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과제 = Idea of Social Sustainability and Recommend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7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살펴보면서 다문화교육 논의 및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은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이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살펴보면서 다문화교육 논의 및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은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회적 차원을 주제로 한 연구가 거의 없고, 다문화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논의될 수 있다는 관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지속가능성을 실천적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과정을 규제하는 이념으로 파악하고, 지속가능성의 한 부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틀
      에서 다문화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구가 현상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가짐으로써 방향을 상실한 채 그때그때의 땜질식 처방을 하는 것은 아닌지에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교육 논의에서 사회통합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구성원 모두의 능력습득을 요구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습득해야 하는 능력에는 사회적 결속과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능력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
      의 물질적 욕구를 스스로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도 포함되어야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debate and research by examining the iss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idea of social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i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oc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debate and research by examining the iss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idea of social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i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ocial dimension in the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vie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iscussed 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is study first identifies sustainability as idea that regulates the proc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s social sustainability as a part of sustainability. This study denn defines in the framework of social sustainability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d multicultural educ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s concerned only with phenomenal problems, so that it will lose its direction and make a tinkering prescription at that time. Second, in the debate o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integration requires the ability of all members to adapt to changing society. Third, the
      ability to acquire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procure the material demands of the individual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규제적 이념(regulative Idea)으로서 지속가능성
      • Ⅲ.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의 사회적 차원
      • Ⅳ.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 다문화교육
      • Ⅴ. 나가는 말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규제적 이념(regulative Idea)으로서 지속가능성
      • Ⅲ.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의 사회적 차원
      • Ⅳ.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 다문화교육
      • Ⅴ. 나가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 대사전" 두산 동아 1999

      2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역량" 한독교육학회 16 (16): 133-149, 2011

      3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조사" 2 (2): 65-96, 2010

      4 정기섭, "지속가능발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49-775, 2017

      5 곽노의,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19-436, 2013

      6 김찬국, "우리나라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과 연구 방향:1994∼2017년 "환경교육"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353-377, 2017

      7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d Development: WCED, "우리 공동의 미래" 새물결 1987

      8 이병준,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01-715, 2016

      9 김상무, "독일의 이주민 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의 통합 담론에관한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51-70, 2016

      10 이민경, "‘다문화교육’ 연구동향과 쟁점: 교육사회학 연구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77-205, 2013

      1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 대사전" 두산 동아 1999

      2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역량" 한독교육학회 16 (16): 133-149, 2011

      3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조사" 2 (2): 65-96, 2010

      4 정기섭, "지속가능발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49-775, 2017

      5 곽노의,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19-436, 2013

      6 김찬국, "우리나라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과 연구 방향:1994∼2017년 "환경교육"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353-377, 2017

      7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d Development: WCED, "우리 공동의 미래" 새물결 1987

      8 이병준,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01-715, 2016

      9 김상무, "독일의 이주민 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의 통합 담론에관한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51-70, 2016

      10 이민경, "‘다문화교육’ 연구동향과 쟁점: 교육사회학 연구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77-205, 2013

      11 Kant, I., "Über Pädagogik 4" Verlag Ferdinand Kamp Bochum 1803

      12 "www.fortwirtschaft-in-deutsch land.de/jubileumsjahr/nachhaltigkeit"

      13 "http://www.un.org/en/ecosoc/about/index.shtml"

      14 "http://www.elenchos.ch/texte/Nachhaltigkeit20090729online.pdf"

      15 Der Rat von Sachvertändigen für Umweltfragen: RSU, "Zur Umsetzung dauerhaft-umweltgerechten Entwicklung. Umweltguachten. Deutscher Bundestag 13. Wahlperiode. Drucksache 13/4108"

      16 Spangenberg, J. H., "Soziale Nachhaltigkeit. Eine integrierte Perspektive für Deutschland" 153/154 : 649-661, 2003

      17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WCED,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18 Institut fuer soziale Nachhaltigkeit: IFSN, "Nachhaltigkeit vom Menschen her gedacht"

      19 Grundwald, A., "Nachhaltigkeit" Campus Verlag 2006

      20 Majer, H., "Ganzheitliche Sicht von sozialer Nachhaltigkeit. In: Statistisches Bundesamt(2008). Analyse von Lebenszyklen, 9-22"

      21 Derbolav, J., "Einführung in die Pädagogik" Erster Teil 1977

      22 Jörissen, J, "Ein integratives Konzept nachhaltiger Entwicklung: Der theoretisch- konzeptionelle Ansatz des HGF-Verbundprojekts"

      23 Empacher, C., "Die sozialen Dimensionen der Nachhaltigkeit" Vortrag(26.04.02) in Koeln 2002

      24 Rieß, W.,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Theoretische Analysen und empirische Studien" Waxmann 2010

      25 Enquete Kommission, "Bericht 'Die Industriegesellschaft gestalten - Perspektiven für einen nachhaltigen Umgang mit Stoff- und Materialströmen". Deutscher Bundestag. 12. Wahlperiode. Drucksache 12/8260"

      26 UN, "Agenda 21, german version"

      27 Enquete Kommission, "Abschlußbericht der Enquete-Kommission „'Schutz des Menschen und der Umwelt - Ziele und Rahmenbedingungen einer nachhaltig zukunftsverträglichen Entwicklung. Deutscher Bundestag 13. Wahlperiode. Drucksache 13/11200"

      28 Raworth, K., "2013 지구환경보고서. 지속가능성의 도전" 도요새 75-92,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