 유물이지만,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조선...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남양주시 흥국사 대웅보전에 봉안된 불상의 조각승과 제작시기를 추정하였다. 이 불상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훌륭한 유물이지만,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조선시대 불교조각사에서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했다.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삼존불좌상의 본존은 높이가 79㎝이고, 무릎 폭이 53㎝인 중형불상으로, 높이와 무릎폭의 비율은 1:0.67이다.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자락은 수직으로 늘어져 한쪽 면만 둥글게 마무리되어 칼모양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대의자락을 갖춘 불상이 몇 구 조사되었지만, 제작시기가 밝혀진 유물은 없다. 하반신에 걸친 대의자락은 腹部에서 펼쳐진 가장자리의 옷자락이 짧게 늘어져 S자 형태를 이루고, 나머지 대의자락은 3-4가닥으로 간략하게 처리되었다, 이러한 대의자락이 늘어진 형태는 18세기 전반에 시작하여 중후반에 크게 유행하였다. 불상의 측면에 늘어진 대의자락은 옷주름 두 가닥이 수직으로 흘러내려 人자형으로 처리되었다. 이와 같은 옷주름은 1706년 진열이 제작한 곡성 서산사 목조보살좌, 1755년 상정이 제작한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 목조불좌상과 경기도 부천시 석왕사 목조보살좌상에 동일하게 표현되었다. 따라서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불상은 신체비례와 인상 및 대의처리에서 18세기 중반에 활동한 상정이 제작한 불상과 가장 유사한 불상양식을 가지고 있다. 상정이 제작한 불상은 3건 5점 밖에 조사되지 않았지만, 1765년에 제작한 포항 오어사 목조삼세불좌상보다 신체비례와 대의자락이 단순화 되어 177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각승 상정은 1747년에 전라남도 영광 불갑사 목조삼세불좌상과 1748년에 전라남도 장흥 보림사 신법당 불상을 개금하고, 1755년에 양주 회암사 목조불좌상과 부천 석왕사 목조보살좌상을 제작하였다. 그는 1757년에 전라남도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존불을 개금한 후 1765년에 경상북도 포항 오어사 목조삼세불좌상을 조성하였다. 또한 1767년에 경상북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아미타불상과 1771년에 경상북도 김천 직지사 불상을 개금하였다. 경기도 양주 회암사 목조불좌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하여 그의 속성이 장張씨라는 것과 『佛國寺古今創記』에 “塗金良工 湖南 尙淨” 으로 언급되어 전라도에서 활동한 스님임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그의 조각승 계보는 進悅(~1695~1722~), 太元(~1698~1748~)→尙淨(~1747~1771~)→戒初(~1754~1790~), 奉玹(封玹 ;~1780~1790~), 稱淑(~1754~1780~), 戒心(~1771~ 1787~)으로 이어졌다.
      18세기 전반부터 경기도에서 전라도 조각승들이 주도적으로 불상을 만든 계기는 1711년에 북한산성 축성을 주도한 碧巖 覺性의 문도인 桂坡 性能 등을 따라 경기도에 유입되어 불상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진열이 1713년에 제작한 경기도 고양시 상운사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佛像
      • Ⅲ.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佛像의 製作時期와 彫刻僧 推論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佛像
      • Ⅲ.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佛像의 製作時期와 彫刻僧 推論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